자갈 ( - , gravel)
대체로 화학적변화를 받지 않는 광물의 파편으로써 그 형상이 둥근 것, 다소 모난 것, 모난 것 등의 비점착성 입상체이며, 집합체는 입자 표면의 일부가 접촉되어 맞물려 있으므로 입자간의 점착력은 없고 마찰저항력으로 입자의 위치가 유지되어 있음.
자갈도상 ( - 道床, gravel ballast)
도상은 침목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는 궤도구조의 구성요소로서 그 종류는 자갈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대별됨. 자갈도상은 자갈을 사용한 도상을 말함.
자갈막이 ( - , ballast stopper)
유도상 교량 등에서는 자갈이 바깥으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갈막이 벽을 만들 필요가 있음. 성토구간에서는 고 PC침목을 사용하기도 함.
자갈보충 ( - 補充, ballast supplement)
자갈보충이란 도상면이 소정의 치수 이상으로 감소되었을 때 이것을 보충하는 작업을 말함.
자갈선 ( - 線, ballast track line)
도상자갈의 채집, 적재, 수송을 위하여 정차장 또는 본선에서 분기되어 도상자갈의 채석장까지 연장한 선로를 말함.
자갈치기 ( - , ballast cleaning(or screening))
도상자갈은 열차하중으로 인하여 노반으로의 박힘 및 기계적 마모와 풍화로 인한 토사혼입 등으로 도상배수가 불량하여 궤도틀림을 발생함. 자갈치기는 이러한 불순물을 체로 걸러내는 작업.
자경강 (自硬鋼, self-hardening / air-hardening steel)
고온 상태로부터 공기중에서 자연 냉각하는 것만으로 경도를 증가시키는 성질을 갖는 강. Cr, Ni, Mn 등을 다량 함유한 합금강. 공기 열처리 강이라고도 함.
자기강설량계 (自記降雪量計, recording snow gauge)
눈의 양을 스스로 측정하는 계기로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된 눈받이에는 부동액이 채워져있음.
자기부상식 철도 (磁氣浮上式 鐵道, maglev railway)
현재의 철도는 레일과 차륜의 조합에 의하여 차체중량지지, 열차진로유도, 구동력 획득 등 3개의 기능을 하고 있으나 자기부상식 철도는 자력을 이용하여 차체를 부상시키고 안내하며 추진시키는 철도임.
자기부상열차 (磁氣浮上列車, maglev(magnetic levitation) train)
자석의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선로에서 부상시켜 운행하는 열차 시스템을 말함.
자기산화 (自己酸化, auto-oxidation)
생물학적 산화의 일종으로 미생물의 원형질이 산화되는 현상을 말함. 미생물은 호흡작용에 의해서 유기물의 일부를 동화하여 원형질을 합성하지만, 영양원이 되는 유기물이 결핍되면 원형질 자신의 산화가 행하여짐. → 내생호흡.
자기수위계 (自記水位計, recording stage gauge, water stage recorder)
한 점에서 연속적인 수면의 높이를 기록하는 계기로서 부자에 의해 움직이는 펜으로 시간에 따른 수위를 그림.
자기쏠림 (磁氣 - , magnetic blow)
용접에 있어서 아크의 자기작용 또는 용접부에 존재하는 자장의 영향에 의해 아크가 쏠리는 것.
자기양수표 (自記量水標, recording water level gauge)
수위를 스스로 기록하는 장치가 달린 양수표.
자기우량계 (自記雨量計, rain recorder, recording rain gauge)
강우기간 동안 시간별 누가강우를 스스로 그리도록 만들어진 기기.
자기유속계 (自記流速計, recording current meter)
흐름의 방향과 속도를 스스로 기록하는 기기.
자기증발계 (自記蒸發計, recording evaporimeter)
증발량을 스스로 기록하는 계기.
자기탐상 (磁氣探傷, magnaflux inspection)
철강재료를 자기화시켜 용접부 등의 비교적 표면에 가까운 부분에 있는 균열, 기공 등의 결함을 발견하는 검사법.
자기 파랑계 (自記 波浪計, wave recorder)
파랑에 의한 수위의 변화를 시시각각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계.
자기편차 (磁氣偏差, magnetic variation)
→ 자침편차.
자동가스절단 (自動 - 切斷, automatic gas cutting)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강재를 자동적으로 절단하는 것.
자동도면화 (自動圖面化, automated mapping)
→ 도면자동화.
자동레벨 (自動 - , automatic level)
레벨의 수평을 원형수준기로 개략적으로 맞추면 자동보상기구가 자동적으로 움직여 시준선을 수평으로 조정하는 레벨.
자동보상장치 (自動補償裝置, compensator)
자동레벨의 시준선이 경사진 경우 그 경사를 보상하여 정확한 위치가 독취되도록 하는 장치.
자동설계 (自動設計, computer aided design)
컴퓨터, 자동제도기 등을 사용해서 요구조건에 적합한 설계를 자동적으로 하는 것. CAD라고 함.
자동신호기 (自動信號機, automatic signal)
궤도회로(軌道回路, track circuit)를 이용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신호취급자가 조작할 수 없는 신호기임.
자동아크용접 (自動 - 鎔接, automatic arc welding)
용접 와이어를 자동적으로 보내어 연속적으로 용접이 진행되도록 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시하는 아크용접.
자동연소제어 (自動燃燒制御, automatic combustion control)
보일러나 가열기를 항상 가장 효율 좋게 하기 운전하기 위한 연소의 자동제어. 보통 증기압력, 증기온도, 노내온도, 노내압 공기과승계수, 드럼수위 등을 제어양으로서 연료의 공급양, 공기공급양 등을 조절함. 조절기에는 전기식, 유압식, 공기식이 있음.
자동열차운행장치 (自動列車運行裝置,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열차가 정차장을 발차하여 다음 정차장에 정차할 때까지 가속, 감속 및 정차장에 도착할 때 정위치에 정차하는 일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약어 : ATO.
자동열차정지장치 (自動列車停止裝置, automatic train stop device)
열차가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있는 신호기에 접근할 때에 기관사에게 경보를 울려주고 더욱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확인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제동이 작용하여 신호기 앞에서 정지시키는 장치를 말함. 약어 : ATS.
자동열차제어장치 (自動列車制御裝置,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신호현시에 따라 그 구간의 제한속도 현시를 연속적으로 열차에 주어 열차속도가 제한속도를 넘으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걸리고, 제한속도 이하로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풀림. 약어 : ATC.
자동용접 (自動鎔接, automatic welding)
조작자가 항시 조작하지 않아도 연속적으로 용접이 진행되도록 장치를 사용해서 하는 용접의 총칭.
자동잠금너트 (自動 - , self-locking nut)
미리 특별한 세공으로 너트의 되풀림을 방지하는 너트.
자동제어 (自動制御, automatic control)
전기시계 장치에 의한 교통 신호기의 조작이며 이에 대해서 교통신호를 손으로 조작하는 것은 수동제어라고 함.
자동차 금지구역 (自動車 禁止區域, auto free zone)
보행자만 이용할 수 있는 도로로서 도심에는 보행의 쾌적성을 확보(보행자몰, 쇼핑몰 등)하기 위해, 주거지역에는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됨. → 보행자 전용도로.
자동차단기 (自動遮斷機, automatic gate)
건널목 제어구간에 열차가 진입하면 전기를 이용하여 경보기 작동과 동시에 차단기가 닫혀지고, 열차가 통과한 다음 차단기가 열려지도록 되어 있는 건널목 차단기를 말함.
자동차 전용도로 (自動車 專用導路, motorway)
자동차 교통용으로 공용되는 도로로서 자동차 이외의 방법으로 통행하는 것은 금지됨.
자동폐색 (自動閉塞, automatic block)
자동폐색은 폐색구간에 설치한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열차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폐색 및 신호가 작동하는 방식임.
자려진동 (自勵振動, self-excited vibration)
역학계 자신 또는 그 운동에 수반해서 생기는 외력에 기인해서 감쇠력이 부가되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발산하는 진동.
자료기반관리체계 (資料基盤管理體系, database management system)
자료의 저장, 조작, 검색, 변화를 조작하는 전산기체계로서,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서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조화하여 언제든지 다른 분야에 이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약어 : DBMS.
자료층 (資料層, layer)
→ 레이어.
자루여과기 ( - 濾過器, bag filter)
→ 백필터.
자룻길 ( - , cul-de-sac)
주거지역에서 통과차량은 이용할 수 없으나 들어간 차량이 돌아나올 수 있도록 끝부분은 자루처럼 둥그렇게 만든 막다른 길.
자립시간 (自立時間, stand up time)
터널 굴착시 막장 또는 굴착면이 굴착직후부터 무지보상태로 붕락하지 않고 견디는 시간.
자립형연돌 (自立型煙突, self supported stack)
자립식의 연돌. 철탑지지형 연돌과 다각형집합연돌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
자북 (磁北, magnetic north)
자침이 나타내는 북의 방향. 지구의 자장과 일치하는 쌍극자를 지구중심에 위치시킬 때에 쌍극자의 연장선이 지표의 북쪽과 만나는 점.
자분정 (自噴井, artesian well)
정수위보다 지하수위가 높은 피압 또는 자분대수층에 닿은 우물.
자분탐상검사 (磁分探傷檢査, magnetic particle examination)
자력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의 일종으로 금속표면 또는 표면하의 비교적 낮은 부분의 결함을 발견하는 것에 이용함.
자연건조 (自然乾燥, natural seasoning)
목재를 옥외에 쌓아 비나 일광의 직사를 막고 건조상태까지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것. 목재를 건조시키면 수축 및 반곡 등의 변형 없어질 뿐 아니라 목재의 중량이 줄어 운반하기 편하고 목질을 야물게 하여 강도 및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
자연 경계 조건 (自然 境界 條件, natural boundary condition)
짝수차 미분 방정식의 경계조건중에서 미분 방정식 차수의 반 이상 차수의 미분항으로 표시되는 경계조건.
자연발화점 (自然發火點, ignition point)
상온에서 열을 가하면 자연 발화하게 되는 온도. 물질에 따라 자연발화점은 다름.
자연배수 (自然排水, natural drainage)
내수처리의 한 방법으로 동력에 의하지 않고 내수를 배제하는 방식.
자연유하 (自然流下, gravity flow)
개수로에서의 물이 자연의 경사에 따라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흐르는 흐름.
자연유하식 발전소 (自然流下式 發電所, run-of-river type power station)
→ 수로식 발전소
자연증가교통량 (自然增加交通量, normal growth traffic)
새로운 시설물 건설 또는 도로의 신설 등으로 급격히 유발 또는 전환되는 교통이 아닌 소득의 증대 그리고 자연 인구 증가에 의하여 증가하는 교통량.
자연채집 (自然採集, natural collection)
포장용 보조기층이나 기층용 재료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채집된 상태.
자연함수비 (自然含水比, natural moisture content)
흙이 자연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함수량. 자연함수비는 토질, 지하수위의 상대위치 등에 의해 건조상태로부터 포화상태까지 넓은 범위로 변화함. 점성토에 자연함수비가 사질토에 비해서 비교적 크며 원위치에 있는 점토의 강도, 압축성이 함수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임.
자연항 (自然港, natural harbor)
자연적으로 형성된 항만으로 방파제가 없는 천연적인 항.
자오선 (子午線, meridian)
지구상의 한점과 양극을 지나는 대원의 호. 자오선은 적도와 직교하며 무수히 많음.
자오선수차 (子午線收差, meridian convergence)
평면직교좌표계에서의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좌표원점에서는 진북과 도북이 일치하므로 0이지만 동서로 멀어질 수록 그 값이 커지게 되며 측점이 원점의 서쪽에 있을때는 +값을, 동쪽에 있을때는 -값을 갖게 됨.
자외선장해 (紫外線障害, ultraviolet hazard)
자외선에 의해서 받는 장해를 의미함. 건강장해에 관련된 자외선의 작용에는 광화학 작용, 피부에 대한 작용, 눈에 대한 작용 등이 있음.
자원재순환 (資源再循環, recycling of resources)
생산이나 소비 등의 경제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폐기물을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재이용하는 것. 자원 리사이클, 자원재이용이라고도 함.
자유단 (自由斷, free end)
지점이 없는 부재의 끝. 자유단에서는 부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음.
자유단지지법 (自由端支持法, free end support method)
앵커달린 널말뚝을 해안구조물 등에 타설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타설에 앞서 필요한 깊이까지 준설하거나 또는 타설 후에 뒤채움하는 방법에서 준설면 아래의 근입깊이가 타입하단을 구속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고 가정하며 토압분포는 랑킨의 이론을 적용시키며 휨모멘트선도는 벽체가 하단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으로 봄.
자유대수층 (自由帶水層, phreatic aquifer)
층내의 지하수면이 포화수대의 상한면을 이루는 대수층으로서 그 속의 물은 대기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음.
자유도 (自由度, degree of freedom)
구조물에서 일어날 수 있는 독립적인 변위 성분의 수.
자유류속도 (自由流速度, free flow speed)
교통량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다른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이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는 속도.
자유망조정 (自由網調整, free network adjustment)
기준점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조정계산에서 전체를 미지로 하여 최소제곱법을 적용하는 방법.
자유 물체 (自由 物體 , free body)
구조물에서 지지조건이나 부재를 힘으로 대치하여 평형상태를 유지할 때의 물체.
자유 물체도 (自由 物體圖 , free body diagram)
자유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표시한 그림.
자유수면 (自由水面, free surface)
대기와 경계를 이루는 물 표면.
자유신축 (自由伸縮, free expansion)
레일 등 선형의 고체(固體)는 방해 받지 않을 때 온도변화에 따라 선팽창계수에 비례하여 신축함.
자유여유시간 (自有餘裕時間, free float)
총 공정에 지연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음 활동을 가장 이른 시간에 착수할 수 있는 여유시간.
자유지하수 (自由地下水, free groundwater)
지하수위 표면이 대기압(압력수두가 “0”)을 받고 있는 지하수.
자유 진동 (自由 振動, free vibration)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에 가해진 초기 변위 및 초기 속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조물의 운동.
자유파 (自由波, free wave)
외부로부터의 주기적인 힘을 받지 않고 운동하고 있는 파.
자유 표면 (自由 表面, traction-free surface)
주어진 고체의 경계면에서 표면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계면.
자유항 (自由港, free port)
수입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일 없이 포장, 가공, 저장 혹은 재수출 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특정구역으로 지정하여 관세법의 구속을 받지 않는 상항(商港).
자이레터리 콤펙터 ( - , gyratory compactor)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설계와 공용성능의 평가에 쓰여지는 다짐시험기의 일종.
자이레터리 크러셔 ( - , gyratory crusher)
고정된 도립재두원추형 동체(倒立栽頭圓錐形 胴體) 내부에 원추두의 편심운동으로 파쇄작용을 하는 조쇄용 쇄석기.
자이로데오돌라이트 (“自動平衡 - ”, gyro theodolite)
자이로(自動平衡)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진북을 나타내는 자이로컴퍼스가 부착된 데오돌라이트. 터널내에서의 진북을 측량하는 데 주로 사용됨.
자전거도 (自轉車道, bicycle path)
자전거의 통행에 공용하기 위하여 연석, 울타리, 노면표지 및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차도와 구별하여 설치되는 도로부분.
자정능력 (自淨能力, self-purification capacity)
하천, 호소, 해양의 정화작용능력. 각 수역의 자정능력은 박테리아나 영양물질 등의 많고 적음에 따라 정해지므로 하수를 내보낼 때는 이를 고려하여야 함.
자정식 현수교 (自碇式 懸垂橋,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케이블의 양단을 보강형 또는 보강 트러스 단부에 연결해서, 케이블의 수평분력을 구조물의 내부 응력으로 처리시킨 현수교.
자정작용 (自淨作用, self-purification)
자연의 힘에 의한 수질의 회복작용. 하천․호소․해역 등의 자연수역에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에 의해 가해진 오염물질이 그 수역 속에서 자연히 그 농도가 감소되는 작용. 유기물질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 등이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하여 서서히 정화되거나 흙의 여과에 의한 지하수의 청정화 등이 그 예임. 자연정화작용(natural purification)이라고도 함.
자주식그레이더 (自走式 - , motorized grader)
그레이더 자체에 원동기가 부착되어 있어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그레이더.
자주식스크레이퍼 (自走式 - , motor scraper)
차량식 트랙터로 스크레이퍼를 견인하는 원거리용 굴착운반기계.
자중 (自重, ① self weight ② empty weight)
① 구조물 자체의 하중.
② 항공기의 중량 계산에 있어 기초가 되는 중량으로서 기체 구조, 엔진, 고정장비 및 잡유를 포함한 내부 장비의 중량을 합한 것.
자중압밀 (自重壓密, self-weight consolidation)
고함수비의 액상에 가까운 점토 자중으로 압밀하는 현상으로 해저의 점토를 준설해서 매립지에투입한 경우 등에 생김. 자중압밀은 양면배수에서도 상하 대칭이 안되고 아래쪽에서 압밀이 시작됨.
자철석 (磁鐵石, magnetite)
수분이 많은 용융체에서 흔히 초기에 형성되지만 마지막 단계까지 계속 형성되기도 함. 감람석을 함유하는 현무암으로 그 양이 많으면 감람석 현무암이고 검고 불투명한 광물을 자철석이나 티탄철석이라 함. 철을 많이 포함하는 암석은 밀도가 높고 수산화철이 풍화되어 그 표면이 황갈색이나 적색으로 변색된다는 점, 그리고 흔히 자성을 띤다는 점, 해변이나 하상에 집중되어 나타남.
자침점 (刺針點, prick point)
→ 이사점.
자침편차 (磁針偏差, magnetic declination)
자침편차는 진북방향을 기준으로한 자북방향의 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북이 동편일 때는 +값을, 서편일 때는 -값을 가지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4도~9도 W 임.
자 테스타 ( - , jar tester)
응집시험을 하는데 사용되는 시험기를 말하며, 원수의 수질이나 수온에 최적의 응집제, 응집보조제의 종류나 첨가량 및 pH값 등을 결정할 때 사용됨.
자항식준설선 (自航式浚渫船, self propelling dredger)
준설선중에서 자체의 기관으로 항행할 수 있는 준설선. 버킷식의 대형준설선은 보통 자항할 수 있음.
자항식홉퍼준설선 (自航式 - 浚渫船, self propelling hopper dredger)
항해용 기관일체와 준설토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홉퍼가 장착되어 있는 준설선.
작업공정 (作業工程, work process)
공사의 시공 기간 전반을 원활하고 순서대로 시행하기 위한 추진 기준이 되는 것이며, 각 부분 공사의 작업량을 시간, 일수로 환산하여 작성한 공사의 일정.
작업주기 (作業週期, working cycle)
건설기계가 반복작업을 할 때 1회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작업하중 (作業荷重, construction load)
영구 또는 가설뼈대가 건조작업 중에 받는 하중.
작용길이 (作用 - , rivet length)
리벳이 저항할 수 있는 길이. 접합부의 판두께와 같고 이것이 어느 정도보다 길면 확실한 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 개수를 증가시킴.
작은 오리피스 ( - , small orifice)
오리피스의 크기가 오리피스에서 수면까지 수두보다 작아서 오리피스의 유속을 한 수두를 써서 계산할 수 있는 것.
잔골재 (“細骨材”, fine aggregate)
KSA5101(표준체)에 규정되어 있는 10 mm체를 전부 통과하고 No.4체를 거의 다 통과하며 No.200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No.4체를 다 통과하고 No.200체에 다 남는 골재를 말함.
잔교 (棧橋, ① pier ② scaffold board)
① 계류 시설의 일종으로 일련의 말뚝기초위에 상판을 설치하여 교량과 형태가 비슷한 접안시설. 해안선과 평행한 횡잔교, 해안선과 직각인 돌제식 잔교가 있음
② 작업원의 통로 또는 자재 운반 등을 위해 지상에 높게 조립한 보판 등을 부설한 가설물. 철골을 임시설치하는 재료잔교나 발판 각단에 통하는 오름 잔교 등이 있음.
잔다듬 ( - , dabbed finish)
날망치를 이용해서 돌 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찍어 마무리하는 것.
잔류농약 (殘留農藥, residual pesticide)
농작물 또는 토양에 잔류하는 농약을 말함. 주로 유기염소계 농약이 오염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음.
잔류 변형 (殘留 變形, residual deformation)
→ 영구 변형.
잔류 변형도 (殘留 變形度, residual strain)
외부 하중을 제거한 후에 재료에 남아 있는 변형도
잔류수압 (殘留水壓, residual water pressure)
구조물의 배후 지반 또는 뒷채움 흙의 간극에 조위 또는 파랑에 의한 수면의 상승 등에 의해 배후지반에 잔류수위와 구조물 정면의 수위와의 차이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정수압을 말함.
잔류 안정도 (殘留 安定度, retained stability)
마아샬 시험용 공시체를 비교적 장시간 수침시킨 후의 안정도를 수침 시키지 않는 것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 아스팔트 혼합물의 박리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는데 이용됨.
잔류염소 (殘留鹽素, residual chlorine)
살균을 위하여 물에 가한 염소가 잔류하여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 유리잔류염소와 결합잔류염소를 총칭하여 말함.
잔류 응력 (殘留 應力, residual stress)
외부 하중을 제거한 후에 재료내에 남아 있는 응력.
잔류전단강도 (殘留强度, residual shear strength)
강도시험에 있어서 최대저항력을 나타낸 후에도 변형이 진행되면서 거의 일정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경우 이 저항응력을 흙의 잔류강도라고 함.
잔류침하 (殘留沈下, residual settlement)
① 연약지반에 구조물이나 성토를 하였을 때 이 하중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전침하량 중 공사 완료후에 일어나는 침하.
② 어떤 기준시점 이후에도 계속 일어날 침하량. 도로의 흙쌓기 경우에는 기준시점으로서 포장 완성시 또는 도로의 공용개시시를 취함.
잔류토(殘留土, residual soil)
→ 잔적토.
잔물결 ( - , wavelet)
풍파가 파랑을 발달시키고 있는 발생역으로부터 떨어져서 바람과 관계 없이 나아갈 때 나불 또는 잔물결(여파)이라고 함.
잔 자갈 ( - , fine gravel)
자갈 중에서 지름이 2~15 mm정도로 작은 것. 소형단면의 콘크리트 제품의 골재로 사용함.
잔적토 (殘積土, residual soil)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흙이 운반되지 않고 남아있는 것을 말하며 모암의 성질을 유지하고 입자의 형상이 깊이가 깊어질 수록 모가 나는 특징이 있고 모암상에 그대로 쌓여 있는 것이 일반적임. 잔류토라고도 함
잔존가치 (殘存價値, salvage value)
어떤 시설의, 서비스 수명이 끝난후에도 남아있는 가치. 즉, 구입가나 설치비용에서 감가상각비용을 뺀 자산가치.
잔존율 (殘存率, rate of salvage)
경제적 내용시간이 끝날 때의 기계의 잔존가치의 취득가격에 대한 비율. 그 값은 0.1임.
잔차류 (殘差流, residual current)
조석에 의한 흐름중 주기적인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항류 성분.
잔토처리 (殘土處理, removal of surplus soil)
굴착하여 발생한 불필요한 사토를 토사장에 운반하는 것.
잔향 (殘響, reverberation)
실내나 폐쇄된 곳에서 음원이 진동을 그친 후에도 천정, 벽, 바닥 등에 몇 회 반사하여 한동안 들려오는 연속적인 반사음(反射音). 반향이라고도 함.
잠거 (潛渠, siphon culvert, inverted siphon)
수로가 하천, 운하 등을 횡단하기 위하여 그 밑에 설치한 공작물.
잠금너트 ( - , chuck / lock nut)
너트의 되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겹쳐서 조이는 너트. 또는 특수한 되돌음 방지를 한 너트.
잠류 (潛流, under current)
표층류의 밑을 다른 속도, 또는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것. 표층류의 상대말.
잠수부 (潛水夫, diver)
물에 들어가는 사람 또는 수중에서 작업하는 사람.
잠재가격 (潛在價格, shadow price)
경제성 분석에서 사업성의 평가에 직접적인 가격보다는 사용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잠재적인 비용을 고려할 때 그 가격을 말함.
잠재오염물 (潛在汚染物, potential pollutant)
현재로서는 공해를 유발할 정도의 원인물질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농도가 증가되면 공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
잠재증발 (潛在蒸發, latent / potential evaporation)
유역의 토양이 수분으로 완전포화되어 있다는 가정 아래에서 생기는 증발.
잠재증발산 (潛在蒸發散,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식물로 완전히 덮혀있는 유역에서 충분한 물이 공급된다는 가정 아래에서 생기는 증발산.
잠재증산 (潛在蒸散, potential transpiration)
식물에 충분한 물 공급이 항상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에서 생기는 증산.
잠재환율 (潛在換率, shadow exchange rate)
공식적인 환율보다는 실질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환율로서 해외차관 공사 등에서의 경제성분석에서 필요함.
잠제 (潛堤, submerged breakwater)
방파제의 상부가 정수면보다 낮은 수중 방파제. 파고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 경관을 보존함.
잠함 (潛函, pneumatic caisson)
→ 공기 케이슨.
잠함기초 (潛函基礎, pneumatic caisson foundation)
지하의 경질지층에 이르기까지 상자같이 만든 콘크리트통을 지반굴착에 따라 내려앉게 하여 만든 기초. → 공기케이슨 기초
잠호 용접 (潛弧鎔接, submerged arc welding)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잡공사 (雜工事, miscellaneous works)
여러 공종에 포함되지 않는 잡다한 여러 공사.
잡배수 (雜排水, gray / wastewater, waste)
가정에서의 배수 중에 분뇨와 수세변소에서의 배수를 뺀 모든 배수를 말함. 생활 잡배수라고도 함.
잡석 (雜石, rubble stone)
채석장에서 채취된 모양이 고르지 못한 돌.
잡용수도 (雜用水道, water supply system for nondrinking purpose)
음용수 이외의 화장실용수, 살수용수, 세차용수 등의 잡용의 목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 → 물의 재이용.
잡화 (雜貨, general cargo)
상자, 통, 마대(麻袋) 등으로 포장된 선하화물.
잡화 부두 (雜貨 埠頭, general cargo wharf)
주로 잡화를 배에 싣고 내리는 부두.
장거리철도 (長距離鐵道, long distance railway)
연장이 400~500 km 이상인 철도로서 안전성․대량성․고속성․에너지 효율 등으로 다른 교통기관과 경쟁하며, 화물수송은 대량화물의 거점간 수송, 콘테이너에 의한 직행 등으로 타 교통수단과 경쟁함.
장기안정문제 (長期安定問題, long term stability problem)
지반의 지지력, 사면의 안정, 토압과 같은 안정해석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조건을 고려해 볼 때 장기간에 걸쳐 강도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문제. 하중조건이 변화한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안전율이 저하해 가는 안정문제. 즉 과압밀점토의 경우 절취사면에는 하중의 감소에 의해 전단중에 팽창이 발생하고 전단강도는 점차 저하되어 감. 이러한 경우 통상 최종적인 상태에서의 압밀배수조건으로 안정계산을 행함.
장기 응력 (長期 應力, stress due to long time loading)
장기 하중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
장기처짐 (長期 - , long time deflection)
지속하중에 의한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처짐.
장기폭기법 (長期曝氣法, extended aeration)
활성슬러지법의 변법으로서 미생물의 자기산화를 이용하여 잉여 슬러지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방법임. 폭기조 내의 체류시간은 18~36시간으로 길고, 유기물 부하량을 낮게 유지함. 소규모 시설에서 이용됨. 장시간폭기법이라고도 함.
장기 하중 (長期 荷重, long time loading)
사하중, 적재하중 또는 적설하중과 같이 구조물에 장기간 연속하여 작용하는 하중.
장내신호기 (場內信號機, home signal)
정차장의 입구에 설치하는 신호기로서 정차장에 진입할 열차에 대하여 그 신호기 안쪽으로의 진입 가부(可否)를 지시하는 신호기임.
장년기 해안 (長年期 海岸, mature shoreline)
활발한 침식작용으로 지형이 매우 험준한 해안.
장대레일 (“長大軌條”, continuous weleded rail)
1개의 레일길이가 200 m 이상인 것을 장대레일이라 함. 레일이음매부의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을 연속 용접하여 이음매를 없앤 것이 장대레일이며 양단에는 신축이음매를 둠. 약어 :
C.W.R
장대레일갱환 (“長大軌條更換”, renewal of CWR)
장대레일 갱환은 중위온도 부근에서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은 때 작업을 하여야하며, 신레일 부설시 레일전장에 걸쳐 설정온도가 균등하여야 함.
장대레일궤도 (長大軌條軌道, CWR track)
1개의 레일길이가 200 m 이상인 장대레일로 부설한 궤도를 말하며, 이음매 궤도에 비하여 유리한 점이 많은 반면에 부설하기 위한 선로조건이 제한되며, 고도의 보수관리 기술을 필요로 함.
장대레일보수 (“長大軌條補修”, maintenance of CWR)
장대레일은 부설초기에 정확하고 양호한 상태로 보수하여 안정된 후에는 너무 빈번하게 보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함.
장대레일부설 (“長大軌條敷設”, laying of CWR)
100~300 m의 길이로 공장용접한 장대레일을 현장에 운반하여 현장용접하고 레일 응력을 제거후에 침목에 체결함.
장대레일수송 (“長大軌條輸送”, transportation of CWR)
장대레일을 부설 또는 갱환할 때 100~300 m로 공장에서 용접한 레일을 장대레일 수송열차로 작업현장까지 수송함.
장대레일 작업제한 (“長大軌條 作業制限”, restriction of CWR maintenance work)
장대레일의 보수작업에 있어서는 좌굴방지, 과대신축 및 복진방지, 재료의 부분적 손상방지를 위하여 작업상 여러가지 제한을 하고 있음.
장력 (張力, tension, tensile force)
→ 인장력.
장력절리 (張力節理, tention joint)
인장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 생긴 절리.
장방형 차고 (長方形 車庫, square engine shed)
기관차 차고중 장방형은 1선에 2, 3량씩 수용하므로 출입이 불편하며 수용량수가 적을 때, 또는 기관차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없는 전차고 등에 채택됨.
장방형 홈 (長方形 - , rectanguler platform)
화물 적하장(홈)의 형상에 의한 분류의 한 종류임. 제일 많이 사용되는 형식으로 화물취급량이 적은 역에 채택됨.
장부이음 ( - , tenon joint)
직각되는 2개의 목재를 서로 이을 때 한쪽에는 凹부를, 다른 쪽에는 凸부를 만들어 이은 것.
장석 (長石, feldspar)
비중이 작기 때문에 조산작용으로 지표에 부상하여 지구표면 부근의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60~70 %를 차지하고 있으며 색깔이 무색 또는 백색을 띠고 있음. 모오스경도는 약 6이며 비중은 2.6정도임.
장선 (長線, floor joist)
마루바닥판을 받는 수평걸침 부재.
장애물 (障碍物, obstacle)
항공기의 지상 이동을 위한 구역에 위치하든가 또는 비행 중인 항공기의 보호 차원에서 볼 때 한정된 표면 위에 돌출된 고정 또는 움직이는 물건 또는 그 부분.
장애물제거구역 (障碍物除去 區域, ① obstacle-free zone ② clear zone)
① 활주로를 중심으로 내부 전이 장애물 제거 구역까지 연결되는 폭과 활주로 양쪽 말단에서 60 미터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구역. 높이는 활주로 중심과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같은 높이의 가상의 표면을 가짐.
② 도로변에 운전자의 시거 확보와 차량의 안전주행을 위해 확보해야 할 장애물 없는 구역으로서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설정함.
장애물제한표면 (障碍物制限表面, obstacle limitation surface)
항공기가 비행장에 안전하게 이착륙하기 위해서 장애물이 없어야 할 상상적인 공간의 저면. 위치 및 항공기 운항 상태를 고려하여 기본표면, 진입표면, 진입구역, 수평표면, 원추표면, 전이표면으로 세분함.
장약 (裝藥, charge)
암을 발파굴착하기 위해 화약을 설치하는 행위.
장애제거구역 (障碍除去區域, object-free area)
활주로를 중심으로 장애물이 없어야 하는 지역. 그 폭과 활주로 말단에서부터의 길이는 설계 항공기에 따라 다름.
장주기 분조 (長週期 分潮, long period constituent)
달 및 태양의 운행에 관계되어 생기는 장주기의 분조.
장주기조 (長週期潮, long period tide)
→ 장주기 분조.
장주기파 (長週期波, long period wave)
항만에서 부진동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주기 수십초 이상의 파.
장척레일 (“長尺軌條”, longer rail)
길이가 25 m를 넘고 200 m 미만인 레일을 장척레일이라 함.
장출 (張出, buckling, track deformation, warping snaking)
온도가 과대하게 상승하여 과대압축력이 작용하든가, 도상횡저항력이 부족할 경우 등에서는 이 안정이 파괴되어 궤광이 급격하게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현상을 장출이라고 하며 좌굴(挫屈)이라고도 함.
장파 (長波, long wave)
파장(L)이 수심(h)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긴 파. 대체로 h/L〈 0.05 인 파.
장파봉파 (長波峰波, long crested wave)
단일 주기의 파가 거의 같은 방향으로 전파되어 파봉선이 긴 파랑.
재넘이현상 ( - 現象, foehn)
푄 현상이라고도 함. 산에서 불어 내리는 건조한 고온의 바람. 본래는 유럽 알프스의 국지풍의 명칭이었지만, 현재에는 이와 같은 바람의 일반적인 명칭으로서 사용되고 있음.
재단 모멘트 (材端 -, end moment )
부재의 양단에서 작용하고 있는 모멘트.
재단 전단력 (材端 剪斷力, end shearing force)
부재의 양단에서 작용하고 있는 전단력.
.
재령 (材齡, age)
주로 제조된 후부터의 시간에 따라 성질(강도 등) 이 변화하는 재료. 예컨데 콘크리트나 모르터 등에 있어서 만들어진 후부터의 기간을 일수(日數) 또는 주수(週數)로 나타낸 것.
재료감쇠 (材料減衰, material damping)
P파, S파, reyleigh파 등이 뼏쳐 나가면서 파장의 크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기하학적감쇠라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파장들이 실제적으로 지반재료내에서 흡수되어 에너지가 손실되는 현상을 재료감쇠라 함.
재료갱환기준 (材料更換基準, standard of material renewal)
궤도재료가 일정한 상태 이상으로 손상된 경우에 갱환하여야 할 기준, 예를 들어 레일갱환은 마모, 단면감소 및 파상마모 등에 의한 것이 있어 기준에 달한 것은 갱환함.
재료보수작업 (材料補修作業, reparting of track meterials)
궤도재료 보수작업이란 궤도재료의 보수에 관한 작업을 말하며 그 종류에는 레일의 바꿔 놓기(振替) 또는 돌려 놓기(轉換), 레일류(類) 보수, 레일 체결장치 보수, 침목 보수, 도상 자갈치기, 도상 보충, 도상 정리 등이 있음.
재료분리 (材料分離, segregation)
비빈 콘크리트가 운반할 때 또는 쳐 넣을 때 각 재료가 분리하여 균일한 혼합상태가 무너지는 것.
재료표 (材料表, material list)
공사의 견적 준비를 위해서 필요한 재료의 수량을 도면 사양서(시방서) 등에 의해, 종류별로 모아 종합한 표.
재부상 (再浮上, resuspension)
바닥으로 가라앉은 유사 또는 부유물질이 외력에 의해 다시 떠오르는 현상.
재생 (再生, regeneration)
한번 사용한 것을 가열, 약제사용 등에 의해 다시 원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말하며, 건조제,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은 재생하여 사용함.
재생과정 (再生過程, recycling)
폐재에 첨가재나 재료를 추가 혼합하는 등 특수처리하여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과정.
재생봉강 (再生棒鋼, rerolled steel bar)
헌 강, 헌 레일 등을 가열해서 재압연한 봉강.
재설정 (再設定, resetting, refastening-down)
장대레일 체결장치를 모두 풀어서 레일 밑에 롤러를 삽입시켜 자유 신축의 상태로 축력을 해방하여 가열 등에 의하여 적온(適溫)으로 복원하여 재구속하는 것.
재성형 (再成型, remoulding)
자연상태의 점토를 되이겨서 구조를 흐트러지게 한 후 시험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성형 함.
재성형손실 (再成型損失, remoulding loss)
함수량을 변화시키지 않은 채로 되이겼을 때 점토의 강도가 감소하는 것.
재성형시료 (再成形試料, remolded sample)
함수비를 일정하게 하고 교란시켜 다시 성형시킨 시료를 말하며, 교란에 의한 흙구조는 입자사이의 변위에 의해 크게 바뀔 수 있으며 변위는 입자간의 결합을 깨뜨려 입자를 평형배열로 움직이게 하는 경향이 있음. 예민한 시료일수록 강도저하가 크게 일어남.
재성형증대 (再成形增大, remoulding gain)
함수량을 변화시키지 않은 채로 되이겼을 때 점토의 강도가 증대하는 것.
재성형토 (再成型土, remoulded soil)
되이김 작업에 의하여 자연상태의 흙의 구조를 변화시킨 후 시험에 이용하기 위하여 성형한 흙.
재순환 (再循環, recirculation)
① 반응기에서 나온 생성물을 반응 물질과 미반응 물질로 분리하고, 미반응 물질을 다시 반응기로 되돌리는 것을 말함. 이에 따라 생성물의 순도와 생성 효율을 높일 수가 있음.
② 자연계에서 동물이 산소를 흡수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방출하는 순환계를 말함.
③ 해안발전소의 온배수가 외해측으로 방출되지 못하고 취수구로 재유입되는 해수의 순환현상.
재시공 (再施工, reconstruction)
포장보수 공법의 하나로서 파손된 포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다시 교통조건에 맞추어 포장을 새롭게 시공하는 공법.
재압축 (再壓縮, recompression)
한번 흙에 가한 압력을 제거한 후 재차 압력을 가해서 압축하는것.
재용레일 (“再用軌條”, second hand rail, rail for re-use, recovered rail)
일단 사용하였다가 발생한 레일로 마모 상태, 길이 등이 재용 가능한 것을 말하며 단면에 청색을 표시함.
재진동다짐 (再振動 - , revibration)
콘크리트가 굳어 있기는 하지만, 진동에 의해 다시 플라스틱 상태로 되는 정도 일 때 다지는 진동다짐. 블리이딩에 의해 골재와 철근의 밑에 생기는 수막을 감소시키므로 철근과의 부착강도, 시공이음의 강도의 증가에 특히 유효함.
재폭기 (再曝氣, reaeration)
수역의 자정작용에서, 대기 중에서 수중으로 산소가 녹아 들어가는 현상을 말함. 활성 슬러지법에서는 반송 슬러지를 반송하는 도중에 산소 부족으로 인한 호기성균의 활력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시 폭기하는 것을 말함.
재하속도 (載荷速度, loading rate)
재하시에 있어서 단위시간당의 하중의 증감을 의미하며 재하속도가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침.
재하시험 (載荷試驗, loaded / loading test)
구조물, 기초말뚝, 지반 등에 하중을 가해서 응력, 변형, 파괴강도 등을 조사하는 시험.
재하판 (載荷板, loading plate)
재하시험에 쓰이는 판으로 이 위에 재하된 하중을 일정한 면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재해복구 (災害復舊, rehabilitation of hazard)
풍수해, 설해, 지진 및 화재 등에 의하여 산사태, 둑 유실 및 붕괴, 교량의 거더, 교각, 교대의 유실 및 침하 등을 인원, 재료 및 장비를 동원하여 복구하는 것을 말함.
재해응급 (災害應急, emergency of hazard)
강풍, 집중적인 폭우, 또는 계속적인 강우 등으로 깍기 및 돋기의 비탈면, 터널, 교량 등에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응급조치를 하고 열차방호 및 상부에 보고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말함.
재현기간 (再現期間, return / recurrence period)
강우, 홍수, 파랑, 풍속, 적설량, 지진도의 강도등과 같이 구조물에 미치는 환경조건의 가혹성과 그의 발생의 변동을 통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 이미 관측한 값에 대해서는 각년의 최대치가 정상적으로 독립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어떤 크기 이상의 연최대치가 몇년에 한번 출현할 확률이 있는 지를 정해서 그 년 수를 재현기간이라 함. 설계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중요도, 내용년수, 보수의 난이, 경제성 등을 판단해서 설계용의 재현 기간(통상 50~120년)을 규정함.
잭 ( - , jack)
① 공작물이나 구조물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기구. 스크류잭, 너클구동 잭, 수압 또는 유압잭 등이 있음.
②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서 PS강재를 긴장하기 위한 장치.
잭해머 ( - , jack hammer)
착암공이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경량 소형 착암기. 큰 것(드리프터 등)은 드릴붐이나 스탠드에 장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에 대하여 싱커 등은 손으로 잡고 사용함. 최근에는 다리를 사용하여 효율이 좋은 수평천공이 가능함.
저고조 (低高潮, lower high water)
1일 2회의 고조중 낮은 것.
저기압성 강수 (低氣壓性 降水, cyclonic precipitation)
→ 선풍형강수
저류계수 (貯溜係數, storage coefficient)
하도추적에서 하천 어느 구간의 저류량과 구간 출구의 평균유출량의 비를 나타내며, 단위는 시간임.
저류관개 (貯溜灌漑, flooding irrigation method)
도수로에서 분기된 도랑으로부터 용수를 무너미시켜 경지 표면을 관개하는 방법.
저류량곡선 (貯溜量曲線, storage-draft curve)
유량누가곡선을 이용하여 소요저류량을 종축으로 사용수량(또는 유하량)을 횡축으로 두어 연결한 곡선. 이 곡선을 이용하여 소요사용수량에 대한 저류량을 추정하여 결정할 수 있음.
저류방정식 (貯溜方程式, storage equation)
하천이나 저수지를 통한 흐름의 연속성을 표시하는 연속방정식. 수문학적 추적방법의 기본형이며, 추적구간에 대해 유입량과 유출량의 차이가 구간 안에 저류된 양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과 같음을 나타냄.
저류용저수지 (貯溜用貯水池, retention reservoir)
여수로 아래에 수문으로 연결된 출구를 통해 원하는 대로 저장하거나 방출시킬 수 있는 저수지.
저리랙세이션강재 (低 - 鋼材, low relaxtion steel)
스트레칭을 실시해서 리랙세이션을 작게 한 강재.
저반 (底盤, batholith)
관입암의 일종인데 좁은 사이로 들어간 것이 아니고 하부쪽에서 주위의 암석을 밀어 올리는 것처럼 들어간 크기 수백 km2이상이고 산성암(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암. 대체로 습곡산맥의 중심선을 따라 불규칙한 대상(帶狀)으로 길게 나타남.
저부 선진도갱 (底部先進導坑, bottom heading)
터널 굴착 단면의 중앙 하부에 소단면의 도갱을 먼저 굴착한 후, 남은 단면을 순차적으로 확장 굴착하여 터널을 완성하는 공법임. 용출수가 많은 터널에서는 지하수위 저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저부파괴 (底部破壞, base failure)
토질사면중에서 단순유한사면의 활동면은 일반적으로 원호에 가까운 곡면으로 가정하며 점성토 사면경사가 완만하고 암반 또는 견고한 지층이 비교적 깊은 곳에 있으면 원호활동 파괴면이 깊게 형성되는데 이를 저부파괴라 함. 보통 연약점토층 위에 성토할 경우에 발생함.
저비실 (低扉室, lower head)
수위가 낮은 편에 있는 비실.
저사이클 피로 (低 - 疲勞, low cycle fatigue)
일반적으로 피로 수명 1×105정도 이하의 피로현상을 의미함. 1×103~1×105회까지를 중간사이클 피로로 구분하기도 함.
저산소연소 (低酸素燃燒, combustion on low-oxygen)
공기과잉계수를 1에 가까운 연소상태로 하여, 과잉공기의 사용을 막고, 연소배가스 중에 포함된 산소의 양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을 말함. 특히 대형 보일러에서 저산소연소시에는 금속면의 부식방지, 산괴(acid smut), 질소산화물 등의 발생방지, 열효율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저상 승강장 (低床乘降場, low platform)
국철 여객승강장의 경우에 전철구간의 고상식 외에는 승강장의 높이가 레일면에서 30~50 cm인 저상홈으로 하고 있음. 화물 적하장도 홈의 높이가 레일면과 같은 높이로 하는 경우가 있음.
저생생물 (底生生物, benthos)
해양, 호소, 하천 등의 수저에서 서식하는 생물을 말함. 저생동물로는 홍합, 말미잘, 조개삿갓(barnacle), 쌍각류, 갯지렁이류, 우렁이, 바지락이(가막조개) 등이 있고, 저생식물로는 녹조, 갈조, 홍조, 물수세미, 말즘, 검정말, 대가래 등이 있음.
저수 1) (貯水, storage)
필요할 때를 대비하여 지하나 지상의 저수지, 수조, 운하, 하천 또는 유역의 물을 괴는 것.
저수 2) (低水 , low water)
특정 기간 동안 가장 낮은 수위. 간조에 의해 내려가는 수위.
저수댐 (貯水 - , storage dam)
용수 및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만드는 댐.
저수로 (低水路, low water channel)
하도 중에서 저수인 때에 물이 흐르는 부분.
저수소계 용접봉 (低水素系 鎔接棒, low hydrogen electrode)
피복제중에 유기물 등의 수소원으로 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염산․석탄․불․칼슘 등을 주성분으로하여, 용착금속의 수소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용접봉.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과 인성을 개선하여 균열이 적음.
저수용량 (貯水容量, storage capacity)
저수지의 기하학적 특성과 기능에 따라 물을 댈 수 있는 규모로써 다목적댐의 경우 사수량, 불용용량, 이수용량, 공용용량, 그리고 홍수전용용량 등으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음.
저수위 (低水位, low water level)
유황곡선에서 연간 275일은 이것보다도 내려가지 않는 하천의 수위.
저수조 (貯水槽, storage tank)
물을 저장해 놓는 물탱크의 총칭임.
저수지 (貯水池, reservoir)
하천수를 저장하여 홍수조절․수력발전․관개․상수도(上水道)용수․공업용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설.
저수지방류 (貯水池放流, reservoir release)
저수지의 여수로나 방수로를 통하여 초당 빠져나가는 물의 부피.
저수지설계홍수량 (貯水池設計洪水量, reservoir design flood)
저수지에서 홍수조절계획의 대상으로 선정된 홍수.
저수지조작 (貯水池操作, reservoir operation)
미리 정해진 규정에 따라 저수지를 가상적으로 모의 운영하는 것.
저수지조작규정곡선 (貯水池操作規定曲線, 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
저수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계절별(보통 일, 주, 또는 월별로 작성)로 유지해야 될 저수량 또는 저수위의 범위를 설정한 곡선.
저수지추적 (貯水池追跡, reservoir routing)
저수지에 유입되는 홍수파가 저수지의 조절효과에 의하여 변동유출되는 과정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
저수지포착효율 (貯水池捕捉效率, reservoir trap efficiency)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사량에 대한 퇴적 유사량의 비율.
저수탑 (貯水塔, water tower)
물 탱크를 올려놓은 높은 탑.
저알칼리시멘트 (低 - , low alkali cement)
보통 시멘트에 비해서 성분중에 나트륨, 칼슘의 양이 적은 포틀랜트 시멘트. 미국에서는 NaO2 또는 Na2O+(0.658×K2O)이 0.6 % 이하의 시멘트를 말함.
저압관 (低壓管, low pressure pipe)
최대 사용정수두가 45 m까지인 관.
저압타이어 (低壓 - , low pressure pneumatic tire)
접지면적을 크게하기 위해 공기압을 특히 낮게한 대형타이어.
저열시멘트 (低熱 - , low heat cement)
보통 시멘트의 성분조직을 바꾸므로써 응결경화시의 열의 발생을 적게 한 시멘트.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경화할 때 수화열이 10 %정도 낮은 포틀랜드시멘트.
저열포틀랜트시멘트 (低熱 - , low heat portland cement)
발열의 속도와 양이 적도록 제조된 시멘트. 매시브한 콘크리트에 있어 발열에 의한 상승온도를 낮추어 온도응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적게 할 목적으로 쓰임.
저온균열 (低溫龜裂, ① cold cracking ② cold crack)
① 용접할때 200 ℃이하에서 생기는 균열. 용접열에 의해 경화한 열영향부에 발생하는 균열로 용접금속에도 생김.
② 용접후 용접부의 온도가 상온으로 저하한후 발생하는 용접균열의 총칭. 비드균열, 지단균열 등이 이에 속함.
저온부식 (低溫腐蝕, low temperature corrosion)
보일러 등에서 저온부, 절탄기, 공기예열기 등의 외면에 부식을 일으키는 현상을 일컫는 말. 중유 등 유황함유 연료의 연소시 유황은 아황산 가스를 거쳐 무수황산으로 변한 후, 연소가스 중의 수증기와 화합하여 황산증기로 되는데, 이것이 저온부에 접촉하면 응결 부착되어 그 강면(鋼面)을 심하게 부식시킴.
저온 안정도 시험 (低溫 安定度 試驗, test for coagulation at low teperature)
아스팔트 유제가 저장중 저온으로 될 때 어떠한 변화를 받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저온용 강재 (低溫用 鋼材, steels for low temperature service)
저온역(KS에서는 -10 ℃이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성을 높인 강으로, 주로 프로판 가스용기로 사용할 수 있음(-45 ℃까지). 저온용기용 Ni 강판(KS G 3127)은 Ni 함유량에 의해서 -45~-196 ℃의 넓은 범위에 사용할 수 있음. 극저온 용기용에는 오스티나이트(austenite)계 스테인레스가 이용되고 있음.
저온용기 (低溫容器, low temperature vessels)
주로 저온의 액체 등을 저장하는 용기.
저온용접 (低溫鎔接, low temperature welding)
보통 용접에 비해 훨씬 낮은 온도(500~1000 ℃정도)에서 하는 용접.
저온응력제거 (低溫應力除去, low temperature stress relieving)
600 ℃~70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열처리에 의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것.
저온취성 (低溫脆性, low temperature brittleness)
온도저하와 더블어 탄소강과 저합금강에서 재료의 인성이 저하하여 취성파괴가 쉽게 일어나게 되는 재료의 성질.
저위발열량 (低位發熱量, low calorific value)
수분 또는 수소를 포함한 연료를 연소시킬 때 연소가스 중에도 수분이 발생하여, 이 수분의 증발에 필요한 열량을 뺀 발열량을 말함. 진발열량이라고도 함.
저유조 (貯油槽, oil storage bin / tank)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의 연료를 저장하는 저유조는 7일분의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고, 가능하다면 방화를 위하여 지하 매설(地下 埋設)로 하는 것이 좋음.
저자성강 (低磁性鋼, low magnetic steel)
투자율 1.5이하의 자성이 약한 강. 오스테나이트계와 고망간 등이 있음. 초전도와 핵융합 등의 관련구조물에 사용되고 있음.
저장 안정도 (貯藏 安定度, settlement)
아스팔트 유제를 장기간 저장할 경우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아스팔트의 미립자가 침전되지 않고 언제까지나 유제의 상태를 보존하는 성질, 즉 유계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정도.
저저조 (低低潮, lower low water)
1일 2회의 저조중 낮은 것.
저저조기준면 (低低潮基準面, lower low water datum)
거의 평균저간조면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면을 기준면으로 채용한 것.
저조 1) (低潮, low tide / water)
→ 간조(干潮).
저조 2) (貯槽, storage tank)
유체 또는 분체저장용 용기.
저조 간사지 (低潮 干砂地, low tide terrace)
저조(간조)시 노출되는 해안.
저질 (底質, bottom material, sediment)
하천, 호소, 바다 등의 밑바닥을 구성하는 물질. 표층토 및 암반의 일부와 그 위의 퇴적물을 합친 것을 말함. 풍파 및 유수(流水)의 침식에 의해서 생긴 이토(泥土), 동식물 및 미생물의 사체,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등의 불용성 염 등이 퇴적하여 자연적으로 생겨난 것임.
저질오염 (底質汚染, sediment contamination)
하천밑, 호소밑, 해저 등에 퇴적한 토사 등이 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 등으로 유기물, PCB(폴리 염화 비페닐), 수은 등의 유해, 유독물질로 오염된 상태를 말함.
저탄소강 (低炭素鋼, low carbon steel)
탄소함유량 0.12~0.2 % 정도의 강. → 탄소강.
저폭 (底幅, bottom width)
수로의 바닥 폭.
저하(수면)곡선 (低下(水面)曲線, draw down curve)
상류(常流) 수로에서 그 수로 바닥의 경사가 한계경사 이상으로 될 때, 그 지점에서 상류로 수심이 등류수심 이하로 서서히 줄어드는 구간의 수면곡선.
저합금강 (低合金鋼, low alloy steel)
탄소 및 그 이외의 소량의 합금원소(Mn, Si, Cr, Ni, Mo, Ti, V 등)를 철에 첨가하여 요구되는 성질을 갖춘 강.
저항모멘트 (抵抗 - , resisting moment)
① 물체에 작용하는 힘 또는 우력에 의한 모멘트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
② 부재에 허용할 수 있는 최대 휨모멘트.
③ 사면이나 옹벽의 안정을 어느 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생각할 때, 사면자중, 옹벽 뒤채움의 토압이나 재하 등에 의해 저항하는 모멘트임.
저항용접 (抵抗鎔接, resistance welding)
용접이음의 접촉부를 통하여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저항열로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하는 용접.
적경 (赤經, right ascension)
천구상에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도좌표의 하나로서, 춘분점으로부터 어떤 천체의 시간권의 발까지 적도를 따라 동쪽(천구의 북쪽에서 보았을때 반시계방향)으로 잰 각거리. 시간단위로 표시함.
적산 (積算, estimation)
공사가격을 추정 산출하는 것. 공사설계전에 하는 원가계산을 의미함. 견적이라고도 함.
적설 방지시설 (積雪 防止施設, snow drift facilities)
지형, 기상 등의 상황에 따라 도로위에 눈이 날려 쌓일 염려가 있는 장소에 선형, 횡단형상 등 도로의 구조에 따라 적설예방책 등의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것.
적설 예방책 (積雪 豫防柵, jet roof)
도로의 바람맞이 쪽에 경사진 책을 설치, 도로상의 풍속을 증대시켜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을 말하며 특히 얕은 절취부, 편절부, 편성토부, 낮은성토부(2m이하)에서 효과적임.
적설 유도책 (積雪 誘導柵, snow fence)
도로의 바람맞이 쪽에 책을 세워 인공적으로 적설을 조성하여 도로에 쌓이는 눈을 사전에 방지하는 시설. 불투과책, 투과책의 2종류가 있음.
적수 (赤水, red water)
음료수나 수돗물에 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적갈색을 띠고 금속 맛을 가지는 물을 일컫는 말.
적열취성 (赤熱脆性, red shortness)
탄소봉이 300 ℃ 이상이 되면 크리프 한도가 급격히 감소되고 400~500 ℃에서 충격치가 최소로 되는데 이때를 적열범위라고 하며 가공하면 균열이 생기기 쉬운 성질.
적외선분광광도계 (赤外線分光光度計, infrared spectrophotometer)
기체, 액체 또는 고체 시료를 2.5~25 μm의 적외선 분광기로 분광하고, 이것이 통과할 때에 흡수되는 양을 각 파장에 대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흡수스펙트럼을 사용해서 정성 및 정량분석을 행하는 장치임.
적외선사진 (赤外線寫眞, infrared photography)
적외선을 이용한 사진으로 적외선 사진은 주로 식물의 종류와 활력을 판독하는데 사용됨.
적위 (赤緯, declination)
천구상에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도좌표의 하나로서, 어떤 천체를 포함하는 시간권을 따라 적도로부터 그 천체까지 잰 각거리. 적위는 적도상에서 0도이고 남북으로 각각 90도까지임.
적재정규 (積載定規, loading gauge)
무개 화차(無蓋 貨車)에 적재한 화물이 차량한계 외로 나가는 것을 검사하는 설비임.
적정 (適定, titration)
정량분석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조작의 하나. 시료용액의 일정 부피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이것과 반응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알고 있는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임. 보통은 뷰렛에서 조금씩 적하(滴下)하여 반응의 종점을 결정하기 때문에 적정이라고 함.
적정입도골재 (適正粒度骨材, well graded aggregarte)
최대밀도, 즉 최소공극을 가지는 입도 분포의 골재.
적조 (赤潮, red tide)
해수속에 플랑크톤이 급격하게 이상증식하여 해수가 적갈색을 띠는 현상을 말함. 도시 폐수나 산업 폐수에 의한 해수의 부영양화가 적조발생의 원인이며 하천의 유입이 많은 해역에 일어나기 쉽고, 어패류에 커다란 피해를 끼침.
적철석 (赤鐵石, hematite)
탄산염 광물및 점토 등 여러가지 광물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엽리나 단괴상 구조를 보여주는 세립암임. 산소가 감람석, 휘석에 있는 철과 같은 금속류 등, 지구물질과 결합하여 된 산화철임.
적하장 옹벽 (積荷場 擁壁, freight platform retaining wall)
고상식 적하장의 구조는 토공(土工)으로 돋기하여 선로쪽을 철근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옹벽으로 막고 적하장 표면은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함.
전가편익 (轉價便益, transferred benefit)
경제성분석에서 한 그룹이나 개인의 편익이 단지 모든 그룹이나 개인으로 전환 또는 전가되는 편익을 뜻함. 분석에서는 전이나 전가되는 편익이 이중효과를 낳기 때문에 포함시키지 않음.
전간극률 (全間隙率, total porosity)
흙 전체의 체적에 대한 물과 공기로 구성된 간극 합의 비를 전간극율이라고 함.
전개도 (展開圖, development)
물품 건조물 등의 표면을 평면으로 전개한 도면.
전공계전연동장치 (電空繼電聯動裝置, electro pneumat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信號機) 및 전철기(轉轍器)는 전기로 조작하고 전철기의 전환(轉換)은 압축공기(壓縮空氣)로 작동하며, 이들 상호간의 연쇄(連鎖)는 전기계전 연동장치와 똑같이 계전연동기(繼電聯動器)에 의하여 이루어짐.
전공전철기 (電空轉轍器, electro-pneumatic switch machine)
전자(電磁)밸브로 조정되는 압축공기를 전환기 등을 통하여 전철기를 전환시키는 장치임. 국철에서는 1977년 그 동안 사용하던 전공전철기를 전기전철기로 모두 대체하였음.
전극 (電極, electrode tip)
스폿용접에 있어서 모재에 직접 접촉하여 용접전류를 통함과 더불어 가압력을 전하는 작용을 하는 봉상전극.
전극돌출길이 (電極突出 - , electrode extension)
용접 와이어의 돌출길이. conduct tube 또는 tip의 끝으로 부터 용접 와이어가 돌출하여 있는 선단까지의 길이.
전극봉 (電極棒, electrode)
전류용접에서 전극으로서 녹아 붙게 되는 강봉.
전기계전연동장치 (電氣繼電聯動裝置, electr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 및 전철기를 전기에 의하여 조작, 전환하고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조작반(操作盤)과 계전기(繼電器)로 구성된 계전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기전철기(電氣電轍器)가 사용됨.
전기기관차 (電氣機關車, electric locomotive)
동력차중에서 동력원을 전기로 하는 기관차임. 전차선에서 팬터그래프로 공급된 전기를 변압기로 전압을 낮게하여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전동기는 차륜을 회전시키는 힘(기계 에너지)을 발생시키므로서 차량이 주행함.
전기기 연동장치 (電氣器 聯動裝置, electric-mechanical interlocking)
전기 정자(廷子)와 기계 정자를 사용하여 전철기, 신호기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제1종 전기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짐. 신호기는 전기적으로, 전철기는 기계적으로 제어, 쇄정함.
전기뇌관 (電氣雷管, electric detonator)
도화선 대신 전선에 저압전류를 흘려서 기폭시키는 뇌관.
전기도금 (電氣鍍金, electroplating)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또는 불용성 금속을 양극으로 하고 직류전기에 의하여 음극의 물질에 금속을 피복시키는 것. 동, 니켈, 크롬도금이 잘 행해지나 그외에 아연, 카드뮴, 주석이 철제품의 내용으로서 또 특수장식품에 금, 은의 도금이 행해짐. 도금폐수에는 유해한 중금속이온, 시안화합물을 포함하므로 금속의 회수와 폐수처리가 중요함.
전기드릴 (電氣 - , electroplatic drill)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구멍을 뚫는 기구. 레벳구멍을 만드는데 사용함.
전기리머 (電氣 - , electric reamer)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리머.
전기방식 (電氣防蝕, electric protection)
전기적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것. 일반적으로는 유전양극 또는 외부 전원을 사용해서, 금속체를 음극으로 하고 통전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음극방식법을 사용함. 특수한 경우에는, 방식하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는 양극방식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전기부식 (電氣腐蝕, electrolytic corrosion)
전류가 금속관을 경유하는 경우에 전류가 유출되는 부분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
전기분해 (電氣分解, electrolysis)
전해질용액이나, 융해전해질 등의 이온전도체에 전류를 통과시켜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것. 전기분해의 응용으로서는 전해야금이나 염소, 수산화나트륨 등의 제조, 전해분석, 전기도금, 전주, 전해연마 등이 있음. 전해라 약칭함.
전기삼투 (電氣滲透, electro-osmosis)
고정된 고체에 대하여 액체가 직류전압에 의해서 이동하는 현상. 계면동전현상(界面動電現象)의 하나임. 전기침투라고도 함.
전기석 (電氣石, tourmaline)
암체의 교대변성작용에서 OH, F, CL, CO2, S 또는 B 등의 광물을 포함하는 광석임.
전기셔블 (電氣 - , electric shovel)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파워셔블.
전기쇄정법 (電氣鎖錠法, electric locking)
전기쇄정방법에는 전자석회로의 개방에 따라 전자석이 전기정자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쇄정하는 방법 및 계전기의 회로를 여러가지 신호보안장치에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음.
전기신호기 (電氣信號機, electrical signal)
상치신호기는 조작 동력에 따라 인력을 이용하는 기계신호기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신호기로 분류함. 전기신호기에는 단등형(單燈型)신호기, 다등형(多燈型)신호기, 등렬식(燈列式)신호기 등이 있음.
전기양생 (電氣養生, electric curing)
전기저항선을 콘크리트의 주위에 배치하고 캔버스 등으로 싸고 콘크리트 주위의 공기를 덥게하여 양생하는 것.
전기연동장치 (電氣聯動裝置, electric interlocking)
신호기 및 입환표지는 취급소의 탁상전기정자(卓上電氣廷子)로 조작하고, 전철기와의 연쇄는 현장의 전철정자에 설치한 전기쇄정기로 하는 장치이며 현재 2종만을 사용하고 있음.
전기열차선 (電氣列車線, electric locomotive line)
전차전용선로(電車專用線路)를 말함.
전기용접 (電氣鎔接, electric welding)
전기회로의 일부에 집중한 열을 이용하는 용접.
전기이중층 (電氣二重層, electric double layer)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대전한 층이 하나의 면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여, 양전하의 절대치가 같은 상태에 있는 경우를 말함. 콜로이드 입자가 마이너스로 대전했을 때 용액 중의 양이온이 콜로이드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고 고(固)․액(液) 양쪽의 상(相)에 걸쳐 이중층을 형성함. → 이중층.
전기저항도탐사 (電氣抵抗度探査, resistivity survey)
매장물 윤곽이나 대수 층의 위치, 암반이나 지하수위의 깊이, 흙 상태의 변화 등의 조사에 이용됨. 지반의 단위면적당 전기 저항도를 측정하여 조사함.
전기저항용접 (電氣抵抗鎔接, electric resistance welding)
전기를 흘려 저항열로 가열하고 압력을 가해 용접하는 전기용접.
전기전철기 (電氣轉轍器, electric switch machine)
원거리에 설치한 전철기와 사용회수가 많은 전철기를 인력으로 전환하기 어려운 점과 작동의 확인이 불편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한 전기전철기를 말함.
전기정자 (電氣廷子, electric lever)
전기전철기의 전동기로 유입하는 전원의 송전과 차단을 하는 스위치를 말함. 1종 전기기 연동장치의 종류에 따라 개별제어정자와 일괄제어정자가 있음.
전기집진장치 (電氣集塵裝置, electrostatic precipitator)
기체 특히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粉塵)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하여 입자를 정전적(靜電的)인 힘으로 모아 기체를 정화하는 장치. 전기 집진장치는 F. G. 코트렐이 공업적인 실시에 성공하였으므로 코트렐집진장치라고도 함.
전기차 (電氣車, electric motor vehicle)
전기차(량)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어 열차를 견인하는 차량임. 전기차는 전기방식에 따라 직류, 교류, 교․직류 겸용, 성능에 따라 전동차, 전기기관차로 분류함.
전기착암기 (電氣鑿岩機, electric drill)
전동기로 크랭크를 움직여 비트를 왕복운동시키는 형식의 착암기.
전기철도 (電氣鐵道, electric railway)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철도를 말함. 지하철도, 고가철도 등 도시철도와 고속의 장거리 도시간 철도에 이르기까지 큰 역할을 하며 전력공급 방식에 따라 가공전차선 방식과 제3레일 방식이 있음.
전기탐사 (電氣探査, electrical prospecting)
물리탐사법의 일종으로 지반전류의 물리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전위, 비저항을 측정하며 지반구조, 지하수탐사 등에 이용됨.
전기투석 (電氣透析, electrodialysis)
전해질을 함유한 콜로이드 용액을 투석할 때 격막을 통하여 직류를 흘려 투석 속도를 촉진시키는 조작을 말함.
전나사볼트 (全 - , continuous thread bolt)
축부의 전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있는 볼트. 긴나사 볼트라고도 함.
전단강도 (剪斷强度, shear strength)
토괴는 자중 또는 외력의 작용으로 그 내부에 전단응력이 발생하면 전단변형을 일으키고, 전단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도 증대되어 토괴는 마침내 전단파괴에 이르며 이 때에 토괴에 나타내는 최대의 전단저항을 말함. 일반적으로 토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이 그 전단강도를 초과하면 토괴는 파괴되어 파괴면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음. 따라서, 기초지반의 지지력, 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 사면의 안정성 등과 같은 토괴의 안정성을 다루는데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기본적 성질의 하나이며 흙의 강도를 대표하는 요소임.
전단강성 (剪斷剛性, shear stiffiness)
탄성체에 외력에 의한 전단응력과 이에 따른 전단변형이 발생될 때 이에 저항하는 강함의 정도.
전단 뒤짐 (剪斷 - , shear lag)
큰폭의 플랜지를 갖는 부재가 휨을 받을때, 플랜지의 수직응력이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복부판과의 접합부에서 크게되는 현상.
전단력 (剪斷力, shear force)
어느 단면에 작용하는 단면력의 단면에 접하는 방향의 성분.
전단면 굴착공법 (全斷面掘工法, full face cutting)
필요한 굴착 단면을 한번에 굴착하는 공법. 소단면의 터널에 있어서는 표준적인 공법임. 대단면 터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단면 굴착 막장이 자립할 수 있는 양호한 암반이 연속해 있어야 함.
전단면(터널)굴착기 (全斷面掘鑿機, full face excavator)
암반이나 토사터널에서 전단면 굴착공법에 이용되는 굴착기계로서 TBM, Shield 등이 있음.
전단변형 (剪斷變形, shear strain)
외력에 의하여 재료가 찌그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변형성분.
전단상자 (剪斷箱子, shear box)
직접전단시험에서 시료를 넣는 상자. 두 개로 분리된 전단상자의 어느 한쪽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밀어서 시료를 전단시키는 상자를 전단상자라 함.
전단스팬 (“剪斷支間”, shear span)
기둥, 들보 등에서 전단력이 일정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구간의 길이.
전단시험 (剪斷試驗, shearing test)
전단에 의한 재료의 전단강도나 변형 등을 조사하는 시험.
전단연 (剪斷緣, sheared edge)
전단한 그대로의 판의 연.
전단연결재 (剪斷連結材, shear connector)
합성보에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강보(steel grider)가 일치가 되어 외력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설계하는 것.
전단응력 (剪斷應力, shear stress)
전단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응력.
전단저항 (剪斷抵抗, shear resistance)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재료의 성질.
전단저항각 (剪斷抵抗角, angle of shear resistance)
내부마찰각이라고도 하며 Mohr-Coulomb의 파괴기준에서 흙의 전단강도의 마찰성분을 전단파괴면상의 수직응력(σ)을 이용하여 σtanφ로 나타낼 때 φ를 말함. → 내부마찰각
전단절리 (剪斷節理, shear joint)
암반에 전단응력에 의해 생긴 절리.
전단 중심 (剪斷 中心, center of flexure)
들보에 작용하는 수직력에 의하여 부재 단면에 비틂이 발생하지 않고 순수한 휨 만이 발생하기 위하여 수직력이 재하되어야 하는 점.
전단철근 (剪斷鐵筋, shear reinforcement)
전단 또는 사인장력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철근.
전단파 (剪斷波, shear wave)
진동원으로부터 파동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진동하는 파로써 횡파, S파, 비틀림파라고도 함. SV파와 SH파 2가지가 있음.
전단파괴 (剪斷破壞, shear failure)
재료내부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재료의 전단강도에 도달하여 과도한 전단변형을 일으키며 파되되는 현상.
전단파면율 (剪斷破面率, percent shear)
샬피(Sharpy)충격시험편의 파면 면적에 대한, 연성 또는 취성 파면 면적의 비율. 각각 연성파면율 및 취성파면율이라 함.
전단파쇄기 (剪斷破碎機, shearing crusher)
고정날과 가동날, 왕복날과 회전날, 회전날과 회전날의 맞물림 등에 의해 폐기물을 절단하는 장치.
전단판 (剪斷板, shear plate)
판형의 복부판이음에 있어서 주로 전단력에 저항하는 것으로 가정해서 설계하는 이음판.
전단패널 (剪斷 - , shear panel)
복부판이나 기둥과 보의 접합부 판넬과 같이 주로 전단력에 저항하는 판.
전단 형상계수 (剪斷 形狀 係數, form factor for shear)
전단 응력에 의한 들보의 처짐을 고려할 때 단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무차원의 상수.
전달계수 (傳達係數, transmissivity, transmissibility coefficient)
현장의 투수계수에 대수 층의 포화된 부분의 두께를 곱한 것.
전달길이 (傳達 - , transfer / transmission length)
프리텐션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부재에 있어서 부재단으로 부터 소정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까지의 거리. 도입부착길이라고도 함.
전도 (顚倒, overturning)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멘트가 구조물이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구조물이 강체로서 회전하는 현상.
전도 모멘트 (顚倒 - , overturning moment)
구조물을 전도시키는 작용을 하는 모멘트.
전도파괴 (顚倒破壞, toppling failure)
사변 윗부분 암반이 기립된 전리에 따라 분리되어 전도되는 형식으로 붕괴되는 것을 말하며 똑바로 선 판상절리가 발달된 화산암 사면에서 자주 발생됨.
전동임팩트렌치 (電動 - , electric impact wrench)
전동식 임팩트렌치. 고력볼트를 조임하는 등에 사용되고 있음.
전동차 (電動車, motor car, electric motor coach)
교류, 직류, 교직류 겸용 방식 등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동력장치와 승객용 객실을 갖춘 차량.
전 두께 아스팔트 포장 ( - , 鋪裝, full-depth asphalt pavement)
노상 또는 개량 노상 위의 모든 층에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포장.
전력계통 (電力系統, electric power system)
전원에서 전력운송설비를 경과하여 부하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밀접히 연관된 전력의 발생에서 소비까지의 과정. 경제성과 신뢰성으로 보아 잘 협조된 구성이어야 함. 전력계통내의 전설비는 통상병행운전되며 신경계류에 상당하는 통신설비, 원격측정감시장치, 자동보호제어장치 등의 도움을 받아 일관성 있는 통합운용을 할 수 있음.
전로 (轉爐, converter)
선철을 노속에 넣고 산소 등의 산화가스를 주입하여 강을 만드는 서양배와 같은 형태의 노. 철강에 있어서는 순산소전로가 주류이며,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LD_converter 또는 basic oxygen furnace라 불리우는 것이 많음.
전로버스 (電路 - , trolley coach / bus)
→ 트롤리 버스.
전면기초 (全面基礎, mat foundation)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바닥전체에 깐 기초를 말하며 뗏목(raft)기초라고도 함. 구조물 침하방지나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부양(buoyance)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기초 아래 말뚝을 설치하기도 함.
전면부식 (全面腐蝕, general corrosion)
금속표면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생기는 부식.
전면수심 (前面水深, frontal water depth)
안벽 등 구조물의 앞쪽 수심.
전면 필렛용접 (全面 - 鎔接, fillet weld in normal shear, front fillet weld)
용접선의 방향이 응력전달방향에 거의 직각인 필렛용접.
전반적인 안정성 (全般的 - 安定性, overall stability)
사면에 옹벽을 설치하는 경우, 옹벽을 포함한 전체적인 사면안정을 검토하는 경우를 말함.
전반전단파괴 (全般剪斷破壞, general shear failure)
조밀한 사질토나 과입밀된 점토에서 발생하는 기초지반 파괴형태의 하나로서 초기에는 하중-침하관계가 직선적으로 변하다가 기초접지압이 어느 한계에 도달했을 때 갑자기 큰 침하가 발생되며 파괴되는 파괴형태. 기초주변지반의 융기가 수반됨.
전방교선법 (前方交線法, method of intersection)
두개 이상의 기지점으로부터의 방향선의 교점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방향선은 3개이상, 교각은 30°이상 120°에 가까운 것이 좋음.
전복탈선 (轉覆脫線, overturning derailment)
열차의 탈선을 발생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경우의 하나임. 여기서 전복이란 차량의 중력과 차량에 걸리는 수평력의 합력작용선이 궤간외로 작용하며 차량이 뒤집힌 상태.
전빈 (前濱, foreshore)
간조정선(干潮汀線)으로부터 경빈(徑濱)의 전단(前端)까지의 부분으로 항상 파에 씻기고 있음.
전빈 경사 (前濱 傾斜, foreshore slope)
전빈의 기울기.
전석 (轉石, boulder)
지하 깊숙히 연적된 암체(기반암)에 대하여 이와 연적되지 않고 표면에 퇴적한 암괴. 보링, 시굴을 할 때 전석을 기반암으로 오인하거나 구조물기초의 터파기에서 기초 및 깊이를 잘못 보아서 설계, 시공에 실수를 범하여 구조물의 안정을 해치는 수가 있음.
전성 (展性, malleability)
두드리거나 압착하면 얇게 펴지는 금속의 성질.
전소성모멘트 (全塑性 - , fully plastic moment)
단면의 모든 부분의 응력상태가 항복응력에 도달한 상태로서, 단면의 압축부는 소성압축을 받고 인장부는 소성인장을 받을 때의 휨모멘트.
전수두 (全水頭, total head)
위치수두, 압력수두, 속도수두(흙속에서는 거의 무시)의 합이며 흙중의 물의 흐름은 전수두의 구배에 의해서 생김.
전술 항법장치 (戰術航法裝置, tactical air navigation system)
항공기에게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항공 보안 무선 시설의 일종. 약어 : TACAN.
전시 (前視, fore sight)
① 관측된 점으로부터 관측되지 않은 새로운 점에 대한 관측.
② 표고 기지점 또는 공사 등의 기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임의 점의 높이를 구하려는 직접고저(수준)측량에서 레벨을 이동하기 전의 시준, 즉 표고를 구하려는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음.
전신실 (電信室, communication office)
정차장 설비로서 업무연락을 위한 통신설비를 갖춘 역무시설.
전압 (轉壓, rolling)
흙쌓기에서의 흙 또는 포장재료를 깔아 펴고 로울러로 굳게 다지는 공법.
전압공법 (轉壓工法, rolled method)
→ 다짐공법.
전압식흙댐 (轉壓式 - , roller-compacted earth dam)
흙 댐의 토사를 로울러로 다진 댐.
전압콘크리트 (轉壓 - , rolled concerte)
모르터분이 적은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에서 롤러 또는 기타의 다짐기계로 전압하여 마무리하는 것. 역청포장의 기층에 이용.
전압흙쌓기 (轉壓 - , rolled fill)
흙을 어느 두께로 깔아 전압기계로서 다진 다음 그 위에 흙을 또 깔아 다져 쌓아올리는 흙쌓기.
전연직응력 (全鉛直應力, total vertical stress)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유효응력과 간극수압의 합을 전연직응력이라 함.
전열양생 (電熱養生, electric heat curing)
전기저항선을 콘크리트의 주위에 배치하고 캔버스 등으로 덮어서 콘크리트 주위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양생하는 것.
전염소처리 (前鹽素處理, pre-chlorination)
정수에 이용되는 염소 처리법의 일종으로, 침전과 모래 여과를 행하기 전 원수 취수시 또는 착수시에 염소를 가하는 방법을 말함. 침전지, 여과지에 생물이 적어지고, 침전 슬러지가 부패하기 어려워져서 안전성을 높이고 색도, 냄새, 맛도 제거됨. 전염소법이라고도 함.
전용로대중교통(수단) (專用路大衆交通(手段), rapid transit)
전용 통행로상에서 다른 교통이나 보행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속으로 운행되는 대중교통수단. 일반적으로 철도에 많이 적용되나 버스전용도로(busway)를 이용하는 버스(bus rapid transit)도 이 범주에 들어감.
전용선 (專用線, private siding, industry track, byssiness track)
① 전용선이란 청원자가 국유철도의 역구내에 설치하여 이를 전용하는 선로, 즉 특정인의 자기화물 수송을 위하여 자기 부담으로 부설한 선로.
② 대량의 화물이 출입하는 공장, 창고 등의 출입전용으로서 공중의 교통용으로 공여(供與)되지 않은 선로(線路).
전용시설 (專用施設, specific facilities)
다목적 댐 사업에서 공동시설과 일체적으로 사용되는 시설로서 하나의 사업목적에만 쓰이는 시설.
전용접 (栓鎔接, plug welding)
→ 플러그용접.
전용철도 (專用鐵道, exclusive railway)
사용자가 전용하기 위하여 부설한 철도.
전용철도대중교통(수단) (專用鐵道大衆交通(手段), rapid rail transit)
지하나 고가 등 다른 교통이나 보행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용 철도상에서 운행되는 고속 대중교통(수단).
전위 (轉位, dislocation)
격자결함의 한가지. 결정내의 선(전위선)에 따라 형성된 원소배열의 미끄러짐. 전위가 발생 운동 증가하는 것에 의해 결정구조 재료의 소성이 설명될 수 있음. 디스로케이션이라고도 함.
전응력 (全應力, total stress)
지반 또는 재료속의 임의면상에 작용하는 유효응력과 간극수압의 합.
전 응력계 (全應力計, total stress cell)
지반내의 전응력을 측정하는 계기를 의미함. 측정지점의 간극수압의 크기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측정결과로부터 토입자간의 응력전달만을 의미하는 유효응력을 산정할 수 있음. Cell에 의해 원하는 각도의 응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결과는 Mohr의 응력원에 의해 최대‧최소 주응력을 산정하고 전단강도와 비교함으로써 측정지점의 전단파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는데도 활용됨.
전응력해석법 (全應力解析法, total stress analysis)
안정 해석을 함에 있어서 실제의 지반에서 발생되는 간극수압의 크기를 알기 힘들 때 전응ㄹㄱ으로 표시된 응력과 강도정수를 이용하는 해석법. 연약점토지반상에 성토시공을 할 경우에 비압밀 비배수 강도를 사용해서 단기안정문제로 해석하는 방법이 대표적인 예임.
전이표면 (轉移表面, transition surface)
비행장 장애 제한 표면의 일종. 진입 표면의 측면 경계에서부터 7:1 의 경사를 이루며, 헬기장은 4:1 보다 가파르게 수평표면 또는 원추표면과 만날 때까지 연장되는 면임.
전자동배치플랜트 (全自動 - , perfect automatic batch plant)
골재의 계량, 콘크리트의 혼합 방출을 모두 자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배치플랜트.
전자동식배처 (全自動式 - , automatic batcher)
시동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계량개시시에 자동적으로 열려서 소정의 중량에 달했을때 닫히는 투입 배출구를 가지는 배처로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운동함. ① 투입기구는 계기가 0으로 돌아갈때 까지는 열리지 않음. ② 투입기구는 배출기구가 열렸을 때에는 열리지 않음. ③ 배출기구는 투입기구가 열려 있을 때에는 열리지 않음. ④ 배출기구는 계량중량이 허용오차 이내에 들을 때까지는 열리지 않음. ⑤ 다른 종류의 골재 또는 시멘트를 연속적으로 하나의 배처로 계량할 경우에도 연속조작이 가능함.
전자빔 용접 (電子-鎔接, electron beam welding)
진공에서 발생시킨 고속의 전자빔을 쬐어, 그 충격발열을 이용하여 행하는 용접.
전자세 (全姿勢, all position)
아래보기, 수평, 수직, 위보기의 모든 용접자세의 총칭.
전자시거측량기 (電子視距測量機, electronic tacheometer)
전자기파거리측량기와 트랜시트를 결합한 것으로 거리와 각뿐만 아니라 삼차원위치(X, Y, Z)도 즉시 구할 수 있는 장비임.
전자야장 (電子野帳, data recorder)
관측자료를 현장에서 직접 기계에 부착된 자료저장 장치를 통해 입력과 출력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식 야장임.
전자연동장치 (電子聯動裝置, electronic interlocking)
지금까지 연동장치에는 계전기(relay switch)가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파라메트론, 자기증폭기 등의 반도체에 의한 스위치 소자가 도입되고 있음.
전자총 (電子銃, electron beam gun)
텅스텐 필라멘트에 통전하여 열전자를 방사시키고, 고전압의 양극에 의해 가속해서, 집중렌즈에 의해 용접물 위에 집속시킴. 용해 절단 천공 증착에도 사용됨.
전자파공해 (電磁波公害, pollution of electromagnetic wave)
각종 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일으키는 공해. 각종 전기 및 전자기의 전원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기기 상호간에 간섭현상을 일으켜 오동작(誤動作)을 유발하고 성능저하를 초래하며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침.
전자피더 (電磁 - , electromagnetic feeder)
피더의 슈트에 전자식 진동을 주어 골재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출구간격 또는 진동수를 바꾸어 유출량을 가감하도록 된 피더.
전자현미경 (電磁顯微鏡, electron microscope)
광학현미경의 광선 대신에 전자선[電子線], 광학 렌즈 대신에 전자 렌즈를 사용하여 형광면 위에 물체의 확대상을 결상(結像)시켜 관찰하는 현미경. 전자파의 파장이 짧기 때문에 광학현미경에서는 불가능한 고배율, 고분해능의 상을 얻을 수 있음.
전조나사 (輾造 - , cold rolled screw)
PC강봉의 정착이나 접속을 위하여 그 단부에 만드는 나사로서, 전조롤을 사용하여 나사의 골은 눌러 들어가게 하고 나사의 산은 볼록 솟아나게 한 것.
전주구배 (轉走勾配, descending grade)
험프(hump) 입환시 압상구배에서 화차를 압상하여 화차를 전주시키는 구배.
전진법 (前進法, method of progression)
평탄측량에서 측점에서 측점으로 평탄을 순차적으로 옮기면서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여 도상에 다각형을 결정하는 방법.
전진 잭킹공법 (前進 - 工法, front jacking method)
일반적으로 관내에서 인부의 작업이 가능한 강관을 추진기를 사용하여 지중에 압입하여 터널을 시공하는 공법을 의미하며, 적은 관경으로 터널천단과 측벽에 관입시켜 터널시공이 가능하도록 터널주변을 보강․시공하는 방법도 포함됨.
전차 (電車, street car)
노면교통 수단과 통행권을 공유하면서(shared right-of-way), 궤도를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 전기동력을 사용함.
전차고 (電車庫, electric car shed)
전기차의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고로서 일반적으로 장방형(長方形)임.
전차대 (轉車台, turn table)
기관차 등의 방향전환을 위한 설비.
전차대 회전레일 (“轉車台 回轉軌條”, turning rail for turn table)
전차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강판형을 전주시키기 위하여 강판형 아래에 원주형(圓周形)으로 설치한 레일.
전차선 (電車線, trolly wire, catenary)
차량의 집진장치에 접촉하여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가공전선(架空電線)을 말함. 경동(硬銅), 합금강(銀銅, 카드뮴銅)이 사용되고, 형상으로는 원형, 홈있는 제형(梯形) 및 이형(異形)이 있음.
전차선로 (電車線路, electric car line)
가공전차선, 급전선로, 귀선로 및 이에 부속하는 시설을 총괄한 것.
전처리 (前處理, preliminary treatment)
하수, 폐기물, 퇴비 등의 처리를 할 때, 주된 처리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미리 행하는 처리. 하수 처리에서는 스크리닝에 의한 대형 고형물의 제거, 응집제의 첨가 등의 조작을, 폐기물 처리에서는 선별, 증발, 탈수, 여과, 흡수, 흡착, 분쇄, 압축, 소각 등의 조작을, 퇴비화 처리에서는 유리, 고무, 플라스틱 등의 비퇴비 물질의 제거, 퇴비화 물질의 파쇄 등의 조작을 말함.
전천후농업 (全天候農業, all weather farming)
관개배수시설을 완비하여 어떠한 날씨에도 안심하고 영농할 수 있는 농업.
전철간 (轉轍桿, front rod, switch rod)
전철간은 텅레일의 선단에 취부되고 전환장치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에 따라 포인트가 전환되어 진로가 바뀌어짐.
전철레버 (轉轍 - , switch lever)
전철기를 현장에서 전환하는 레버 또는 봉상(棒狀)부분을 말함.
전체 좌표계 (全體座標系, global coordinate system)
구조계 전체의 부재 배열과 하중계를 참작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표시하기에 가장 편리하도록 선택한 구조물 위주의 좌표계.
전축거 (全軸距, total wheel base)
일량의 차량의 전후 양단에 있는 차축의 수평중심거리.
전파거리측량 (電波距離測量, electronic distance measuring)
두대의 전파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한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파의 위상과 발사파의 위상차로 부터 거리를 구하는 측량 방법임.
전파거리측량기 (電波距離測量機, 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
극초단파 또는 장파를 이용한 전자파거리측량기의 한 종류임.
전파 속도 (傳播 速度, wave celerity, wave speed, phase speed)
개개의 파가 진행하는 속도로서 파장을 주기로 나누거나 각주파수를 파수로 나눈 값으로 정의됨.
전폭기 (前曝氣, preaeration)
최초침전지의 앞에서 하수를 폭기하는 것. 예비처리의 일종으로 부유물질 및 부상고형물을 처리장치로 골고루 분산시키거나 부패와 냄새방지를 위해 3~15분 동안 폭기함.
전해부식 (電解腐蝕, electrolytic corrosion)
지중금속체중에 측정할 수 있는 정도의 전류가 흐르고, 이것에 의해 금속체가 부식되는 현상.
전해질 (電解質, electrolyte)
물 또는 기타 용매(溶媒)에 용해, 이온화[電離]되어 전기전도를 하는 물질. 강산(强酸), 강염기, 염류 등 그 전부 또는 대부분이 전리되어 있는 것을 강전해질이라 하고 약산, 약염기 등 전량의 일부만이 전리되어 있는 것을 약전해질이라 함. →고분자 전해질.
전향선 (轉向線, turning track)
차량의 방향을 정반대로 전환(轉換)시키기 위하여 델타선(delta track) 또는 루우프선(loop track)을 사용함.
전호 (傳號, sign)
철도에서 종사원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위하여 형(形), 색(色), 음(音) 등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말하며, 출발 전호, 비상 전호, 대응 수신호, 현시 전호, 입환 전호 등이 있음.
전호용접 (電弧鎔接, enclosed arc welding)
양레일 단부에 용접봉에 의한 전류를 통해서 발생시킨 아크(arc)열에 의하여 레일단을 적열(赤熱)시켜 용접봉으로 레일 간극을 메꿔 용접하는 방법임.
전화 (電化, electrification)
동력을 전기동력화 하는 것을 말함. 철도에서 전화의 뜻은 증기, 디젤 등의 동력을 전기로 바꾸는 것, 즉 전기기관차나 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함.
전화공사 (電化工事, electrification work)
전화를 위하여 시공하는 공사를 말하며 철도에서는 송전선로, 변전소, 전차선로 등의 신설, 전등 전력설비, 신호설비 등의 개수, 터널, 교량 등의 저장물의 개수, 전력 및 보안용 건물 신설 등의 공사를 하게 됨.
전화구간 (電化區間, electrified section)
열차를 운전하는 동력을 증기 등 기타의 것으로부터 전기로 변경한 구간.
전환교통 (轉換交通, shifted / diverted traffic)
도로의 신설 또는 개축에 따라 타도로에서 전환되어 오는 교통.
전환기 (轉換器, switch stand, switch throwing device)
분기기를 전환하여 분기기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전철기(轉轍器, shunt)라고도 함.
전환수로 (轉換水路, bypass channel)
홍수시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하는 유량에 대비하여 본 하천 이외에 수로를 만들어 유량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서 홍수피해를 경감시키도록 만들어 놓은 홍수경감 전환수로.
전환장치 (轉換裝置, switch throwing device)
포인트의 첨단레일을 기본레일에 밀착 또는 분리시켜 포인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하는 장치를 말하며 전철장치(轉轍裝置)라고도 함.
전환점 (轉換點, turning point)
표고의 기지점과 미지점의 간격이 먼 경우나 여러번 기계를 고정시켜 고저차를 구하려고 할때 전후의 측량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시, 후시를 함께 취하는 표척점임. 이기점(移器点), TP라고도 함.
절개터널공사 (切開-工事, open cut tunnelling)
지상에서 굴착터널의 구조물을 만든 다음 되 메워서 원상으로 복구하는 것.
절곡철근 (折曲鐵筋, bent up bar)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사방향으로 휘어 올리거나 또는 휘어 내린 사인장철근.
절단계획 (切斷計劃, cutting plan)
설계도 및 재료표로부터 규격별. 판두께별로 구분하여, 쓸모없는 부분이 가장 작도록 강판을 잘라내는 것.
절단연 (切斷緣, cutting shoulder)
가스절단한 단면의 상측의 연.
절대신호기 (絶對信號機, absolute signal)
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기를 절대 신호기라 함.
절대압력 (絶對壓力, absolute pressure)
완전 진공을 기준으로 한 압력을 말함. 게이지압에 대기압을 가한 압력으로, kg/cm2 abs 또는 ata와 같이 표시함.
절대오차 (絶對誤差, absolute error)
계산값, 관측값 또는 실험값에서 참값, 기준값 또는 이론값을 대수적으로 뺀 결과.
절대온도 (絶對溫度, absolute temperature)
기체의 열팽창에 입각하여 결정된 온도. 섭씨 온도의 눈금을 이용하여 -273 ℃를 절대영도[0˚K(켈빈)]로 하는 열역학적 온도를 말함. 절대온도 T˚K과 섭씨온도 t ℃와의 사이에는 T=t+273의 관계가 있음. 국제규격의 SI단위계에서는 켈빈의 단위를˚K 대신에 단지 K로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음.
절대 잔골재율 (“絶對 細骨材率”, ratio of fine aggregate)
시멘트콘크리트 중의 잔골재량과 골재 전량과의 절대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절대점도 (絶對粘度, absolute viscosity)
점도를 C.G.S 단위인 포아즈(poise)로 표시한 것.
절대조도 (絶對粗度, absolute roughness)
수로의 바닥이나 주변에서 표면의 요철 높이.
절대 최대 전단력 (絶對最大剪斷力, absolute maximum shear force)
활하중이 들보 위를 이동할 때, 들보의 각 단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 전단력 중의 최대치.
절대 최대 휨모멘트 (絶對最大 - , absolute maximum bending moment)
활하중이 들보 위을 이동할 때, 들보의 각 단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 휨모멘트 중의 최대치.
절리 (節理, joint)
암반중에 발달되어 있는 비교적 일정한 방향을 갖는 갈라진 틈이며 그 양측 암석의 상대이동량이 없든가 거의 없는 것. 절리면의 상태에 따라 암체의 활동, 낙반, 붕락원인이 되기 쉬우므로 방향성, 협재물, 면의 조도가 함께 파악되어야 함.
절리굴곡도 (節理屈曲度, joint roughness)
절리면의 균열 표면의 굴곡정도를 나타냄. 굴곡정도에 따라 전단저항력이 달라짐.
절리면 (節理面, joint plane, joint face)
불연속면의 하나로 면의 양쪽 상대변위가 작고, 비교적 소규모이며 군(群)을 구성해서 분포함. → 절리
절리면 굴곡계수 (節理面 屈曲係數, joint roughness coefficient)
절리면 균열에서 굴곡각과 관련된 요소로써 표면의 굴곡도를 말함. 측정절차 중 중요한 부분으로 절리굴곡도를 구하는 것임. 보통, JRC라고도 함. 예로서, 굴곡이 심한경우는 JRC를 20, 굴곡이 완만한 경우는 10, 굴곡이 평면에 가까운 경우는 5를 사용함.
절리면 압축강도 (節理面 壓軸强度, joint(wall) compressive strength)
절리면에 인접해 있는 암석재료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직접전단시험과 점재하시험방법이 있음. 전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후자는 시험법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결과를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많은 시료에 대하여 실시할 수가 있음. 점재하시험은 2점으로 암석시료를 끼우고 재하하므로써 시료를 파단시켜 최대하중으로부터 점재하강도를 산출하는 것임. 파괴양상은 재하점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포함한 면에서 깨지는 것이 보통임.
절리방향 (節理方向, joint orientation)
절리에 대하여 주향, 경사의 계측을 말하며, 노두에서 조사하는 경우에는 클리노메타(clinometer)를 사용해서 계측하고, 한편 시추공을 사용해서 조사하는 경우에는 보우홀티브(borehole TV)관찰결과에 의하여 주향과 경사를 구함.
절리작용 (節理作用, jointing)
지각운동에 의하여 윗부분을 덮고 있는 암체의 하중, 지각운동에 의한 힘, 암석형성시에 보이는 열 변화에 의한 암체 자신의 신축 또는 팽창에 의해 발생한 응력으로 인하여 절리가 형성되는 작용을 절리작용이라 함.
절리조사 (節理調査, joint survey)
절리분포 성상의 정량적 평가의 일환으로써 실시하는 것이며, 특히 암반내부의 절리분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임. 절리에 대하여 조사해야 할 내용은 방향성, 밀도, 연속성, 개구성, 협재성, 조도, 조합상황 등을 조사함.
절반물막이방식 (折半 - 方式, two stage diversion)
가물막이댐으로 하수를 하천의 한쪽으로 돌려서 댐을 2단계로 축조하는 방식.
절삭 (切削, cutting)
바이트(byte) 혹은 그것을 장착한 공구를 사용해서 금속 등을 깎아내는 기계가공의 방법.
절삭 유유제 (切削 油乳濟, cutting oil emulsion)
금속재료의 절삭가공에 쓰이는 유제를 유화시킨 것.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설할 때 혼합물이 타이어 롤러 등의 차륜접지면에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희석된 것을 끊임없이 도포함.
절석쌓기 (切石 - , asher)
방형의 돌로 된 조적조의 일종.
절선식정거장 (折線式停車場, switch back station)
산악 등 급구배선이 연속되어 정차장을 설치할만한 완구배를 얻지 못할 때에 수평 또는 완구배의 선로를 본선에서 분기시켜 설치한 정차장.
절성토 (切盛土, cut embankment)
노선종단 방향에서 성토가 재료로서 유용할 수 있는 절토와 성토가 균형되는 절토 및 성토공을 말함.
절연이음매 (絶緣 - , insulated joint)
레일과 이음매판의 볼트 주위 및 유간에 직접 화이버(fiber) 또는 합성수지(prastic) 및 기타의 재료로 된 절연재를 삽입하여 전기를 절연시키는 이음매.
절연재료 (絶緣材料, insulation material)
전기 또는 열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
절점 (節點, panel point, joint, node, nodal point)
① 부재와 부재 상호간의 연결부.
② 어떤 체계의 매개 변수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망상체계 (network system)의 점.
③ 중복파에서 수위의 변동이 없는 지점.
절점 회전각 (節點 回轉角, angle of joint rotation)
외부 하중과 같은 외적요인으로하여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강절이 원래의 위치로 부터 회전한 각.
절점 평형 방정식 (節點平衡方程式, nodal equilibrium equation)
뼈대구조의 한 절점에서, 그 절점을 공유하는 부재의 재단력과 외력의 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얻어지는 방정식.
절점 변위 (節點變位, joint displacement)
구조물의 절점에서 외력 또는 온도 등 외부변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변위로서, 일반적으로는 처짐과 처짐각을 총칭함.
절점 좌표 (節點座標, nodal coordinates)
구조물 좌표계에서 각 절점의 좌표.
절점 하중 (節點荷重, nodal force)
절점에 작용하는 외력.
절충분석 (折衝分析, trade off analysis)
교통사업의 분석에서 상충적인 목적을 절충하여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의 효용을 성취하려고 하는 분석.
절취난이도 (切取難易度, cuttability)
절면절취를 실시할 경우의 쉽고 어려운 정도.
절편법 (切片法, slice method)
사면의 안정해석법의 하나로서 가상활동면의 단면을 몇개의 분할편(slice)으로 나누어 분할편에 작용하는 힘들의 평형조건에 대한 해석을 통해 사면활동파괴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는 해법.
점감식폭기 (漸減式曝氣, tapered aeration)
표준 활성슬러지법의 경우 폭기조 유입구 부근의 BOD 부하가 극도로 크게 되면 유입구 부근은 산소가 부족하며 하수는 부패하여 악취를 풍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구 부근의 폭기도를 크게 하고, 배출구 부근의 폭기도를 작게 하는 기법.
점강우량 (點降雨量, point rainfall)
한 지점에서 기록되는 일정 기간 동안 강우량의 크기.
점검구 (點檢口, access hole)
공사, 점검 등을 위해 사람이 통행할수 있도록 구조 부재에 설치한 구멍.
점검측량 (點檢測量, checking survey)
수준측량에 있어 주로 중심말뚝의 검측을 뜻함.
점고법 (點高法, spot system)
지표면상 임의점의 표고를 도상에 있는 숫자에 의하여 지표를 나타내는 방법이며, 해도, 하천,호안, 항만, 심천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됨.
점도계 (粘度計, viscometer, viscosimeter)
유체 점성의 정도를 결정하는 계기. 그것을 측정할 때에는 흐름을 층류로 유지해야 하며,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함.
점도계수 (粘度係數, coefficient of viscosity)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의 크기 또는 내부마찰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점도시험 (粘度試驗, viscosity test)
역청재의 점도를 구하는 시험.
점멸등 (點滅燈, beacon)
정지할 것인가 혹은 주의해서 진행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적색 혹은 황색의 등화가 반짝이는 것.
점변류 (漸變流, gradually varied flow)
개수로에서 수심이 수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변하는 흐름. 점차변화류에서는 에너지경사선, 동수경사선 그리고 바닥의 경사가 서로 다르며, 바닥경사에 따라 몇 가지 수면곡선으로 나눌 수 있음.
점보드릴 ( - , jumbo drill)
터널공사에서 작업의 신속, 인력의 절감을 목적으로 개발한 것인데 이동대차에 착암기 탑재용 붐울 2개에서 20여개까지 장치한 착암기. 이 착암기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하여 상하좌우 임의의 천공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음.
점성 (粘性, viscosity)
① 유체가 흐를 때에는 유체분자 사이의 응집력과 분자적 운동량의 교환이 일어나 유속이 빠른 층은 느린 것을 앞으로 잡아 당기고 반대로 느린 층은 뒤로 잡아 당기는 작용을 하며, 이 효과는 층들 사이에서 전단력으로 나타남. 유체의 이러한 성질을 점성이라고 함.
② 재료의 응력-변형도 관계가 시간에 의존하는 성질로서, 일정한 응력하에서도 시간에 따라 변형도가 증가하거나 일정한 변형도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응력이 감소하는 성질.
점성 감쇠 (粘性減衰, viscous damping)
구조물의 감쇠 특성이 보통 속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감쇠 현상.
점성계수 (粘性係數, coefficient of viscosity, dynamic viscosity)
유체 흐름 방향의 단위면적 당 전단응력을 흐름에 직각인 횡방향 속도구배로 나눈 값으로 유동중인 유체분자 사이의 마찰의 수량적 표시임.
점성균열 (粘性龜裂, plastic crack)
쳐넣은 직후의 아직 점성이 있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생기는 균열.
점성내화점토 (粘性耐火粘土, plastic fire clay)
비점성재료를 붙이기 위한 충분한 자연의 점성이 있는 내화점토 또는 모르터의 점성촉진제로서 사용되는 내화점토.
점성류 (粘性流, viscous flow)
점성이 있는 유체의 흐름.
점성유체 (粘性流體, viscous fluid)
점성이 있는 유체.
점성저층 (粘性底層, viscous sublayer)
벽면이 완전히 미끈할 때 벽면에서 발생하는, 점성이 지배적인 매우 얇은 층.
점성토 (粘性土, cohesive soil)
점토를 다량 함유하여 점성이 풍부한 흙.
점소성 (粘塑性, viscoplasticity)
점성과 소성의 양성질을 나타내 보이는 물성으로 특히 소성영역에 있어서 점성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즉, 응력이 소성 변형속도의 함수로 나타내는 물성임.
점식 (點蝕, pitting)
① 부식형태의 일종으로 전기화학적 기구에서 특정한 작은 부분에 점점이 구멍모양의 오목부가 생기는 부식.
② 서로 접촉하여 상대운동을 하는 2개의 금속면간에 작용하는 접촉응력이 높을 때 금속표면이 낡아 파손되어 국소적으로 원형의 파임이 생기는 현상으로 톱니바퀴, 톱니면 등에 자주 발생함.
점용접 (點鎔接, spot welding)
→ 스폿용접.
점우량 (點雨量, point rainfall)
어느 한지점이나 우량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
점착 (粘着, pressure sensitive adhesion)
접착의 일종으로 일시적인 접착을 말함. 물 용제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단시간의 경미한 가공으로 접착을 할 수 있음. 또, 응집력과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강하게 접착되는 반면, 딱딱한 평활면으로 부터 떼어낼 수도 있음. 다만, 후처리에 의해 영구접착이 되는 것도 있음.
점착계수 (粘着係數, adhesive coefficient)
철도레일과 차륜답면간의 마찰계수.
점착력 (粘着力, cohesion)
흙입자의 표면을 둘러싼 흡착수나 흙중의 간극수가 가지고 있는 모세관 압력에 의한 일종의 풀과 같은 작용으로서 Coulomb의 파괴규준(τ= c +tanφ )에서의 c값.
점탄성 (粘彈性, viscoelasticity)
점성과 탄성의 양성질을 나타내 보이는 물성으로 변형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
점탄소성 (粘彈塑性, viscoelastoplasticity)
외력작용에 의해 변형률이 발생하고 외력이 작은 범위에서는 힘을 제거하면 응력-변형률이 다같이 소실되지만 외력이 탄성한계보다 크게되면 이것이 제거한 경우에도 변형률이 남으며 외력 재하시간에 따라 변형률량이 변화함.
점토 (粘土, clay)
주로 점성을 가진 흙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흙으로서 어느 함수량의 범위에서 소성을 나타내고 입경이 0.005 mm 또는 0.002 mm 이하로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는 흙.
점토결합재 (粘土結合材, clay binder)
조립자간의 결합작용을 위해 사용된 점토.
점토광물 (粘土鑛物, clay mineral)
① 점토의 주성분이 되는 층상의 결정구조를 가진 함수규산염 광물. 암석 등의 풍화물이 미세한 결정체로 성장한 것과 유리질의 화산재가 결정화된 것
② 암석의 조암광물의 하나로서 대부분 퇴적암, 변질한 화성암, 변성암 중에 포함되어 있고 토질공학과 관련된 대표적인 것으로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가 있음.
점토굴착기 (粘土掘鑿機, clay digger)
공기해머에 삽날 같은 것을 붙여서 그 충격력으로 점토, 토사 등을 굴착하는 기계.
점토그라우팅 (粘土 - , clay grouting)
점토 주입.
점판암 (粘板岩, slate)
점토가 수중에서 퇴적과 경화의 과정을 거친 후 다시 변성작용으로 생긴 견고하고 치밀한 층리를 가지고 있는 암석.
점하중 (點荷重, point load)
공시체를 정형하지 않고 암석의 보링코어, 절단편, 버럭 등으로 채취한 원상태로 시험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즉시 인장강도를 알고자 할 때 적합한 시험방법임.
접근단 (接近端, approach nose)
도로의 본선과 진출부사이에 존재하는 단부.
접근돌출부 (接近突出部, gore area)
합류 또는 분류되는 지점에서 차로의 포장면 오른쪽 가장자리와 연결로 포장면의 왼쪽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지역.
접근부 (接近部, approach)
단순한 도로부분에서 운전자의 판단이 요구되는 도로부분(예들 들면, 교차로, 철도건널목)으로 접근해 갈 때의 도로부분.
접근성 (接近性, accessibility)
한 도로와 도시의 교통유발시설간의 연결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이동성과 함께 도로의 기능을 나타냄.
접근유속 (接近流速, approaching velocity, velocity of approach)
오리피스나 웨어의 상류측 단면의 평균유속. 상류측 단면의 유량을 흐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됨.
접근유속수두 (接近流速水頭, approaching velocity head)
접근유속을 수두로 바꾼 것. 접근유속을 Va라 하면, 접근유속수두는 ha=Va2/2g가 됨.
접근지체 (接近遲滯, approach delay)
교차로 접근부에서 경험하게 되는 통행시간지체.
접륜 (接輪, thimble)
주철관을 접합할 때 사용하는 양단이 수구형의 단관을 말함.
접선력 (接線力, tangential force)
물체의 한 면에서 작용하고 있는 접선방향의 성분.
접선 응력 (接線應力, tangential stress)
물체의 한 면에서 접선방향으로의 응력 성분.
접선 탄성 계수 (接線彈性係數, tangential modulus of elasticity)
응력-변형도 곡선의 접선 기울기. 선형 탄성 재료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짐.
접속구 (接續具, coupler)
→ 커플러.
접시리벳 ( - , counter sunk rivet)
리벳의 머리가 접시 모양으로 되어 있고 외부로 돌기 되지 않게 한 리벳.
접시볼트 ( - , countersunk head bolt)
볼트의 머리가 평평한 볼트.
접지대 등 (接地臺 燈, touch-down zone lights)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접지대를 알려주기 위하여 접지대에 설치하는 등화.
접착절연레일 (“接着絶緣軌條”, glued-insulation rail)
궤도구조상 취약 개소인 절연이음매를 강화하기 위하여 레일과 레일의 접합부 및 레일과 이음매간에 절연재를 삽입하여 강력한 접착제를 접착하여 열차 충격강도와 전기절연성을 충분히 갖게 한 레일.
접촉각 (接觸角, angle of contact)
정지하고 있는 액체의 자유표면이 그릇의 벽에 닿는 자리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액체의 표면과 그릇의 벽이 이루는 각.
접촉시간 (接觸時間, contact time)
염소제 등의 약품류나 공기 등이 물과 접촉하는 시간.
접촉안정화법 (接觸安定化法, contact stabilization process)
활성 슬러지법의 변법으로, 2개의 폭기조 즉 접촉조와 안정화조를 사용하는 방법. 반송 슬러지를 안정화 탱크(재폭기조)내의 폭기에 의해 충분한 산화, 안정화시키고, 응집 흡착력과 블럭 형성력을 강화하여, 혼화탱크에서 하수와 30~60분간 혼화 접촉시켜 유기물을 흡착 제거함.
접촉여상법 (接觸濾床法, contact bed process)
쇄석, 콘크리트 블럭 등 비교적 큰 접촉제를 이용해서 만든 여상을 말함. 공극을 크게 해서 공기와의 접촉을 크게 하고, 호기성균의 증식속도가 높아 균의 피막 생성을 빠르게 함.
접촉유사 (接觸流砂, contact load)
하상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유사.
접촉 응력 (接觸應力, contact stress)
두 물체가 맞대어 있을 때 서로 닿는 점 또는 면에서 발생하는 힘.
접촉정거장 (接觸停車場, touch station)
두 개 이상의 선로가 집합하여 연락, 운수를 하는 연락(連絡)정거장의 하나로서 두 개 이상의 선로가 접촉한 지점에 공통하게 설치한 정거장을 말함.
접합부 (接合部, junction, connection, joint)
두 개 이상의 구성재가 접합하는 부분.
접합점 (接合點, interface)
부문별 계획 공정표의 상호간에 연결되는 단계로서, 전체 공사에 대한 연관성과 자세한 계획을 나타냄.
접합정 (接合井, junction well)
도수로 도중의 분기점, 합류점 또는 관로를 바꾸는 곳 등에 설치하는 수조. 동수구배가 큰 경사지에서는 도수관의 수압을 저하시켜 배관 등의 공사비 절약하기 위하여 설치함.
정 (釘, chisel)
재료의 절단, 갈아내기 등에 사용하는 공구.
정각데릭 (定脚 - , stiff leg derrick)
고정각으로 기둥을 지지하고, 그 근원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을 회전할 수 있는 사재를 기둥 끝에서 달아 늘어뜨려 올렸다 내렸다 하여 사재의 끝에 장치될 활차를 통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중기.
정각아치댐 (定角 - , constant angle arch dam)
아치댐의 일종으로 각 표고에서 아치 요소의 중심각이 일정한 값을 갖는 것.
정거장 (停車場, station, depot)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하, 열차의 조성, 차량의 입환,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상용하는 장소를 말함. 정차장의 종류에는 역, 조차장, 신호장 등이 있음.
정거장 구내 (停車場 構內, station yard)
정차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 장내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간의 지역이 정차장 구내가 됨.
정거장 구역표 (停車場 區域標, station boundary post)
신호기 및 보안기기를 생략한 보통정차장과 간이정차장에서 정차장의 구내와 정차장외와의 경계를 표시하며, 국철의 선로정비규칙에는 "정차장 경계표"라고 하고 있음.
정거장내방 (停車場內方, inside of station)
상하의 양 장내신호기 안쪽, 장내신호기가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의 안쪽을 말함.
정거장 설비 (停車場 設備, facilities of station)
정차장 설비는 수송에 직접 관계가 있는 영업, 운전, 보수, 각 계통의 현장기관과 여객 및 화물설비에 필요한 제설비를 말함.
정거장외방 (停車場外方, outside of station)
장내신호기의 외방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의 바깥쪽을 말함.
정거장 중심표 (停車場 中心標, station sign)
정차장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선로제표를 말하며, 측량중심선에 제일 가까운 승강장의 옹벽에 백색바탕에 흑색문자로 씀. 국철에서는 하본선(下本線) 승강장 옹벽전면에 표기하도록 하고 있음.
정격출력 (定格出力, rated horse power)
일반적으로 발전 및 건설기계용 엔진의 회전수는 그 용도에 따라 최고의 회전수가 정하여지며, 상용의 회전수를 정격회전수라 함. 정격회전수에 있어서 그 엔진이 갖는 최대 출력을 정격출력이라 함.
정규 분포 (正規分布, normal distribution)
확률 변수 x 에 관한 확률 밀도 함수 가 이 되는 분포. 여기서, μ 는 x의 평균값, σ 는 x의 표준 편차.
정규압밀 (正規壓密, normal consolidation)
과거에 받았던 선행압밀하중이 현재의 흙이 받고 있는 유효상재하중과 같은 상태.
정규압밀점토 (正規壓密粘土, normally consolidated clay)
과거에 받았던 선행압밀하중이 현재 흙이 받고 있는 유효상재하중과 같은 상태의 점토.
정규화 (正規化, normalization)
주어진 물리량을 그 물리량의 기준값 또는 대표값 나누어 무차원의 양으로 표시하는 과정.
정기검사 (定期檢査, regular inspection, special survey)
기기 구조물 등이 정해진 기간마다 실시하는 감독관청 또는 감독관에 의한 검사. 선박 및 인명안전 유지 때문에 정기적으로 행하는 정밀검사.
정기수선방식 (定期修繕方式, periodical repair system)
궤도보수 방식의 하나로 수시수선방식에 대응하는 것임. 선구별로 보수주기를 정하여 그 해당 선구를 대단위 작업반이 대형장비로 집중작업하는 보수방식임.
정기열차 (定期列車, regular train)
처음부터 운전시각을 설정하여 년간을 통하여 매일 운전하는 열차를 말함.
정다듬 (釘 - , chiseled work)
석재 가공에 있어서 해머다듬을 한 다음 정으로 쪼아 혹을 떼내어 다듬는 돌 표면 마무리.
정단층 (正斷層, normal fault)
상반이 떨어진 단층으로 보통 지각에 장력이 작용할 때 생기며 중력단층이라고도 함.
정도 (精度, precision)
정확도와 정밀도를 합한 총합적인 좋은 정도. → 정확도. → 정밀도.
정동토크 (停動 - , stalling torque)
회전하고 있는 기기를 정지하는데 필요한 토크. 기동토크 또는 시동토크에 상대되는 용어.
정량분석 (定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
화학분석의 일종으로서,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의 량 또는 비율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분석의 총칭. 보통은 정성분석에 의해서 성분의 종류를 결정한 후에 행함. 조작법에 따라 중량분석과 용량분석이 있음.
정류 에너지 정리 (停留 - 定理, theory of stationary total potential energy)
구조계에서 경계의 기하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변형형태 중 평형조건을 만족시키는 변형형태에서는 총에너지가 정류치 또는 최소치를 가진다는 정리.
정류판 (整流板, ① baffle(wall) ② distributing plate, distributor)
① 유입구에서 유속수두를 줄여서 와류를 막고 흐름을 침전부의 전단면에 고루 분배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 수면 부유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출구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음.
② 유체의 흐름 도중에 설치하여,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정화시키는 시설. 공기세정기의 공기 유입구나 침전지의 원수 유입구 등에 설치하며 날개판, 다공판, 철망, 다공질판 등이 쓰이고 있음.
정맥산업 (靜脈産業, venous industry)
폐기나 재순환에 관한 산업분야를 정맥산업이라고 함. 생산과 소비의 통상의 경제활동을 혈액순환에 있어서의 동맥에 비유한다면, 폐기나 폐기물의 재이용의 활동은 정맥이라고 할 수 있음.
정목 (正木, straight grain)
목재의 나이테에 직각방향으로 절단한 제목.
정밀 계기접근 활주로 (精密 計器接近 滑走路, precision-instrument approach runway)
활주로의 기상이 나쁜 상태에서도 허용 범위 내에서 조종사가 착륙을 시도할 수 있도록 무선 및 시각 시설을 갖춘 활주로로 결심 고도 및 시정(視程) 또는 활주로 가시범위에 따라 1종 (카테고리 - Ⅰ), 2종 (카테고리 - Ⅱ), 3종 (카테고리 - Ⅲ)로 구분함.
정밀도 (精密度, precision)
관측값들이 얼만큼 분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준편차가 주로 사용되며 반복관측일 경우 관측값 간의 편차를 의미함.
정밀진입레이다 (精密進入 - , precision approach radar)
관제사(管制士)가 조종사에게 지시하면서 항공기의 착륙을 원조해 주는 항공보안무선시설 (航空保安無線施設)의 일종. 공항에 진입하는 항공기 상태가 관제사가 보고 있는 스코프상에 나타남. 약어 : PAR.
정박료 (碇泊料, groundage)
선박이 항구에 닻을 내리고 머무르기 위해 지불하는 돈.
정반 (定盤, surface plate)
표면을 정확, 평활하게 다듬은 주철제 등의 평면반으로, 이위에 공작품을 놓고, 기계가공에 필요한 점이나 선을 표시하거나, 조립하거나, 측정 등을 함.
정보화시공 (情報化施工, observational construction control system)
시공현장 계측 측정결과가 바로 설계측에 피이드백 되어 체크 결과가 시공에 즉시 반영되는 시스템.
정부 (頂部, crest)
댐, 여수로, 웨어나 제방의 제일 높은 곳.
정비비 (整備費, maintenance cost)
기계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장 또는 성능저하부분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분해 수리 등 정비와 기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정기 또는 수시정비에 소요되는 비용.
정비용 계류장 (整備用 繫留場, maintenance apron)
항공기의 점검․수리 및 정비를 위한 설비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계류장. 비행장에 요구되는 정비 시설의 규모 및 그 비행장을 모기지(母基地)로 하는 항공기의 기종과 대수 등에 의해 규모가 결정됨.
정사각형기초 (正四角形基礎, square footing)
저면이 정사각형 또는 이와 비슷한 모양의 확대기초.
정사각형와셔 (正四角形 - , square washer)
정사각형 강판의 중심에 볼트구멍을 뚫은 와셔.
정사사진 (正射寫眞, orthophotograph)
지표면의 비고에 의하여 변위된 사진상의 각점의 축척을 확대할 때 비고에 따라 투영고도를 달리하며 항상 동일 축척이 되도록 만든 사진.
정사사진지도 (正射寫眞地圖, orthophoto map)
정사사진지도제작에는 기계적방법과 해석적방법이 있음. 기계적방법은 정밀 입체도화기와 연동시킨 정사투영기에 의하여 사진기의 경사, 대상물의 비고에 대한 변위를 수정하고 등고선을 포함하는 사진지도이며 해석적방법은 사진을 스케너에 의해 변화시킨 수치영상과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된 사진지도.
정사투영 (正射投影, orthoprojection)
대상물이 평행광선에 의해 대상면에 투영되는 상태.
정상등류 (定常等流, steady uniform flow)
유체의 어느 점에서 시간에 따라 온도, 밀도, 속도, 압력 따위의 조건이 바뀌지 않고 또한 어느 순간에 대해 모든 점에서 유속 벡터들의 크기와 방향이 같은 흐름.
정상류 (定常流, steady flow / state current)
어느 한 점에서 유체의 흐름특성인 수위, 밀도, 속도, 압력 따위의 조건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흐름.
정상부등류 (定常不等流, steady nonuniform flow)
유체의 어떤 점에서 시간에 따라 온도, 밀도, 속도, 압력 따위의 조건은 바뀌지 않으나 어느 주어진 순간에 대해 공간에 따라 유속 벡터가 변하는 흐름.
정상수심 (定常水深, normal depth)
→ 등류수심
정상 순환 (定常 循環, steady-state circulation)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순환.
정상진동 (定常振動, steady state vibration)
운동의 초기상태에 존재했던 일시적인 운동이 소멸된 다음에 남아있는 구조물의 운동을 말함.
정상침투 (定常浸透, steady seepage)
일차압밀이 완료되어 간극수압이 평형상태에 도달한 이후의 침투로 수두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흐름임.
정상파 (定常波, stationary wave)
→ 중복파.
정성분석 (定性分析, qualitative analysis)
대상물에 포함된 성분을 검출할 목적으로 행하는 분석법. 보통은 정량분석을 하기 전에 정성분석을 함. 미지의 것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를 조사할 경우와 어떤 특정물질이 포함되어 있는가를 조사할 경우가 있음.
정수두 (靜水頭, hydrostatic head)
움직이지 않는 물에서 한점의 정수압을 수두로 나타낸 것.
정수면 (靜水面, ① still water level ② still water surface)
① 파랑이 없는 상태에서의 해면의 수위.
② 용기 내의 물이 움직이지 않을 때 잔잔한 수면.
정수압 (靜水壓, hydrostatic pressure)
움직이지 않는 물 속에서 임의의 면 또는 점에 적용하는 물에 의한 압력. 대기압을 포함하는 정수압을 절대압력, 대기압을 생각하지 않는 압력을 계기압력이라 함.
정수역학 (靜水力學, hydrostatics)
흐르지 않고 정지상태에 있는 물이 어떤 점 또는 면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다루는 역학의 한 분야.
정수위 (靜水位, still water level)
용기 내의 물이 움직이지 않을 때 잔잔한 수위.
정수위투수시험 (定水位透水試驗, constant-head permeability test)
실내 투수시험으로 상하류면의 수위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일정시간 동안의 침투량을 측정하며 투수계수가 비교적 큰 조립토에 적당함.
정수장 (淨水場, water treatment plant)
물을 음용․공업용 등의 용도목적에 적합하게 처리(정수)하는 시설. 일반적으로는 상수도의 정수장을 말함.
정수지 (淨水池, clear well)
여과수를 배수지에 양수하기 전에 여과지와 펌프장 사이에 설치하여 정수를 저장하며 여과 및 펌프조작 등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염소와 정수를 접촉케 하는 못.
정식조이기 (正式 - , tightening)
철골공사, 기계조립 등에 있어서 가조이기를 하여 대략 그 위치를 맞춘 다음에 정식으로 조이는 것.
정압피토관 (定壓 - 管, Pitot-static tube)
정압관과 피토관을 일체형으로 합쳐 놓은 것.
정액도급계약 (定額都給契約, fixed price contract)
공사비의 총액을 도급액으로 정하는 도급 계약.
정역학 (靜力學, statics)
관성력이 없는 상태에서 정지한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이에 따른 변형을 연구하는 학문.
정역학적 과잉력 (靜力學的 過剩力, statical redundant)
→ 여용력.
정오차 (定誤差, constant error)
일련의 관측값이 일정한조건하에서 같은 방향과 같은 크기로 발생하는 오차를 정오차 또는 계통오차(系統誤差)라고 하며 관측횟수에 따라오차가 누적되므로 누차(累差)라고도 함. 오차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생기므로 원인과 상태만 알면 오차를 제거할 수 있음.
정온도 (靜穩度, calmness, tranquillity)
항만의 박지(泊地)가 외해 또는 방파제 밖의 파도에서 차단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통상 박지 내의 파고와 외해의 파고의 비로 나타냄. 선박의 접안, 하역작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정위 (定位, normal position)
상시 개통되어 있는 방향을 지점의 정위라 하며, 지점이 어느 방향으로 정위인가는 대략 열차회수가 많은 중요한 방향이 정위임.
정위치편집 (正位置編輯, field check data editing)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에서 얻어진 성과 및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성과 또는 지도자료 입력성과를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말함.
정적 박리시험 (靜的 剝離試驗, static immersion test)
아스팔트로 피복한 골재시료를 물 속에 넣고 진동을 가하지 않고 규정시간동안 정적으로 방치하는 박리시험의 일종.
정적응축 (靜的凝縮, static condensation)
정적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어떤 특정한 자유도를 그외의 나머지 자유도로 표시하는 과정.
정적 평형 (靜的平衡, statical equilibrium)
관성력이 없는 상태에서 임의의 물체에 작용하는 힘들이 균형을 이루어 물체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
정전도장 (靜電塗裝, electro-static spraying / painting / coating)
피도장물을 양극으로 분무장치를 음극으로 하고 직류전원을 걸어, 정전기를 대전시키고, 분무식도료를 흡인시켜서 도장을 하는 공정.
정점 (頂点, crest)
도로의 종단선형이 凸형일 때 최고 높은 점.
정정 구조물 (靜定構造物,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
평형방정식만으로 반력과 부재력을 구할 수 있는 구조물.
정정 기본계 (靜定基本系, statically determinate primary system)
부정정구조물에서 부정정력을 일으키게 하는 구속을 제거하고 남은 정정구조물.
정정 반력 (靜定 反力, statically determinate reaction)
외적으로 정정인 구조물의 반력으로서, 평형조건만으로 결정할 수 있음.
정준 (整準, leveling)
→ 수평맞추기.
정지구역 (整地區域, clear way)
항공기가 이륙할 시 일정 고도에 도달할 때까지 초기 상승에 충족되도록 장애물이 제거된 지상 또는 수상(水上)의 한정된 직사각형 모양의 구형구역(矩形區域).
정지기계 (整地機械, grading equipment)
지면을 계획된 형상으로 마감하는 기계.
정지대 (停止帶, stopway)
→ 정지로.
정지로 (停止路, stopway)
육상 비행장에서 활주로의 이륙방향 말단에 활주로 폭과 같이 접속되는 긴 직사각형 모양의 포장구역. 항공기가 이륙을 실패하였을 경우 항공기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며 통상 활주로 두께의 1/2로 설계하고 있음. 실제 과주대 또는 과주로(over run)와 겸용하여 쓰임.
정지 마찰 (靜止摩擦, static friction)
정지한 물체가 놓여 있는 면에 평행한 방향의 힘을 가해서 움직이게 할 때 반대방향으로 생기는 저항.
정지시거 (停止視距, stopping sight distance)
① 차선의 중심선상 1.0 m 높이에서 당해차선의 중심선상에 있는 높이 15 cm의 물체정점을 볼 수 있는 거리를 당해차선의 중심선에 따라 측정한 거리.
② 주어진 속도로 운전하던 운전자가 어떤 물체가 도로상에 나타났을 때, 충돌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차량을 정지시키는 데에 필요한, 운전자가 볼 수 있는 도로선상의 거리.
정지신호 (停止信號, danger signal, stop signal)
신호기는 그 진로에 장애물이 있다든지 전철기가 다른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을때는 정지신호를 현시함. 정지신호에 대한 운행조건은 "정차하라"이므로 열차는 정지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여야 함.
정지정위식 (停止定位式, normal danger system)
절대신호기로서 평상시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필요시에 한하여 진행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를 말함.
정지지체 (停止遲滯, stopped delay, stopped time delay)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의 지체.
정지토압 (靜止土壓, earth pressure at rest)
흙의 측면 변형이 전혀 일어나지 않을때 그에 대응하는 측압을 말함.
정지토압계수 (靜止土壓係數,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rest)
지반의 수평변위가 없는 상태의 토압계수. 토피연직하중에 대한 정지토압의 비를 말함.
정지표지 (停止標識, stop sign)
교차로에 진입하기 전에 “정지”가 요구되는 곳(주로 부도로)에 사용되는 표지를 의미하는데 교차로에서 상충되는 교통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중의 하나임.
정지표지제어 (停止標識制御, stop control)
정지표지로 교통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함.
정차대 (停車帶, stopping lane)
차량의 정차에 공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띠모양의 차도의 부분.
정착 (碇着, anchorage, anchoring)
→ 앵커 ②와 ③.
정착 기역형강 (定着 - 形鋼, attachment angle)
강판 중 도리 중간보 등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형강.
정착길이 (碇着 - , anchorage length)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있어서 철근을 정착하는 데 필요로 하는 길이. 콘크리트의 허용부착응력에 의해 정해지며, 부착길이라고도 함.
정착벽 (碇着壁, anchor wall)
앵커로드 또는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벽.
정착부의 변형 (碇着部 - 變形, anchorage deformation)
프리스트레스 힘이 재크로 부터 정착장치에 전달될 때 정착장치의 변형으로 인한 긴장재의 신율이나 응력의 손실.
정착부의 활동 (碇着部 - 活動, anchorage slip)
프리스트레스 힘이 재크로 부터 정착장치에 전달될 때 긴장재가 정착장치로 미끌어 들어가는 현상. 정착부의 활동으로 인하여 정착장치부근 긴장재의 응력이 손실됨.
정착부착응력 (碇着附着應力, anchorage bond stress, development bond stress)
강재에 작용하는 힘을 강재의 주장(周長)과 묻힌 길이의 곱으로 나눈값.
정착영역 (碇着領域, anchorage zone)
포스트텐션방식의 경우 정착부근처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의 분포에 의하여 2차응력을 받는 영역. 프리텐션방식의 경우 부착응력이 전달되는 영역.
정착옹벽 (碇着擁壁, anchored retaining wall)
널말뚝으로 된 옹벽을 뒷쪽의 떨어진 곳이 정착시켜 널말뚝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키는 옹벽.
정착장치 (碇着裝置, anchorages)
①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끝 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하는 장치. 정착구라고도 함.
② 구조물과 지반을 상호연결하여 인장력이나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앵커(anchor)와 관련한 장치 일체를 말함.
정착판 (定着板, anchor plate)
강널말뚝식 안벽에 강널말뚝을 앵커롯으로 뒷쪽 매토내에서 고정, 정착하는 판.
정척레일 (“定尺軌條”, standard(length) rail)
우리 나라에서 레일의 표준길이는 25 m로서 이것을 정척레일이라 하며, 외국에서는 장대레일용, 또는 장척레일용으로서 36 m 또는 50 m의 레일도 제조하고 있음.
정철근 (正鐵筋, positive reinforcement)
슬래브 또는 보에서 정(+)의 휨모멘트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정초식 (定礎式, corner stone laying ceremony)
초석(머릿돌)을 설치할 때 하는 건축 의식.
정표고 (正標高, orthometric height)
평균 해수면에 의한 등퍼텐셜면(지오이드)으로부터의 연직거리.
정하중 (靜荷重, static load)
크기가 0 에서 부터 차차로 커져서 최종치에 이르는 하중으로 구조물에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재하되는 하중.
정합불량 (整合不良, misalignment)
복수의 부품의 중앙이 소정의 직선상에서 끝나지 않는 경우(중심이 선상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 넓은 의미로는 부품의 조립이 소정의 규격에 부적합한것.
정현운동 (正鉉運動, sinusoidal motion)
진동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운동. → 조화운동(harmonic motion).
정현파 (正弦波, sine / sinusoidal wave)
어떤 한 점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또는 어느 한 순간의 공간적인 수위변화가 사인 곡선을 나타내는 파.
정화조 (淨化槽, septic tank)
→ 부패조.
정확도 (正確度, accuracy)
참값과 관측값과의 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연오차 뿐만 아니라 보정되지 않은 정오차에 의
해 일어난 편이(bias)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젖빛유리 ( - , milky grass)
산광유리의 일종으로 젖빛의 반투명 유리. 이는 유리 원료 중에 무한한 무색투명 입자를 함유시키므로서 빛을 산란시켜 불투명 백색을 한 것임. 이것의 작은 조각 몇개를 콘크리트 공시체표면에 묻고, 선을 그어서 콘크리트의 체적변화를 측정할 때 기점으로 하는 등의 용도가 있음.
제거금형 (除去金形, blanking die, trimming die)
프레스에 의해 판금전단가공에 사용되는 전단금형.
제내지 (堤內地, protected lowland, inland)
둑에 의하여 보호되는 토지.
제동 (制動, braking)
차량이 정지하기 위해 감속하는 과정을 의미함.
제동거리 (制動距離, breaking distance)
차량이 제동하는데 필요한 거리. 일반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함.
제동오리피스형조압수조 (制動 - 型調壓水槽, restricted orifice surge tank)
수조바닥에 오리피스를 달아여 수조로 들어가는 유입량을 조절, 수압터널로 들어가는 압력파를 제어하는 구조로된 조압수조의 일종. 이 형식을 단동형에 비해 규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나, 수두의 진동조절 때문에 해석이 복잡함.
제동하중 (制動荷重, braking load)
기관차나 차량이 선로에서 급정차 할 때에 생기는 하중으로서, 선로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작용하는 수평하중의 하나임.
제방 (堤防, bank, dyke, embankment, levee)
하천이나 호수 및 바다와 육지를 분리시키는 성토구조물. 둑이라고도 함.
제3레일 (“第三軌條”, contract / third / conductor rail)
전기차에 운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의 일종으로 전기차 하부의 집전장치에 접촉하기 위하여 궤도와 평행하게 부설된 레일을 말하며, 터널 등에서 높이의 제한을 받을 때 채택함.
제설차 (除雪車, snow plough car)
제설을 목적으로 하는 차. 러셀식, 졸던식, 맥클리식, 회전식의 각종의 것이 있음.
제설판 (除雪板, snow plough)
트럭, 트렉터, 모터그레이더 앞에 설치하는 제설용 기계. 형은 V형이 많음.
제수문 (制水門, regulating gate)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문.
제수밸브 (制水 - , regulating / sluice valve)
관수로 내의 수류를 정지시키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관로에 설치하는 밸브. 관로의 교차점, 분기점, 종점, 시점 등에 설치하고 긴 관로에서 일정 거리마다 설치함.
제수벽 (制水壁, swash bulkhead, swash plate)
탱크내의 자유수의 유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벽.
제안서 (提案書, proposal)
도로, 항만, 철도 등 교통시설의 계획, 설계 그리고 건설에 참여하기 위하여 원하는 자가 추진계획과 소요예산 등을 기술하여 해당 발주처에 제출하는 서류.
제어 발파 (制御發破, smooth blasting)
굴착선에 평행하게 접근하여 배치한 무장약(無裝藥) 또는 경장약(輕裝藥)의 주변공을 최후의 단계에 기폭시켜 평활한 굴착면을 얻도록 하는 발파공법.
제어이음 (制御 - , control joint)
균열의 위치 및 양을 규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뼈대 안의 거푸집 등에 의해 설치된 홈 또는 높은 응력의 진전을 피하기 위해 뼈대 명부의 치수를 변화시킨 분리장소.
제어차 (制御車, train control car)
전동열차에서 운전실을 가지고 기관사가 운전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제어기기가 장치된 차량을 말함.
제올라이트 ( - , zeolite)
알루미늄, 나트륨 등의 규산염으로, 양이온을 함유하고 다른 양이온과 용이하게 교환되기 때문에 이온 교환체로 이용되고 있음. 또, 내부에 비교적 큰 공극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착제로도 이용되고 있음. 천연품으로는 그린샌드, 인공적으로는 합성 제올라이트가 있음. → 비석(沸石).
제외지 (堤外地, riverside foreland)
제방과 제방 사이의 부지를 말하며 고수부지와 저수로부지가 있음.
제2종 경계 (第二種 警戒, class B watch)
기상주의보가 발령되었거나 계속적인 강우로 재해가 예상될 때 행하는 선로경계이며, 보선계원의 일부가 출동하여 지정한 장소 또는 구간을 경계함.
제2종 연동장치 (第二種 連動裝置, second class interlocking)
신호기의 취급은 신호 취급소에서 전철기의 취급은 현장에서 수동 전환하고 이들 상호간의 연쇄를 기계연동기 또는 전기연동기에 의하여 조작하는 장치임.
제1종 경계 (第一種 警戒, class A watch)
기상경보가 발령되었거나 강풍 또는 집중적인 폭우로 재해가 예상될 때 실시하는 선로 경계로서 보선계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출동하여 전 구간을 경계하는 경우를 말함.
제1종 연동장치 (第一種 連動裝置, first class interlocking)
신호기, 전철기 상호간의 연쇄를 신호취급소에 설치되어 있는 제1종 연동기에 의하여 동시에 조작하는 장치임.
제작 (製作, fabrication)
강구조물을 설계도나 공사 시방서에 의하여 만드는 것.
제작공차 (製作公差, work toletance)
제작할 때 허용하는 오차. 측정의 정도, 종류, 목적, 크기 등에 따라서 제작공차의 크기가 달라짐.
제작기호 (製作記號, assembly mark)
강구조물의 제작에 있어 각 부재에 붙인 기호.
제작도 (製作圖, shop drawing)
강구조물의 제작에 있어 가공에 필요한 모든 치수외에 부재 및 각부품의 제작기호와 소요수량을 써 넣은 도면.
제작재료표 (製作材料表, shop bill)
강구조물의 제작도에서 제작에 필요한 전재료의 수량, 형상수치, 길이, 중량, 재질, 제작기호 등을 뽑아서 정리한 표.
제재 (製材, sawing)
통나무로부터 소요의 재료로 절단하는 것.
제진장치 (制振裝置, vibration damper)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고여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
제진재 (制振材, vibration reductive materials)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제체 (堤體, levee body)
제방 또는 댐의 본체.
제초제 (除草劑, herbicide)
잡초를 고사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
제타전위 ( - 電位, zeta potential)
전해질용액 중의 콜로이드 입자가 대전하면, 입자가 접촉하는 계면에 대전과 반대 이온을 갖는 미립자가 일부는 흡착되어 고정층을 만들고 그 외는 용액 중에 확산되어 고정층의 외측에 2중층을 만듬. 이 전기 2중층간에 생긴 전위차를 제타전위라 함. 계면동전위라고도 함.
제트 ( - , jet)
① 기제의 중공말뚝을 지반내에 압입할때, 속의 토사를 워터제트로 굴착하여 토사와 물의 혼합물을 이젝트펌프로 배출하는 공법.
② 오리피스나 가늘고 긴 구멍으로부터 유체가 연속적으로 분출하는 형태.
제트강 ( - 鋼, Z-steel)
내 라멜라 테어 강.
제트리프터공법 ( - 工法, jet lifrter method)
기제의 중공말뚝을 지반내에 압입할때, 속의 토사를 사수법(water jet)으로 굴착하여 토사와 물의 혼합물을 이젝트펌프로 배출하는 공법.
제트커터공법 ( - 工法, jet cutter method)
기제의 중공말뚝을 지반내에 압입할 때 워터제트 또는 커터로 토사를 굴착하여 토사와 물의 혼합물을 샌드펌프로 배출하는 공법.
제트형강 ( - 形鋼, Z shape steel)
Z형의 단면을 가진 형강. 경량형강중에서 경Z강, 경리브Z형강 등의 총칭.
제팅 ( - , jetting)
대형 파일이나 케이슨 등을 침하시키기 위하여 파일 끝이나 케이슨 하단에 장치된 구멍을 통하여 공기나 물을 분사시켜 파일이나 케이슨을 침하 시키는 작업.
제하 (除荷, unloading)
기존의 재하(載荷)되어 있는 하중을 제거시켜 감소시키는 것.
제한경쟁입찰 (制限競爭入札, restricted competitive bid)
입찰 참가자에게 자격의 제한을 가하고 제한 내의 자격을 갖춘 자는 누구나 참가하는 방법.
제한구배 (制限勾配, ruling grade, tractive capacity determining grade)
제한구배는 기관차의 견인정수를 제한하는 구배로서 반드시 최급구배와 일치하지는 않음.
제한속도 (制限速度, ruling speed, restricted speed, limit speed)
열차운전 보안상 선로, 차량, 신호 등의 운전 제조건에 따라 열차운전속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을 때 운전조건에 알맞게 최고속도의 한계를 정한 것을 제한속도라 함.
제형웨어 (梯形 - , trapezoidal weir)
→ 사다리꼴웨어
젤라틴 다이나마이트 ( - , gelatine dynamite)
교질(gel)상태로 만든 다이나마이트를 의미함. 다이나마이트는 주성분인 니트로겔(nitrogel)에 산화제, 가열제, 감열소열제를 첨가하여 만든 물질로서 니트로겔의 함유량이 20 %이상이면 교질상태로 됨.
조가선 (弔架線, suspension wire)
구성전차선(構成電車線)은 전차선, 조가선, 행거 및 드로퍼 등으로 구성된 가공전선(架空電線)을 말하며, 전차선을 드로퍼(dropper) 등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조가선에 매담. 즉 조가선은 전차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수선(縣垂線)이라고도 함.
조감도 (鳥瞰圖, bird eye view)
시점의 위치를 높게 잡고 내려다 본 것 같이 묘사한 도면.
조강시멘트 (早强 - , high early strength cement)
시멘트 또는 모르터로 했을 때 보통 시멘트보다 빠른 강도가 발현되는 시멘트.
조강콘크리트 (早强 - ,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조강시멘트 또는 혼화제를 사용해서 보통 콘크리트 보다 조기강도를 높인 콘크리트.
조강포틀랜트시멘트 (早强 - , high early strength portland cement)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하여 빨리 경화하는 고급 시멘트. 일반적으로 재령 7일에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재령 28일 정도의 강도를 나타냄. 동절기공사나 수중공장에서 적합함.
조건방정식 (條件方程式, condition equation)
관측에 따른 조건이나 기하학적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조건식을 정규방정식으로 구성하는 방법.
조건부관측 (條件附觀測, conditional observation)
관측된 값이 특정 조건에 비교해 보면 그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관측으로 예를들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가 되어야 한다는 조건하에서 관측하는 경우를 들 수 있음.
조금 ( - , neap tide)
조석의 간만차가 최소일 때로 음력 상현 및 하현 후 1∼3일 경에 발생하며 소조(小潮)라고도 함.
조닝 ( - , zoning)
교통조사, 그에 기본되는 교통량예측, 교통계획의 입안을 함에 있어 대상이 되는 지역의 내외를 몇 개의 지구로 분할하는 작업. 그 지구에 발생, 집중하는 교통은 모두 그 지구를 대표하는 한점으로부터 발생, 집중하는 것으로 취급하는데 이 분할된 지구를 죤이라고 함.
조도 1) (照度, illumination, luminous intensity)
어떤 면이 받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양. 광속 1루멘(l m), 면적 1 m2일때 즉 1m의 거리에 있는 1캔딜라(cd)의 점광원에 의해서 수직으로 비추어진 면의 조도를 1룩스(lux, ㏓)라고 함.
조도 2) (粗度, roughness)
지표면이나 수로 벽면의 거친 정도. 境界層의 난류의 상태나 유속 및 풍속의 연직분포 등은 표면의 조도에 강하게 영향을 받음. 조도는 길이의 단위를 갖는 조도정수(roughness length, 조도계수라고도 함)를 이용해서 나타냄.
조도계수 (粗度係數, coefficient of roughness, roughness coefficient)
유수에 접하는 수로의 벽면의 거친 정도를 표시하는 계수.
조량 (潮量, tidal prism)
조석의 1주기 동안 조석만 만내에 입․출하는 조수의 창․낙조의 조수량.
조력 발전소 (潮力 發電所, tidal power plant)
조차가 큰 지역에서 만의 입구에 제방을 쌓아서 조지(潮地)를 만들고 제방의 일부에 수문과 수차를 설치하여 조지 안과 밖의 수위차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조류 1) (藻類, algae)
일반적으로 수중에 생육하는 부유식물의 총칭. 무기물을 영양으로 섭취하고 광합성을 하며 생활하는 하등식물로, 단세포에서 다세포까지 종류가 많으며 수처리에 관계가 깊은 것은 남조류, 녹조류, 황조류, 편모 조류 등임.
조류 2) (潮流, tidal current)
조석의 간만에 따른 해수의 수평방향 흐름으로서 유향이 주기적으로 바뀜.
조류 곡선 (潮流 曲線, current curve)
조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조류 관측 (潮流 觀測, tidal current observation)
조류의 유속 및 유향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관측하는 것.
조류도 (潮流圖, tidal current chart, current diagram)
조류의 한 주기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각 지점에서의 조류의 방향과 평균속도를 화살표와 수치로서 나타낸 도면.
조류 반전 (潮流 反轉, turn of tidal current, turn of the tide, change of tide)
조석에 의해 조류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것.
조류 시차 (潮流 時差, current difference)
어떤 한 지점과 표준항과의 게류 또는 최강류의 시간차.
조립 (組立, erection)
공장이나 현장에서 설계도면에 따라서 부재나 재편을 이어 맞추는 작업.
조립가새 (組立假塞, built up crossing)
비계 설치에 사용하는 대각선 부재.
조립거푸집 (組立 - , gauged form)
조립, 탈형, 재사용에 편리하게 만들어진 거푸집.
조립(식)교량 (組立(式)橋梁, prefabricated bridge)
재해시 등 응급적으로 사용되는 다리로, 부재가 소형․경량으로 조립이 단시간에 가능함. → 응급교.
조립기 (組立機, pelletizer)
둥근 모양의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할 때 분말상의 원료를 둥근모양으로 만드는 기계.
조립도 (組立圖, assembly diagram)
구조물 등의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
조립도 골재 혼합시험 (組立度 骨材 混合試驗, mixing test with coarse aggregate)
아스팔트 유제와 조립도 골재와의 혼합의 양부(良否)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조립도 아스팔트콘크리트 (組立度 - , coarse-graded asphalt concrete)
굵은골재, 잔골재, 필러 및 아스팔트의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일종으로서 골재 최대입경은 보통 19 mm로서 합성입도에서 No.8체 통과분이 20~35 %의 것. 주로 아스팔트 포장의 기층에 사용됨.
조립보 (組立 - , built up beam)
여러 작은 부재로 짜서 큰 힘을 받도록 만든 보.
조립부호 (組立符號, match marking)
부재를 조립, 결합하기 쉽게 표시하는 기호.
조립비계 (組立飛階, built up type scaffolding)
① 틀조립비계․단관비계․조립벤트 등, 기성의 부품을 조립해서 만드는 비계.
② 비계용 강관을 일정틀의 단위로 가공․제작한 것. 현장에서 조립하여 일체화함.
조립식준설선 (組立式浚渫船, portable dredger)
준설선 전체를 여러 블록단위로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준설선.
조립이음 (組立 - , erection mark)
비계 설치에 사용하는 연결 부위의 결속 부재.
조립철근 (粗立鐵筋, erection bar)
철근을 조립할 때 주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 철근.
조립크로싱 (組立 - , bolted rigid, built-up(common) frog)
고정(固定)크로싱의 일종으로서 레일을 가공하여 볼트, 간격재 등으로 조립한 크로싱을 말함.
조립토 (粗粒土, coarse grained soil)
통일 분류법상 200번체 통과량이 전체시료의 50 %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로서 자갈과 모래를 말함.
조립형골재 (組立形骨材, pelletized aggregate)
원료를 분쇄하거나 또는 미분의 원료를 사용하여 둥근모양으로 입자를 만들어 소성하여 만든 골재.
조면암 (粗面岩, trachyte)
화학성분이 섬록암과 같은 분출암. 분출된 후 풍화되어 거치른 표면을 나타내므로 이런 이름이 주어졌음. 담회색을 띠며 반정으로 정장석을 가짐.
조목 (潮目, current rips)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해류가 만날 때 해면에 형성되는 작은 파로서, 진행파의 성격보다는 연직 방향의 진동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짐.
조사경계선 (調査境界線, cordon line)
조사지역을 감싸는 가상선으로 이 선상에서 면접조사, 교통량조사 등을 수행함.
조석 1) (粗石, plum)
콘크리트량을 절약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에 묻어 넣는 임의의 모양을 갖춘 큰 돌.
조석 2) (潮汐, tide)
주로 달과 태양의 인력으로 인하여 해면이 오르내리는 현상.
조석 기록 (潮汐 記錄, tide records)
조석에 의한 해면의 시간적 수위 변화를 수치 또는 그림으로 나타냄.
조석 단파 (潮汐 段波, tidal bore)
조석파가 하구 안으로 전파되어 들어올 때 유향이 반대인 강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계단 형태의 파로서 일반적으로 파의 전면은 쇄파에 의한 강한 와류를 동반함.
조석 발생기 (潮汐 發生器, tide generator)
모형실험 등을 위하여 실험실 수조 내에서 조석을 발생시키는 장치.
조석 삼각주 (潮汐 三角洲, tidal delta)
조석 유입구(tidal inlet)를 빠른 유속으로 통과한 조류가 조석 유입구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수류에 포함하고 있는 토사를 침전시킴으로써 생기는 사주(砂洲).
조석 상수 (潮汐 常數, tidal constant)
조석의 조화분석에 의하여 얻어지는 각 분조의 진폭과 지각(遲角)을 말함.
조석 선거 (潮汐 船渠, tidal dock)
조석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항상 선박이 출입할 수 있는 선거(船渠).
조석 성분 (潮汐 成分, partial tide, tidal component / constituent)
어떤 지점에서 조석을 형성하고 있는 조화상수들 중의 하나.
조석 수로 (潮汐 水路, tidal channel)
조류가 흐르는 주수로로서 대양으로부터 감조습지(感潮濕地) 또는 간사지 안으로 뻗어 있음.
조석 수리학 (潮汐 水理學, tidal hydraulics)
조석 및 그에 의한 흐름 현상의 역학적인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
조석 예보 (潮汐 豫報, tidal prediction)
어떤 지점에서 조화상수들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조수 간만의 시간과 높이를 예측하는 일.
조석 유입구 (潮汐 流入口, tidal entrance / inlet)
조류에 의해 유지되는 자연적인 유입구를 말하며, 외해와 내만 사이를 연결하는 조류의 통로.
조석 유출구 (潮汐 流出口, tidal outlet)
조석 유입구와 같은 말이며, 내만쪽에서 외해쪽으로의 개념임.
조석 이동거리 (潮汐 移動距離, tidal excursion)
물입자가 조석 한 주기 동안 이동하는 순수 수평거리.
조석재 (粗石材, rubble aggregate)
조석재콘크리트에 쓰이는 골재로서 지름이 7.5 cm보다 크고, 무게는 45 kg보다 작은 정도의 호박돌 또는 깬돌.
조석재콘크리트 (粗石材 - , rubble aggregate concrete)
댐 등의 중량구조물에 쓰이는 조석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석 지각 (潮汐 遲角, tidal lag)
주어진 지점에서 조석의 기준 장소와의 위상차.
조석 진폭 (潮汐 振幅, tidal amplitude)
조석에 의한 수위 변화의 진동폭으로 만조위 또는 간조위로부터 평균해수면까지의 거리.
조석파 (潮汐波, tidal wave)
조석에 의한 파운동으로 나타내어지는 장주기파.
조석표 (潮夕表, tidal table)
주요 항만에 대한 매일의 고저조의 시각과 조고를 기재한 표로서, 통상 1년 단위로 발행됨.
조석 플러싱 (潮汐 - , tidal flushing)
조류의 작용으로 만 내부의 물과 외부의 물이 혼합되어 만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과정으로 만내의 오염물질이 조류에 의해 외해로 확산됨으로써 오염도가 감소됨.
조성 (組成, composition)
흙의 조성은 고체인 토립자와 간극 속의 물과 공기가 섞여 있는 삼상의 형태임.
조성선 (組成線, organization line, train make-up track)
열차의 편성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을 말함. 유치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조성차의 유치선 및 해방차의 유치선외에도 1개만 긴 것(열차장에 여유를 가한 것)을 따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음.
조성선군 (組成線群, group of organization track)
열차를 조성하기 위한 선로의 군(群)을 말함.
조세골재비 (粗細骨材比, ratio of coarse to fine aggregate)
콘크리트속의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중량비.
조속기 (調速機, governor)
발전소에서 수차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수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기.
조수 (潮水, tidal water)
조석의 작용으로 주기적으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바닷물.
조수 갑문 (潮水 閘門, guard / tide lock)
조석 수로와 내만 사이에 위치하여 어떤 상태의 조석에서도 선박이 양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한 수문.
조스텐공법 ( - 工法, joasten method)
약액주입 공법의 일종. 주입재료로서 규산 소다와 염화 칼슘을 사용함.
조압수조 (調壓水槽, surge tank / chamber)
수격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격압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압력수로와 수압관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자유수면을 가진 수조. 수력발전소에서 부하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수압관 내에 발생하는 수격작용을 경감시켜줌과 동시에 이 영향이 압력수로에까지 미치지 않도록 설치하는 수조임.
조약돌 ( - , cobble)
하천 등에서 나는 둥근 모양의 천연 석재 가운데 자갈보다 크고 호박돌보다 작은 지름이 10~15 cm정도 크기의 것. 매스콘크리트의 골재, 뒷채움재, 바닥깔기재 등에 사용됨.
조업주차 (操業駐車, operational parking)
주로 상가지역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목적의 주차를 말함.
조용수량 (粗用水量, gross duty of water)
순용수량에 용수로 등에서 손실되는 수량을 가산한 수량.
조위 (潮位, tide / tidal water level)
조석에 의한 해면의 높이.
조위 곡선 (潮位 曲線, tidal curve)
조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으로서, 특히, 자기 검조 기록을 가리킬 때는 조후곡선(marigram)이라고 함.
조위 기준면 (潮位 基準面, tidal bench mark, datum of tidal level, tidal datum)
수심 또는 조위의 기준이 되는 해수면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평균해면으로부터 M2, S2, K1 및 O1의 진폭의 합을 뺀 것을 조위 기준면으로 정의함.
조인트그라우팅 ( - , joint grouting)
신축이음에 그라우팅을 하는 것. 신축이음은 구조물의 일체성, 투수성, 내구성 등에 좋지 않으므로 고압의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틈을 꽉채워 일체화를 도모함. 이음에는 미리 그라우트용 파이프를 배관하고, 콘크리트가 냉각된 뒤, 될 수 있는대로 물시멘트비가 작은 그라우트(최초에는 8:1, 끝에는 1:1 정도)를 주입함.
조인트실러 ( - , joint sealer)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이나, 조인트 클리너로 가공한 줄눈 또는 균열틈에 채움재를 용융압입하는 기계.
조인트실링제 ( - 劑, joint sealing compound)
콘크리트 포장줄눈이나 균열틈에 넣는 채움재.
조인트전압 ( - 轉壓, joint rolling)
아스팔트 포장에서는 도로를 여러 차선으로 나누어 부설할 때 부설중단시, 구조물의 접속부 등에서 조인트가 생기게 되는데 이런 곳에서는 포장의 강도, 평탄성, 밀착 등에 지장을 줌으로 주의해서 시공해야 되는데 이러한 이음부를 전압하는 것.
조인트커터 ( - , joint cutter)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을 만드는 기계. 다이아몬드나 카아비 럼덤의 날을 갖는 원형의 통날을 회전시킴.
조인트클리너 ( - , joint cleaner)
콘크리트포장의 줄눈이나 갈라저 터진틈에 끼인 이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깎아 넓혀서 채움재를 주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선용 기계.
조적단위 (組積單位, masonry unit)
조적조의 구성단위.
조적식구조 (組積式構造, masonry structure)
벽돌, 돌, 시멘트 블록 등의 개개의 재를 교착재를 써서 구성한 구조.
조절수문 (調節水門, regulation gate)
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로에 설치하는 문.
조절정 (調節井, regulating well)
완속여과지의 유출구에 여과속도의 조절과 여과조작상 필요한 장치를 설치하는 부분을 말하며, 수량조절장치에는 고정웨어 또는 오리피스로 유량을 측정하며 유출관에 설치한 제수밸브로서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 상하가동에 의한 방식, 벤츄리관에 의한 방식, 텔레스코프 방식 등이 있음.
조절지 (調節池, control basin)
수량이나 수질을 평균화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못.
조절판 (調節板, baffle)
물 흐름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판.
조정나사 (調整 - , adjustment screw)
지주나 거푸집을 설치할 때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나사 스크류와 조정핸들로 된 재크.
조정조 (調整槽, equalizing / balancing tank)
액체의 유량 및 조성의 변화를 평균하기 위하여 저장시키는 탱크, 처리장치에 합리적으로 균일한 용적과 조성의 유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됨.
조정지 (調整池, pondage, regulating reservoir)
하루 동안 첨두부하 때 발전을 조정하기 위한 수력발전용 물을 조절하여 주는 못.
조정지식발전소 (調整池式發電所, hydropower plant with regulating pond)
저수능력이 저수지식 발전소의 경우보다 적고 일반적으로 1일(때로는 1주)을 통하여 부하변동에 대응하는 조정용량의 저수지를 보유하고 있는 발전소임. 최대사용수량의 상시 사용수량에 대한 비율은 조정지가 없는 것에 비해 큼.
조종윈치 (操縱 - , maneuvering winch)
조종체인을 감았다 풀었다 하는 윈치.
조종체인 (操縱 - , manervering chain)
준설선에서 준설작업을 하기 위하여 선체의 위치를 옮기는데 사용하는 체인.
조직 (組織, texture)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및 결정의 종류, 입자의 크기 및 배열, 그 결합상태임.
조질 (調質, thermal refining)
담금질후 비교적높은 온도(약 400 ℃ 이상)에 다시 뜨임질하여 톨스타이트 또는 솔바이트 조직으로 만드는 조작.
조질강 (調質鋼, quenched and tempered steel)
담금질, 뜨임질을 함으로써 고장력 등 소정의 성질을 갖도록 한 강재. 이와 반대로 압연 또는 불림의 상태에서 소정의 성질을 갖도록 한 것을 비조질강이라 함.
조질너트 (調質 - , heat-treated nut)
담금질, 뜨임질을 한 너트.
조질볼트 (調質 - , heat treat bolt)
담금질 또는 뜨임질을 한 볼트.
조차 (潮差, ① tidal difference ② tidal range)
① 조석개정수(潮汐改定數). 표준항의 조고(潮高) 및 고, 저조의 시각으로부터 그 지점의 조고를 구하기 위한 조고 및 조시의 개정수.
② 조위차(潮位差). 연속적인 간조와 만조의 높이 차.
조차능력 (操車能力, working capacity of yard)
조차장에서 1일간에 취급할 수 있는 차량수를 말함.
조차선 (操車線, sorting / classification line)
화차를 행선지별로 분별하고 열차를 조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선로를 말하며, 분별선이라고도 함.
조차작업 (操車作業, marshalling work)
조차장내에서 입환과 편성 등을 하는 작업을 말함. 화차조차장의 작업은 그 조차장의 사명, 기능, 설비 등에 의하여 달라짐. 기본작업은 열차도착→분해․분별→조성→열차출발로 이루어짐.
조차장 (操車場, shunting / mashalling switching yard)
정차장의 일종으로서 열차의 편성과 차량의 점검, 수리, 세차, 유치 및 입환만을 취급하는 장소를 말함. 열차의 종류에 따라 객차조차장, 화차조차장 등이 있음.
조체선 (組替線, car arrangement track)
객차의 연결순서를 변경하거나 고장차를 빼내거나, 또는 객차의 증결과 해방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선로임.
조파기 (造波機, wave generator / maker)
모형실험 등을 위하여 실험실의 수조에서 파를 발생시키는 장치.
조파 수로 (造波 水路, wave flume / channel)
조파장치를 부속시킨 모형실험용 수로로서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주로 2차원적 현상을 연구할 목적으로 사용됨.
조파 수조 (造波 水槽, wave basin / tank)
조파장치를 부속시킨 모형실험용 수조로서 일반적으로 길이와 폭이 수심에 비해 훨씬 크며 주로 3차원적 현상을 연구할 목적으로 사용됨.
조파판 (造波板, wave paddle)
조파장치중 직접 물을 움직여서 파를 일으키는 판상의 부분.
조합 (組合, assembly)
부재나 부품을 소정의 제품으로 조합시키는 작업.
조합기둥 (組合 - , combination column)
강재와 콘크리트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한 기둥.
조합단면 (組合斷面, built up section)
2개 이상의 재편을 조합시켜 만드는 단면.
조합 응력 (組合應力, combined stress)
두가지 이상의 부재력에 의하여 발생한 각각의 응력을 합산한 응력.
조합침목 (組合枕木, composite tie)
철근콘크리트 침목 이외에 콘크리트 또는 목재와 철재 등의 이종(異種)의 재료를 조합하여 각 재료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든 침목을 조합침목, 합성침목, 또는 집성침목이라 함.
조합하중 (組合荷重, combined loads)
구조물에 동시에 작용하는 몇개의 설계하중의 조합을 말함.
조해머 ( - , jaw hammer)
공장에서 리벳을 박는 턱 모양의 기계이고, 1회의 압력작용으로 리벳이 형성되게 하는 기계.
조화 분석 (調和 分析, harmonic analysis)
어떤 지점의 실제 조위 기록으로부터 각 분조를 구하는 것.
조화 상수 (調和 常數, harmonic constant)
조화 분석에 의해 구해진 각 분조의 진폭과 위상지각(位相遲角).
조화 운동 (調和運動, harmonic motion)
물체의 거동이 정현파의 형태로 일정한 주기와 진폭을 유지하는 주기 운동.
조화 함수 (調和 函數, harmonic function)
라플라스(Laplace)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조후 곡선 (潮候 曲線, marigram)
→ 조위곡선.
졸 ( - , sol)
액체 중에 콜로이드 입자가 분산하고 또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계(系). 특히 분산매(分散媒)가 물인 경우를 하이드로 졸(hydro sol), 유기용제인 경우를 오르가 졸(orga sol), 공기를 분산매로 하는 것을 에어로졸(연무질)이라고 말함.
종결 (終結, final set)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의 경화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초결(initial set)보다 딱딱함. 일반적으로 시멘트풀이 규정된 시험침에 의한 외력에 저항하는데 충분한 경도를 갖는데 요하는 시간(시일분)으로 나타냄. 적당한 시험장치를 사용하면 콘크리트나 모르터에도 적용할 수 있음.
종결시간 (終結時間, final setting time)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풀, 모르터 및 콘크리트가 종결까지 요하는 시간.
종국강도 (終局强度, ultimate strength)
구조물이나 부재가 붕괴 또는 파괴될 때의 강도. 저항하는 최대 하중 또는 그때의 최대응력으로 표시된. 골조에 대해서는 종국내력, 부재에 대해서는 종국강도로 구별하는 경우가 있음.
종국변형도 (終局變形度, ultimate strain)
종국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도.
종기강우 (終期降雨, residual rain)
호우의 거의 끝 무렵에 침투능보다 작은 비율로 오는 비.
종단경사 (縱斷傾斜, grade)
도로중심선의 종방향 기울기로서 통상 백분율로 표시함.
종단곡선 (縱斷曲線, vertical curve)
경사의 변경점에 설치하는 수직면 내의 곡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종곡선(縱曲線)이라 함.
종단면도 (縱斷面圖, profile)
도로의 설계에 있어서 일정한 연장을 지닌 도로의 특성과 고저의 형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한 종방향의 도면.
종단선형 (縱斷線形, vertical alignment)
도로의 중심선이 종단적으로 그리는 연속된 형상.
종단역 (終端驛, terminal station)
→ 종단정거장.
종단정거장 (終端停車場, terminal station)
일반적으로 선로의 종단에 위치하는 정차장을 말하나 선로망(線路網)상의 위치는 종단이 아니라도 운수 운전 작업상 열차의 종단이 되는 정차장을 종단정차장이라고 함.
종단측량 (縱斷測量, longitudinal leveling)
철도, 도로, 수로 등의 노선측량에서 설치한 중심 말뚝의 지반고, 주요 구조물의 표고 등을 관측하는 측량방법.
종류식 환기 (縱流式 換氣, longitudinal ventilation)
터널내 환기방법중 환기가 차도를 종방향으로 흐르는 형식. 적용길이는 1000 m이하가 표준이나 교통량이 적은 경우에는 연장이 길어도 적용할 수 있음. 환기방향은 한방향으로 한함.
종말처리장 (終末處理場, terminal treatment plant)
하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여 하천, 기타 공공수역 또는 해역으로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한 하수 처리시설 및 이것을 보완하는 시설을 말함. → 하수처리장.
종말침강속도 (終末沈降速度, terminal settling velocity)
유체속에서 입자가 중력의 작용을 받아 침강할 때, 처음은 가속도가 가해져 침강 속도는 커지지만, 입자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력이 커져, 결국에는 양자의 힘이 균형을 이뤄 입자는 등속도로 침강함. 이 때의 일정한 속도를 말함. 종말속도, 종속도라고도 함.
종미끄럼 마찰계수 (從 - 摩擦 係數, longitudinal skid resistance coefficient)
주행 중의 차량에 제동을 걸면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힘이 생기는데 이 힘을 타이어에 걸리는 수직하중으로 나눈 것. 도로직선부의 미끄러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단순히 마찰계수라고도 함.
종방향력 (縱方向力, longitudinal force)
부재의 재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종방향 이음 (從方向 - , longitudinal joint)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 기층 등의 아스팔트 혼합물층을 시공할 때 도로연장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음.
종보강재 (縱補强材, longitudinal stiffener)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보강재 수평보강재.
종속신호기 (從屬信號機, subsidiary signal)
주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의 인식거리(認識距離)를 보충하기 위하여 그 외방에 설치하는 신호기로서 원방신호기, 중계신호기, 통과신호기가 있음.
종속영양 (從屬營養, heterotrophy)
영양물을 직접 만들어내지 못하고 다른 생물로부터 얻는 행위. 동물과 사물(死物)소비자의 먹이를 얻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되며 버섯과 같은 식물에서도 볼 수 있음. 생태학적 분류로는 소비자가 이에 해당되며 타가영양이라고도 함.
종속영양생물 (從屬營養生物, heterotroph)
영양원을 이미 만들어진 유기물에 의존해서 생활하는 생물. 타양생물, 유기영양생물이라고도 함.
종속제어기 (從屬制御機, slave controller)
동기제어기로 하나의 주 제어기에 의한 통제를 받아 신호가 구동되는 신호제어기.
종속 평행 진입 (從屬 平行 進入, dependent parallel aopproach)
활주로 중심선 근접 지역의 항공기 사이의 레이다 최소 이격 거리가 규정된 곳에서 평행 혹은 평행에 가까운 계기 활주로에 동시에 진입하는 두 항공기의 활주로 접근 방법.
종열 (縱裂, vertical split)
레일길이 방향으로, 두부면에 수직으로 생기는 레일손상.
종이거푸집 ( - , paper form)
불투수성이고 경질의 종이로 만든 거푸집. 주로 원형기둥에 사용됨.
종이송확산 (縱移送擴散, longitudinal dispersion)
흐름에 대해 종방향의 이송확산.
종이음 (縱 - , longitudinal joint, landing edge)
도로중심선과 병행하여 설치한 강판. 강갑판의 종방향의 겹이음.
종접합모형 (縱接合模型, strip)
→ 스트립.
종접합모형조정 (從接合模型調整, strip adjustment)
→ 스트립조정.
종접합점 (縱接合點, pass point)
좌표해석이나 항공삼각측량 과정에서 접합표정에 의한 종접합모형 형성(strip formation)을 하기위해 사용되는 점임.
종중복도 (縱重複度, end / forward overlap)
사진측량에 있어 동일 촬영경로내의 인접사진간에 입체시를 위하여 최소한 50 % 이상이나 일반적으로 60 %의 중복도를 사용함.
종진동 (縱振動, longitudinal vibration, axial vibration)
봉상 물체의 길이방향의 진동.
종침목 (縱枕木, longitudinal sleeper)
횡침목과 반대로 레일 방향과 나란히 부설하는 침목을 말하며, 탄갱(炭坑), 검사 피트와 같이 궤간내에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됨. 침목폭을 넓게 하여 보통 도상에 사용하는 나라도 있음.
종침목궤도 (縱枕木軌道, longitudinal tie track)
침목을 레일과 동일방향으로 사용한 궤도를 말함. 특수한 게이지 타이에 의하여 궤간의 유지를 고려해야 하는 결점이 있음.
종파 (縱波, longitudinal wave)
유체 중을 파동이 전파될 때 유체 입자가 파의 전파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파동.
종하중 (從荷重, secondary load, subsidiary load)
주하중에 대해서 쓰이는 하중으로 교량 등에 있어서 풍하중이나 지진하중과 같은 비상시하중을 가리킴.
종횡접합모형 (縱橫接合模型, block)
→ 블록.
종횡접합모형조정 (縱橫接合模型調整, block adjustment)
→ 블록조정.
좌굴 (挫屈, buckling)
압축부재에서 압축력의 크기가 증가되면서 갑자기 평형상태가 변하여 재축 수직방향으로의 변위가 크게 일어나는 현상.
좌굴 강도 (挫屈强度, buckling strength)
좌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부재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대 하중.
좌굴 계수 (挫屈係數, buckling coefficient)
한 부재에 있어서 좌굴을 고려하지 않는 허용압축응력과 좌굴을 고려하는 허용좌굴응력의 비.
좌굴방지판 (挫屈防止板, buckling / safty cap(for increasing lateral) resistanse)
좌굴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상횡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침목 저부에 설치하는 판을 말함.
좌굴 응력 (挫屈應力, buckling stress)
압축부재에서 좌굴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단면의 평균응력.
좌굴저항 (挫屈抵抗, resistance to buckling, resisting force against buckling)
궤도의 좌굴에 저항하는 도상 횡저항력, 도상 종저항력 및 궤광강성의 총칭임.
좌굴 하중 (挫屈荷重, buckling load)
압축부재에서 좌굴을 일으키는 최소의 하중.
좌분기기 (左分岐器, left-head turnout)
분기선이 기준선의 좌측으로 분기되는 분기기를 말함.
좌안 (左岸, left side, left bank)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를 볼 때 좌측의 하안.
좌표계 (座標系, coordinate system)
공간 내 한 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일련의 수의 조합을 사용할 때, 그들 수의 조합을 그 점의 좌표, 각각의 수를 좌표 성분이라 하며, 각 점에 대한 좌표 성분을 정하는 방식을 좌표계라 함.
좌표 변환 (座標變換, coordinate transformation)
동일한 공간에서 두 가지의 좌표계가 정의되어 있을 때, 한 좌표계에서의 임의의 공간점에 대한 좌표를 다른 좌표계에서의 좌표로 바꾸는 조작.
주각재 (主脚材, main stud member)
콘크리트 기초내부에 매립된 철탑의 주기둥 재료.
주간 장애 표지 (晝間 障碍 標識, object color marking)
주간에 운항하는 항공기에게 대하여 항행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의 존재를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표지. 높은 굴뚝과 같은 곳에 적색과 백색 페인트로 칠한 것이 그 예임.
주강 (鑄鋼, cast steel)
강을 평로, 전로, 고주파로 등으로 녹여서 주형에 넣어서 만든 강. 주철보다 강하고, 압연강재로는 불가능한 복잡한 형태의 것을 만드는데 적합.
주강품 (鑄鋼品, steel casting)
강의 주조품을 말함. 일반적으로 주조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실시함. 주철보다 신장률․강도가 크고, 강판과의 용접도 가능함.
주곡률 (主曲率, principal curvature)
휨을 받는 평판의 어느 한 점에서 곡률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총칭하는 말.
주곡선 (主曲線, intermediate contour line)
지형을 나타내는 기본등고선으로 가는 실선임. 등고선 간격은 축척분모수에 대하여 소축척에서는 1/2,000 ~ 1/2,500, 대축척에서는 1/500 ~ 1/1,000 임.
주골재 (主骨材, macadam aggregate)
머캐덤공법이나 침투식공법에서 기층이나 간이포장 등의 표층을 부설할 때 처음 부설하는 입도가 큰 굵은 골재.
주공정계획법 (主工程計劃法, critical path method)
네트워크의 이론을 기초로하여 네트워크상의 가장 긴 패스인 주공정을 찾아내는 기법.
주 관성 모멘트 (主慣性 - , principal moment of inertia)
한 물체의 질량중심을 통과하는 여러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 중 최대 또는 최소값으로서 단면의 주축에 대한 관성모멘트.
주기 1) (周期, period)
어느 상태가 일정한 시간마다 같은 상태로 반복될 때 그 시간 간격.
주기 2) (註記, annotation)
지형도에 포함된 각종 지형요소와 기호 이외의 글자나 숫자를 주기라 함.
주기길이 (週期 - , cycle length)
완전한 하나의 신호주기에 필요한 초로 표시되는 시간 간격.
주기둥재 (主 - 材, main post)
철탑 주체를 구성하는 기둥재로, 단면응력에 직접 관여하는 주부재. 주재라고도 함.
주기 부족 (週期 不足, cycle failure)
신호교차로에서 적색시간동안 교차로에 대기해 있는 차량들이 다음 녹색 시간동안, 또는 녹색시간에 도착한 차량이 그 녹색시간동안 교차로를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전히 대기차량 행렬을 이루는 현상.
주기성 흐름 (週期性 - , periodic current)
흐름의 강도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흐름.
주 기어 (主 - , main gear)
항공기 중량의 95 % 정도를 지탱하고 착륙할 때 먼저 착지되는 항공기의 다리와 그 바퀴. 일명 착륙기어(landing gear)로 불리우며 다리에 붙어 있는 바퀴의 배치 형식에 따라 단일기어(sigle gear), 이중기어(dual gear), 이중복합기어(deal-in tandem gear)로 구분됨.
주기파 (週期波, periodic wave)
시간에 대한 주기성을 갖는 파.
주기 함수 (週期函數, periodic function)
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f(z+c) = f(z)가 성립하는 상수 c 가 존재하는 함수.
주 단면 2차모멘트 (主斷面 二次 - , principal moment of inertia of area)
한 단면의 도심을 통과하는 여러 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 중 최대와 최소값으로서 단면의 주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
주동말뚝 (主動 - , active pile )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 하중을 받는 말뚝이 주체가 되어 먼저 움직이게 되고 말뚝의 변위가 주변지반의 변형을 유발시키게 되는 경우의 수평하중말뚝으로 수동말뚝과 구분됨.
주동토압 (主動土壓, active earth pressure)
토류벽이 횡방향의 압력으로 뒤채움 흙쪽으로부터 멀어져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흙이 횡방향으로 팽창되어 소성극한상태에 이를 때의 횡토압을 말함.
주동토압계수 (主動土壓係數, coefficient of active earth pressure)
토류면의 뒤채움 흙이 주동상태에 있을 때 연직하중에 대한 정지토압의 비를 말함.
주레일 (“主軌條”, main rail)
분기기 기본레일의 후방에서 크로싱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드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레일을 말함.
주물 (鑄物, casting)
금속을 용융해 주형에 주입하여 성형한 제품.
주물크로싱 (鑄物 - , molding crossing)
주조하여 만든 크로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고망간강을 주조하여 만듬. 망간 크로싱은 주강(鑄鋼)을 단일체(單一體)로 만든 것임.
주변공 (周邊孔, trim hole)
발파시 자유면을 형성하는 공을 말하며, 주변공의 천공 정밀도는 smooth blasting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한 요인이 됨.
주변형 (主變形度, principal strain)
외력을 받고 있는 물체내의 임의의 한 점을 포함하는 미소요소 내에서 어떤 면에 전단 변형은 없고 수직 변형만이 작용할 때 그 수직변형.
주본선 (主本線, principle main track)
정차장 내에 있어서 동일 방향의 열차를 운전하는 본선로가 2개 이상 있을 경우에 그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본선을 말함.
주사 (走査, sweeping, scanning)
시축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탐색해야 할 공간의 전역을 골고루 자세하게 조사하는 것. 공간은 주사선에 따라서 미소요소로 분할됨.
주삭 (主索, main rope)
현수교․로프와이어․현수구조 등의 주케이블 등을 말함. 메인로프라고도 함.
주상도 (柱狀圖, drill log)
기술공이 조사지역에서 야장에 기록한 내용과 채취한 시료로 부터 도출된 결과 등을 토대로 대상물에 관한 특성들을 나타낸 표 또는 그림.
주상절리 (柱狀節理, columnar joint)
마그마가 냉각할 때 수축에 의해 기둥모양의 다각형의 갈라진 틈이 형성되는 것을 말함.
주시곡선 (走時曲線, time-distance curve)
진원을 통과하는 일직선상에 많은 수진점을 배치하고 지진파 주시(진원을 출발한 지진파가 수진점에 도착할때까지의 소요시간)를 관측하여 횡측에 진원부터의 수평거리, 종축에 주시를 취했을 때의 그림을 주시곡선이라 함.
주신호기 (主信號機, main signal)
일정한 방호 구역을 가지는 상치신호기를 말하며, 장내신호기, 출발신호기, 폐쇄신호기, 유도신호기, 엄호신호기, 입환신호기 등이 있음.
주약침목 (注藥枕木, treated sleeper, treated tie)
목재를 방부처리(防腐處理)한 목침목을 말하며, 소재침목은 목재를 주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침목을 말함.
주열대 (柱列帶, column strip)
플래트슬래브나 2방향 슬래브 설계에 있어서 기둥 바로 위에 유효폭(보통 1/2폭)의 대를 가상하고, 기둥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대와 구별해서 응력해석을 하는 부분. 기둥대라고도 함.
주요교차로 제어 (主要交叉路 制御, critical intersection control)
교통류 제어전략 중의 하나로 교통혼잡이 시스템 내에 있는 몇 개의 교차로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할 때 혼잡교차로를 제어하여 시스템전체의 교통혼잡을 완화시키는 제어기법.
주우플랑크톤 ( - , zooplankton)
→ 동물플랑크톤.
주운 수로 (舟運 水路, navigation channel)
선박이 운항하는 수로.
주응력 (主應力, principal stress)
외력을 받고 있는 물체내의 임의의 한 점을 포함하는 미소요소 내에서 어떤 면에 전단응력은 작용하지 않고 수직응력만이 작용할 때 그 수직응력.
주응력 곡선 (主應力曲線, line of principal stress)
응력을 받고 있는 평면 내 각 점에서의 최대 및 최소 주응력의 방향을 연결한 곡선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두 쌍의 곡선군으로 이루어짐.
주응력비율 (主應力比率, principal stress ratio)
일반적으로 최대주응력에 대한 최소주응력의 비를 말함.
주응력면 (主應力面, principal plane)
주응력이 작용하는 면.
주응력 방향 (主應力方向, direction of principal stress)
주응력이 작용하는 방향.
주의신호 (注意信號, caution signal)
열차는 주의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에는 다음 상치신호기에 정지신호 또는 경계 신호가 있을 것을 예측하고 그 현시지점을 지나서 진행할 수 있음. 이 때의 운전속도는 45 km/h(신호 5현시 구간은 65 km/h)를 넘을 수 없음.
주의표지 (注意標識, warning sign)
도로상 또는 그 인접한 곳에 있는 현재 또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경고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교통안전에 관련된 표지.
주이동류 분석 (主移動流分析, critical movement analysis)
→ 임계이동류분석.
주입 (注入, grouting)
댐기초나 연약지반, 터널굴착 등에서 각 대상의 특성에 적합하게 강도증진, 불침투성 향상, 포화에 의한 흙의 액상화 가능성의 감소 등을 목적으로 일정의 화학약품이나 모르타르 등을 대상물에 압입하는 것을 주입이라 함.
주입공법 (注入工法, grouting method)
터널굴착의 보조공법으로서 차수 또는 지반보강을 위해 주입재(약액, 시멘트 밀크, 아스팔트, 벤토나이트, 점토 등)를 지반속에 주입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공법을 말함. 주입재는 주입목적, 지반조건,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지만 주입재의 화학성분에 기인한 수질, 지반오염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관련기준에 맞는 설계, 시공을 하여야 함. 주입공법에는 롯드 주입공법, 싱글팩커 주입공법, 싱글 스트레나 주입공법의 단관 주입공법과 이중관 더블 팩커 주입공법, 이중관 롯드 주입공법 등의 이중관 주입공법이 있음.
주입모르터 (注入 - , intrusion mortar)
프리팩트콘크리트의 주입에 쓰이는 모르터로서 시멘트, 플라이애시, 또는 기타의 혼화제 모래, 감수제 알루미늄분말,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든 것.
주입재 (注入材, grout)
다른 부위와 밀도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주입하는 재료.
주입 줄눈재 (注入 - 材, joint sealer)
콘크리트 슬래브의 줄눈을 채우기 위하여 줄눈 상부의 홈에 주입하는 재료.
주입차수벽 (注入遮水壁, grouted cut off wall)
주입공으로 그라우트를 압입함으로써 지층에 형성된 지수벽.
주입침목 (注入枕木, impregnated tie / sleeper)
목침목의 중대한 결점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부처리로서 크레오소트유(油)를 가압주입(加壓注入)한 침목을 말함. → 주약침목.
주입펌프 (注入 - , grouting pump)
주입재를 지반속으로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한 장치.
주재기사 (駐在技士, resident engineer)
공사 현장에 주재하는 공사감독.
주절리 (主節理, major joint)
계곡, 하곡과 단층애와 같이 단층선이 국부적으로 지형이 낮은 곳으로 형성된 선형구조가 상대적인 변위가 매우 작은 상태.
주점 (主點, principal point)
사진의 중심점이라고 하며 렌즈중심(투영중심점)으로부터 사진면에 내린 수선의 발, 즉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점임.
주점거리 (主點距離, principal distance)
렌즈의 중심으로 부터 사진에 내린 수직거리로 화면거리라고도 함, 초점거리로 대치하여 이용하는경우도 있음.
주제도 (主題圖, thematic map)
특정한 주제를 강조하여 표현한 지도로서 도시계획도, 지질도, 토지이용도, 인구분포도, 관광도, 교통도 등이 대표적인 예임.
주제어기 (主制御機, master controller)
종속제어기를 거느리면서 신호시간을 유지하고, 연결된 전체 신호체계를 켜거나 끄며, 수동식으로 작동시키거나 점멸 등으로 운영하는 등 연동체계를 총괄하는 제어기. 또 주제어기는 각 종속제어기의 주기와 시간다이얼을 자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
주조 (鑄造, casting)
금속을 가열 용해해서 주형에 주입해서 필요한 모양의 제품을 만드는 작업.
주차 (駐車, parking)
자동차가 승객을 기다리거나 화물의 하역 또는 고장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정지하 거나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즉시 운전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되어 있는 차량의 상태.
주차계획 (駐車計劃, parking program)
차량의 이용현황과 향후의 주차수요 등을 고려하여 원활하고 효율적인 주차운영을 위한 계획.
주차대수 (駐車臺數, parking accumulation)
주차장에서 한 시점에 주차된 차량의 대수.
주차량 (駐車量, parking volume)
어느 일정기간 사이에 주차한 차량의 총 대수.
주차메타 (駐車 - , parking meter)
주차가능 장소의 지정과 주차가능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자동시간 측정장치. 무분별한 주차수요의 조절과 주차공간 회전율의 효율화를 주된 목적으로 이용.
주차부하 (駐車負荷, parking load)
어느 일정시간 동안에 각 차량의 주차시간을 누적한 값. 관측주차대수를 누적한 값에다 관측시간간격을 곱해서 구함.
주차선 분석 (主車線分析, critical lane analysis)
→ 임계차선분석.
주차시간 (駐車時間, parking duration)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시간의 길이.
주차장 (駐車場, parking lot)
차량을 집단적으로 주차시키기 위한 시설.
주차장점유율 (駐車場占有率, parking occupancy)
주차공간의 혼잡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각 시간대에 따라 주차대수를 주차가능대수(주차용량)로 나누어 구함.
주차조사 (駐車調査, parking study)
주차수요예측, 주차시설의 파악, 소요 주차면 결정, 주차시설 이용도 파악을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 주차공간, 주차대수, 주차시간, 주차목적 등의 주차특성과 주차의식, 주차와 관련된 현상 등을 조사대상으로 함.
주차환승체계 (駐車換乘體系, park-and-ride system)
승용차 이용객에게 대중교통수단의 역(stations) 혹은 정거장(stops) 바로 인접구역에 주차장을 제공하여 승용차를 주차하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체계.
주차회전율 (駐車回轉率, parking turnover)
일정한 시간동안 1면의 주차공간에 주차한 총차량대수.
주철 (鑄鐵, cast iron)
탄소량이 2.5~4.5 %의 철. 주조 가공이 되는 철재의 일종으로 주철관 등에 쓰임.
주철관 (鑄鐵管, cast iron pipe)
강철품으로 만들어진 관. 주로 하수도, 상수도 등의 배관재료로 사용됨. 직관과 이형관 및 접합부품으로 되고, 내면에 도막을 형성한 제품도 있음. 주철근(主鐵筋, main reinforcement)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을 결정하는 철근. 교량의 바닥에 있어서는 바닥판 지간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주철근이라 함.
주축 (主軸, principal axis)
→ 단면의 주축.
주태양반일주조 (主太陽半日周潮, principal solar semidiurnal component)
태양의 천구상의 일주(日周)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의 분조로 주기는 12시간이며 S2로 나타냄.
주태음반일주조 (主太陰半日周潮, principal lunar semidiurnal component)
달의 천구상의 일주(日周)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의 분조로서 주기는 12시간 25분이며 M2로 나타냄.
주파수 (周波數, frequency)
진동수라고도 하며 진동전류 또는 전파, 음파 등이 1초 동안에 방향을 바꾸는 횟수를 말하며 매 초 몇 사이클로 나타냄.
주파장 (主波長, dominant wave length)
여러 주기의 파가 혼합되어 있을 때 가장 에너지가 높은 즉 진폭이 가장 큰 파의 파장.
주하중 (主荷重, main load)
사하중, 활하중, 충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크리프의 영향, 콘크리트 건조수축의 영향, 토압, 수압, 부력 또는 양압력 등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상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여야 하는 하중.
주행구역 (走行區域, maneuvering area)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해 계류장을 떠난 직후 또는 착륙한 후 계류장에 진입하기 직전까지 사용되는 비행장의 일부 시설.
주행선 (走行線, running / open track)
선로의 건설이 완성되어 개통된 선로를 말함.
주행성 (走行性, trafficability)
토공에 있어서 지표면의 강도가 덤프트럭이나 불도우저 등 시공기계의 주행에 견디는 정도로서 일반적으로 지표면 흙의 콘지수에 의하여 판정됨.
주행속도 (走行速度, running speed)
교통류의 내외부 마찰에 의한 지체와 가감속지체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속도로서 구간거리를 주행시간으로 나눈 값.
주행시간 (走行時間, running time)
일정 도로구간을 통과하는데 실제로 움직이고 있을 때의 시간(통행시간에서 정지지체를 뺀 값).
주행식살수기 (走行式撒水機, travelling distributor)
주행하면서 노면에 물을 뿌리는 기계 장치.
주행식크레인 (走行式 - , travelling crane)
주행할 수 있는 크레인.
주행저항 (走行抵抗, running resistance)
열차가 주행할 때 그 운행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모든 저항을 총칭하여 말함.
주행차선 (走行車線, travelling lane)
차량이 통상적으로 주행하여야 하는 차선으로 한쪽 차선이 2개 설치되어 있는 도로에 있어서는 도로의 맨 우측이 주행차선이며 한 쪽이 3차선 이상의 도로는 맨 좌측의 차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주행차선 임.
주행편익 (走行便益, travel benefits)
도로의 신설 또는 개축으로 인하여 연장이 줄어들거나 교통체증이 해소됨으로써 도로이용자가 부담하는 연료비, 유류비, 타이어튜브비, 차량수선비 등 주행경비가 절약됨에 따라 얻어지는 편익.
주향 (走向, strike, strike of bed)
지층, 단층과 같은 판상의 평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교선의 방향을 북쪽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을 말함. 주향과 직교하는 침강선의 방향을 북쪽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 경사방향, 수평면과 경사방향(dip direction)이 이루는 각을 경사각(dip)이라고 함.
주향경사계 (走向傾斜計, clinometer)
노두(露頭)에서의 절리에 대하여 주향, 경사를 계측할 수 있는 기구.
주향이동단층 (走向移動斷層, strike-slip fault)
단층면을 따라 단층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단층, 단층면이 수직이거나 급경사를 이루며 단층운동이 거의 수직적이어서 주향에 따른 변위를 보여주는 단층. 주향단층을 관찰자가 마주 보았을 때를 기준해서 시계방향 운동을 보이는것을 우수주향단층, 그 반대를 좌수주향단층이라함.
주형 (主桁, main girder)
교량의 상부구조의 주체가 되는 들보.
주 활주로 (主 滑走路, main / primary runway)
공항내의 활주로가 2개 이상 있을 경우 규모 및 사용빈도, 시설등급 등을 고려할 때 대표적 활주로로서 언제나 상황이 허용하는 한 다른 활주로에 우선하여 사용하는 활주로.
죽은옹이 (“死節”, dead knot)
죽은 가지의 흔적으로 심히 말라서 흔들리거나 빠지게 된 옹이.
죽음의 재 ( - 災, lethal fallout)
대기 중에서의 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의 결과로 떨어지는 방사능진을 일컫는 말. 생물에 원자병 특히 백혈병 등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뜻으로 쓰임. 낙진, 방사능진이라고도 함.
준거 (準據, warrant)
어떤 교통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본적인 기준.
준거타원체 (準據楕圓體, reference ellipsoid)
→ 기준타원체.
준공일 (竣工日, completion date)
공사가 완성되는 날.
준대중교통(수단) (準大衆交通(手段), para-transit)
대중교통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않는 대중교통수단. 즉, 서비스가 고정된 노선 및 스케줄을 지키지 않을 때도 있고, 특별한 사용자 집단에게만 제공되기도 하며 요금이 정해지지 않고 운행되기도 하는 교통수단. 여기에는 수요대응식 서비스, 택시, 지트니(jitney), 임대차량 등이 포함됨.
준비공사 (準備工事, preparatory work)
공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착수전에 필요로 하는 준비를 위한 공사.
준비배수 (準備排水, preliminary dewatering)
토공시공에 앞서 절취장소, 토취장 또는 성토기초의 고인물을 배제하는 것.
준설 (浚渫, dredging)
물밑의 토사, 암석을 굴착하는 작업. 그러나, 구조물이나 호안의 기초를 위한 수중에서의 굴착은 수중굴착이라고 하는 것이 통례임
준설선 (浚渫船, dredger)
물밑의 토사 또는 암석을 굴착(掘鑿)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박을 말하며, 준설방식에 따라 그래브 준설선, 펌프 준설선, 바켓 준설선, 디퍼 준설선 등이 있음.
준설펌프 (浚渫 - , dredger pump)
준설에 사용하는 펌프. 일반으로 원심펌프가 사용됨.
줄눈 ( - , joint)
① 구조물의 이음부.
② 콘크리트포장에 있어서 팽창, 수축 등을 어느 정도 자유로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시공상의 형편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이음.
줄눈간격 ( - 間隔, joint spacing)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줄눈간의 거리.
줄눈나누기 ( - , joint plan)
줄눈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
줄눈마무리 ( - , jointing)
화장줄눈을 마무리하는 것.
줄눈분류 ( - 分類, joint classification)
콘크리트 슬래브의 줄눈은 장소, 기능, 구조 등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이와 같이 각줄눈을 분류해 놓은 것을 말함.
줄눈재 ( - 材, joint sealing compound)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줄눈에 빗물, 토사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눈홈을 메우는데 쓰이는 재료.
줄눈침판 ( - , joint sleeper)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줄눈부를 보강하기 위해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보통 PC포장의 줄눈부에 설치됨.
줄눈판 ( - 版, joint filler)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팽창줄눈에 채워서 슬래브의 팽창수축에 의한 응력을 완충시키고 수축시에는 채움줄눈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쓰이는 재료.
줄눈폭 ( - 幅, joint opening)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의 줄눈의 폭.
줄맞춤작업 (“方向整正作業”, lining)
궤도는 직선부에 있어서는 똑바르고, 곡선부에서는 같은 반경의 곡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 보수작업을 줄맞춤작업이라 함.
줄무늬강판 ( - 鋼板 , checkered steel plate)
→ 첵커드 플레이트.
줄자 (“卷尺”, tape)
거리관측을 위한 자이며 간편성을 위주로 한 것으로부터 정밀용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가 있음. 헝겊, 강철, 유리섬유, 인바 등의 재질을 이용함.
줄터파기 ( - , trench excavation)
흙막이, 돌쌓기의 기초터파기와 같이 폭은 좁고 길게 파는 것.
줄틀림 ( - , irregularity in line, alignment defect)
레일측면의 길이방향의 불규칙, 즉 궤간선에 있어서의 레일 길이방향의 정위치에서 벗어난 틀림을 말하며, 방향틀림이라고도 함.
중간대 (中間帶, middle strip)
플래트슬래브나 2방향슬래브에 있어서 기둥을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것을 주열선으로 생각했을 때 서로 이웃한 2개의 평행한 주열선 사이에 있는 중간부분.
중간보 (中間 - , intermediate beam)
보강을 위하여 보와 보의 중간에 넣는 보강 보. 서브 빔(sub beam)이라고도 함.
중간보강재 (中間補剛材, intermediate stiffener)
판형의 보강재중에서 지점 이외의 위치에 설치하는 수직보강재.
중간불 (中間拂, interim payment)
공사도중에 지불하는 도급금액의 일부.
중간시 (中間視, intermediate sight)
전시만 하는 점의 관측값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값.
중간점 (中間點, intermediate point)
전시만을 관측하는 점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임.
중간정거장 (中間停車場, intermediate station)
정거장을 선로망상의 위치에 의하여 분류할 때 중간정거장은 양 종단정거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정거장으로 대부분의 정거장이 여기에 속함.
중간주응력 (中間主應力, intermediate principal stress)
주축방향의 수직응력, 즉 주응력중에서 응력의 주축이외의 좌표축의 주응력으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중간값을 갖음.
중간층 (中間層, ① binder course ② transition zone filter zone)
① 아스팔트포장에 있어서 기층위에 두어 기층의 요철을 고르게 잡고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기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층. 통상 조립도의 아스팔트혼합물로 이루어짐.
② 록필댐에 있어서 록필 본체와 차수벽의 중간에 설치하는 층.
중간칠 (中間 - , intermediate coat)
초벌칠과 마무리칠의 중간층으로서 양쪽의 부착성을 증가시키며, 도막의 총두께를 증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간칠 도료를 칠하는 것. 초벌칠 도막의 평탄성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중간 하중 포장 (中間 荷重 鋪裝, medium load pavement)
군용 비행장의 포장중 B-747 점보기나 대형 수송기 C-5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군용 항공기는 모두 운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포장.
중간 하중 항공기 (中間 荷重 航空機, medium load aircraft)
군용 비행장에서 포장을 설계하거나 평가할 때 사용하는 항공기 바퀴하중구분 중 중간 등급 무게 집단에 속하는 항공기. 항공기 분류 지수(aircraft group index)의 4~10에 해당되는 항공기로 주로 2중 기어와 2중 복합기어를 가진 군 수송기 및 여객기가 해당됨.
중경암 (中硬岩, medium hard rock)
신 제3기, 중신세 이전의 제3기 퇴적암(이암, 실트암, 사암및 역암)및 화산쇄토암(응회암, 응회각력암, 화산각력암 및 용결응회암) 등 신선한 암석공시체의 건조 일축압축강도가 200~800 kg/cm2 의 범위에 있는 암.
중계레일 (中繼 - , compromised rail)
레일종별이 다른 레일을 접속하기 위하여 1개의 레일의 양단을 다른 단면으로 제작한 레일을 말함.
중계신호기 (中繼信號機, repeating signal)
장내, 출발 및 폐색신호기에 종속하여 지형 또는 다른 이유로 신호현시를 열차 승무원이 인식할 수 없을 경우에 주신호기의 외방에 설치하여 그 신호현시를 중계함.
중계이음매 (中繼 - , compromise joint)
이형(異形)이음매를 말함.
중계펌프 (中繼 - , relay pump)
송수관 또는 배사관(송니관)이 길거나 또는 펌프의 양정이 부족한 경우 중계하기 위하여 도중에 설치하는 펌프.
중계펌프장 (中繼 - 場, relay pumping station)
어느 배수구의 하목을 다른 배수구에 있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하여, 또는 배설깊이의 관계로 하수를 중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펌프장.
중공 줄눈재 (中空 - 材, gasket)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 채움재의 일종으로서 특수성형 줄눈제품으로 로우프상의 것을 삽입 또는 가열하면서 채우는 것과 가스켓트형 고무질 줄눈 성형품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줄눈홈에 끼우는 것이 있음.
중공중력댐 (中空重力 - , hollow gravity dam)
중력댐의 중심부를 콘크리트를 채우지 않고 비워 놓는 댐.
중금속 (重金屬, heavy metal)
경금속의 대비어로 비중 4 이상인 금속원소의 총칭. 생체(生體)에 유해하므로 미량일지라도 주의해야 함. 비소․안티몬․납․수은․카드뮴․크롬․주석․아연․바륨․비스무트․니켈․코발트․망간․바나듐․셀렌 등이 있는데, 음식물․음료수․공기 속 등의 함량에 대하여 대부분은 기준이 마련되어 있음.
중기 (重機, heavy equipment)
건설기계.
중 너트 (中 - , semi-finished nut)
너트 표면조도가 다듬너트와 같고, 형상, 치수의 정도가 다듬너트보다 약간 떨어지는 너트.
중등 해안선 (中等 海岸線, neutral shoreline)
평균 해수면시의 해안선.
중량골재 (重量骨材, heavy weight aggregate)
자철광, 갈철광, 중정석 등의 비중이 큰 골재를 말함. 방사선에 대한 차폐 등을 목적으로 사용됨.
중량배합 (重量配合, weight mixing)
콘크리트의 각 재료의 양을 중량으로 표시한 배합.
중량콘크리트 (重量 - , heavy weight concrete)
중량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즉 자철광, 갈철광, 중정석 등과 같은 비중이 큰 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특히 방사능 차폐에 유리함.
중력 (重力, gravity)
지구상에 있는 물체가 받는 지구의 인력과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합성한 힘.
중력 가속도 (重力加速度, acceleration of gravity)
어느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그 물체의 질량으로 나눈 것.
중력댐 (重力 - , gravity dam)
댐의 설치이론에 의해 분류되며 댐의 자중에 의하여 수압 등의 외력에 저항하여 역학적인 안정을 유지하는 댐.
중력분리법 (重力分離法, gravity seperation)
밀도가 큰 상(相)이 중력에 의해 침전하는 것을 이용한 불혼화상(不混和相)의 분리.
중력수 (重力水, gravitational water)
중력에 의하여 토층을 이동하는 흙속의 물.
중력식아치댐 (重力式 - , gravity arch dam)
댐의 무게에 의해 안정성이 유지되는 중력댐의 일종. 대표적인 형태로 아아치형 중력댐이 있음.
중력식 안벽 (重力式 岸壁, gravity quaywall)
자체의 무게로 안정을 유지하는 안벽.
중력식옹벽 (重力式擁壁, gravity retaining wall)
토압 등의 외력에 대해 옹벽의 자중으로 저항하도록 만들어진 옹벽을 말함.
중력식용접 (重力式鎔接, gravity welding)
피복아크 용접봉이 용융하는 것을 따라, 봉지지부가 중력에 의해 하강해서, 봉과 모재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는 용접. 그래비티 용접이라고도 함.
중력여과 (重力濾過, gravity filtration)
모래여과를 이용해서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침하시켜 여과를 행하는 방법임. 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에 이용되고 있음. 중력식 모래여과라고도 함.
중력이상 (重力異常, gravity anomaly)
중력이상은 중력보정을 통해 기준면에서의 중력값으로 보정된 중력값에서 표준중력값을 뺀 값으로 지하구조나 지하광물체 등의 탐사에 이용됨.
중력입환 (重力入換, gravity yard)
화차를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유전(流轉)시켜 그 중력을 이용하여 분해 작업을 하는 입환방식임.
중력조차장 (重力操車場, gravity shunting)
조차장 전체가 하구배 사면(斜面)에 있어 중력만으로 상방에서 화차를 전주(轉走)시켜 입환을 행하는 조차장임.
중력측량 (重力測量, gravity surveying)
중력측량은 지구를 완전한 타원체로 가정한 이론적인 값과 실측한 값 차이를 구하므로서 지구의 형태, 지하구조, 자원탐사, 태양계의 역학적 관계를 규명하는 역할을 함.
중력침전실 (重力沈澱室, gravity settling chamber)
분진을 함유한 기체를 침강실에서 속도를 급격하게 저하시켜 기류속의 분진을 중력작용으로 침강 포집하는 장치임. 실제적으로는 50㎛ 이상의 조립자의 집진에 적당하고, 전처리용 집진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음.
중력파 (重力波, gravity wave)
중력이 주 복원력으로 작용하는(즉, 교란된 유체가 주로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평형상태로 되돌아오는) 파로서 일반적으로 주기 1 내지 30초의 표면파를 일컬음.
중로교 (中路橋, half through bridge, mid height bridge)
상부구조의 중간부에 통로를 갖는 교량.
중립면 (中立面, neutral plane)
휨을 받은 부재에서 압축도 인장도 받지 않는 면.
중립축 (中立軸, neutral axis)
부재의 가로 단면과 중립면이 교차하여 이루는 축.
중립 평형 (中立平, neutral equilibrium)
평형 상태에 있는 구조계에 미소한 교란을 가했을 경우, 구조물이 다른 평형 상태로 이도하여 그 평형상태에 남아 있는 상태.
중복도 (重複度, overlap)
실체 사진을 만들기 위하여 촬영진행방향의 종중복, 횡중복으로 중복촬영하는 중복률.
중복파 (重複波, clapotis, standing wave)
해안 또는 구조물에 의해 반사된 파가 입사파와 중첩되어 생기는 파.
중볼트 (中 - , semi-finished bolt)
볼트좌면이 다듬볼트와 같고, 기타의 표면조도 및 형상, 치수의 정도가 다듬볼트보다 약간 떨어지는 볼트. 반(半)마무리볼트라고도 함.
중부원점 (中部原點, central datum)
경위도 좌표로부터 평면직교좌표로 계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가상의 원점으로 위도 38°경도 127°의 지점임.
중성세제 (中性洗劑, neutral detergent)
수용액 중에서 중성을 나타내는 합성세제의 총칭. 알칼리성 세제에 대하여 불려진 이름임. 알킬벤젠술폰산(ABS)염 등을 사용한 세제로서 견(絹), 모제품(毛製品), 합성섬유, 식기, 야채, 과일 등의 세정이나 세발 등에 쓰이고 있음.
중성염 (中性炎, neutral flame)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아세틸렌 산소와의 합비를 약 10 : 1로 했을때 나타나는 불꽃이며, 백색추와 외염만으로 산도 환원도 않는 중성의 가스불꽃. 가스용접시에 쓰이는 보통의 불꽃.
중수도 (中水道, tap water for miscellaneous purpose)
하수 등을 처리해서 순환 이용하는 시설.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말. → 물의 재이용.
중수로 (重水爐, heavy water reactor)
중수 D2O를 감속제로 하는 원자로. 냉각제로서는 중수 자신, 혹은 경수, 이산화탄소 가스 등이 섞여서 사용되는 것이 많음. 중수는 고속중성자의 감속능이 아주 좋으므로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열중성자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은 특징이 있으며, 다량의 열중성자 속(束)을 필요로 하는 연구용 원자로에 잘 이용되어짐.
중심 (重心, center of gravity)
물체를 구성하는 각 질점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력이 작용하는 점.
중심맞추기 (中心 - , centering)
평판상의 점과 지상의 측점을 동일 연직선상에 있도록 하는 작업임. 구심(求心)이라고도 함.
중심선 (中心線, center line)
계획된 터널선형을 따라 그은 터널 중앙부의 기준이 되는 선.
중심선측량 (中心線測量, center line surveying)
도로나 터널의 양 갱구의 중심선상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 두점의 좌표를 구하여 노선 설치나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방향과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측량방법.
중심투영 (中心投影, central projection)
사진의 상은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중심을 직진하여 평면인 필름면에 투영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투영을 중심투영이라 하며, 사진은 대표적인 중심투영상임.
중앙계량 현장 혼합방식 (中央計量 現場 混合方式, central batching and on-site mixing)
콘크리트 비빔방식의 하나로서 뱃치플랜트에서 계량하는 재료를 그대로 덤프트럭으로 운반하여 타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믹서로 혼합하는 방법.
중앙단면법 (中央斷面法, middle area formula)
철도, 도로, 수로 등 중심말뚝 사이의 횡단면간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계산하는 경우 중앙단면의 면적과 양단면간의 거리를 곱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
중앙도갱 (中央導坑, central heading)
터널 굴착단면의 중앙에 둔 도갱.
중앙도갱식굴착 (中央導坑式掘鑿, core method of tunnel)
터널의 대략 중앙위치에 도갱을 굴착. 관통(3.3m×3.3m 정도)시키고, 이어서 이 도갱을 이용하여 단면주변에 방사상으로 천공하며 동시에 발파하여 전 단면을 일시에 굴착하는 방식.
중앙부 선진도갱 (中央部先進導坑, central heading)
터널막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터널막장 중앙부에 소규모의 터널굴착을 먼저하여 보강한 후 나머지 부분을 확폭하는 터널굴착방법에서 먼저 굴착된 소규모의 터널을 말함.
중앙분리대 (中央分離帶, median strip)
차선을 방향별로 분리하게 하고, 측방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 중앙부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측대를 말함.
중앙분리대 개구부 (中央分離帶 開口部, median opening)
도로상에서 중앙분리대를 일부 제거하여 공사목적 차량이나 위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든 부분.
중앙분리대 방호책 (中央分離帶 防護策, median barrier)
도로상에서 대향하는 교통류를 분리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 벽과 같은 물리적인 시설.
중앙분리대 차선 (中央分離帶 車線, median lane)
도로의 차선 중 중앙분리대에 인접한 차선.
중앙분리석 (中央分離石, median curbstone)
왕복교통의 도로에서 방향이 다른 교통류를 분류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통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에 설치하는 경계석.
중앙월류형여수로 (中央越流型餘水路, center overflow type spillway)
콘크리트댐에 설치하는 여수토 형식의 하나. 댐 위에 여수토설비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 형식의 여수토를 설치하는 경우 중력댐, 중공중력댐, 아치중력댐에서의 여수는 댐의 하류면에 따라서 유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치댐에 있어서는 여수는 댐의 하류로 자유낙하시킴. 전자는 경제적으로 대량의 여수를 유하시킬 수 있으나 후자는 자유낙하한 여수가 댐의 기초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여수량이 클 때는 다른 형식의 여수토가 사용됨.
중앙종거 (中央從距, middle ordinate)
도로선형에서 단곡선에 속하는 명칭으로 곡선의 중앙지점에서 호와 현의 거리를 말함.
중앙차수벽식댐 (中央遮水壁式 - , center core type of rockfill dam)
댐 내부의 중앙에 심벽을 축조하는 록필댐.
중앙플랜트 혼합방식 (中央 - 混合方式, central plant mixing)
중앙혼합소 방식에 의하여 기층재료를 혼합하거나 레디믹스트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 연속식믹서나 뱃치믹서를 설비한 중앙플랜트에 재료를 반입하여 계량 혼합한 것을 현장에 운반하여 타설함.
중앙 혼합소 방식 (中央 混合所方式, central mixing)
현장부근의 적당한 장소에 계량 및 혼합설비를 설치,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부설 현장까지 운반하는 방법.
중앙혼합콘크리트 (中央混合 - , central mixed concrete)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고정 믹서로 비빈 뒤, 에지테이터 트럭 또는 트럭 믹서로 교반하면서, 콘크리트를 치는 지점까지 운반되는 콘크리트.
중앙혼합플랜트 (中央混合 - , central mixing plant)
중앙혼합방식에 의한 레디믹스트콘크리트의 제조설비. 집중식 콘크리트 플랜트라고도 함.
중영양호 (中營養湖, mesotrophic lake)
빈영양호가 연수를 쌓아감에 따라 가정배수나 공장배수 등의 유입으로 차츰 영양분은 증가하고 퇴적물이 많아지며, 깊이도 얕아져서 생물의 서식도 많아진 상태의 호소를 말함. 그 후에 영양분이 축적되면 부영양호가 됨. 중영양호에서 보여지는 농도는 인이 0.01~0.03mg/l, 질소가 0.1~0.7mg/l임.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中庸熱 - , moderate heat portland cement)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보다 실리카를 많이 포함하고 산화칼슘을 적게 함유한 시멘트. 수화열을 적게할 목적으로 제조됨.
중위수(中位數, median)
→ 메디언.
중위온도 (中位溫度, middle temperature, mean of the annual maximum variation temperature)
장대레일 부설구간에 있어서 예상되는 최고 레일온도와 예상되는 최저 레일온도와의 중간치를 말함.
중유 (重油, fuel oil)
주로 보일러, 디젤엔진, 각종 로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석유계 중질유. 비중 0.9~1.00. 총발열량 10,000~11,000 kcal/kg 시판품은 주로 유동성의 정도에 따라서 1종(A중유), 2종(B중유)및 3종(C중유)으로 대별됨. 중유제품중의 유황분은 1.8~3.5 %이고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아황산가스가 대기오염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임.
중점사용도 이론 (重點使用度 理論, predominant-use theory)
각 시설의 사용정도 또는 받는 편익의 정도에 따라 비용을 할당하는 방법.
중차량 (重車輛, heavy vehicle)
→ 대형차.
중첩의 원리 (重疊 - 原理, principal of superposition)
2개 이상의 원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일어나는 결과는 그 각 원인에 의한 개개 결과의 합과 같다는 원리. 모든 선형문제에서 성립함.
중하중 항공기 (重荷重 航空機, heavy load aircraft)
군용 비행장에서 포장을 설계하거나 평가할 때 사용하는 항공기 바퀴하중 구분중 가장 무거운 무게 집단에 속하는 항공기. 항공기 분류 지수(aircreft group index)의 11~13에 해당되는 항공기로 DC-10 및 B-747급의 점보급 항공기나 B-52 폭격기가 해당됨.
중합 (重合, polymerization)
같은 화합물의 분자 두 개 이상이 결합하여 분자량이 큰 다른 화합물이 되는 일. 두 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공중합이라고 하며, 부가반응에 의한 부가중합, 축합반응에 의한 축합중합이 있음.
중합체 (重合體, polymer)
중합으로 만들어진 화합물. 단량체의 수가 2배, 3배로 되는 것을 각각 2량체, 3량체 등이라 부름. 고중합체란 말을 고분자화합물과 같은 뜻으로 사용할 때가 종종 있음. 합성수지․나일론 등은 모두 중합체임. → 폴리머.
중화 (中和, neutralization)
산과 염기 등 성질이 서로 다른 물질이 서로 융합하여 서로의 특징이나 작용을 잃는 현상.
중화적정 (中和適定, neutralization titration)
산과 염기가 같은 그램 당량수로 중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산 또는 염기의 용량 분석을 행하는 일. 산의 표준액을 사용하여 염기를, 그리고 염기의 표준액을 써서 산을 적정함. 일반적으로 전기적정보다 신뢰도가 낮음.
쥬울법칙 ( - 法則, Joule’s law)
1940년 영국의 물리학자 J.P.쥬울에 의해 발견된 열(熱)에 관한 법칙. 도선(導線)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며 이것을 줄열(Joule’s heat)이라 함. 단위시간당의 발열량은 전류의 세기의 제곱과 도선의 전기저항의 곱과 같음.
즉시 처짐 (卽時 - , instantaneous deflection)
하중이 작용하는 순간에 구조물에 발생하는 처짐.
증기건조 (蒸氣乾燥, steam seasoning)
밀패된 용기속에 목재를 넣고 여기에 증기를 가해서 수액을 뺀 후 말리는 것.
증기기관차 (蒸氣機關車, steam(engine) locomotive)
증기기관(증기의 팽창 및 응력을 이용하여 왕복운동을 일으켜 동력을 얻는 열기관)을 이용한 기관차를 말함.
증기양생 (蒸氣養生, steam curing)
콘크리트나 모르터 등을 수증기로 양생하는 것.
증기철도 (蒸氣鐵道, steam railway)
철도를 기관차의 동력에 의하여 구별할 때 증기철도, 전기철도, 내연기철도 등이 있음. 증기철도는 증기기관차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을 견인하는 철도를 말함.
증기해머 (蒸氣 - , steam hammer)
무거운 추를 증기의 작용으로 상하로 동작시켜 말뚝을 박는 기계의 일종.
증류 (蒸溜, distillation)
액체를 끓는점까지 가열하여, 증발한 물질을 냉각하여 다시 액체로 만드는 일.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비점이 다른 혼합물을 분리할 수가 있음.
증류시험 (蒸溜試驗, distillation test)
커트백 아스팔트나 포장타르에 포함되어 있는 용제분, 휘발성 유분의 증발 속도나 잔류물량을 관측하기 위한 시험.
증류잔물 (蒸溜殘物, residue by distillation)
커트백 아스팔트 또는 포장타르 분류시험에 의해서 용제분이 제거된 후 남은 아스 팔트분 또는 핏치분.
증발 (蒸發, evaporation)
물분자가 열에너지를 얻어 수면이나 지면에서 기체상태로 변하여 공기중으로 이탈하는 과정을 말하며 빠져나간 물분자들은 주위의 공기분자와 섞여 혼합체를 이룸. 증발현상을 지배하는 인자로는 물과 공기의 온도, 바람, 상대습도, 대기압, 수질 및 수표면의 성질과 형상 등이 있음.
증발감량 (蒸發減量, loss on heating)
아스팔트의 품질시험의 일종으로 50g의 아스팔트 시료를 160 ℃의 오븐속에 5시간 방치한 후 시료 중량의 감량을 원래 중량의 백분율로 표시한 것(KS M 2255참조).
증발산 (蒸發散, evapotranspiration)
수표면과 흙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증발과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 증산을 통털어 말함.
증발산량계 (蒸發散量計, lysimeter)
실험실 혹은 자연상태에서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용기 속에 주변과 비슷한 흙을 넣어 땅 속에 묻어 두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용기의 무게로 물수지를 계산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함.
증발잔류물 (蒸發殘留物, ① evaporation residue ② residue by evaporation)
① 시료수를 105~110 ℃에서 증발 건조했을 때 잔류하는 물질. 보통은 현탁물질과 용해성 증발잔류물의 합임. → 총증발잔류물.
② 아스팔트 유제중에 수분을 증발시킨 후에 남는 아스팔트분의 양.
증발잔류암 (蒸發殘留岩, evaporite)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물질이 증발로 침전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말함. 화학적 퇴적암이라고도 함.
증발접시계수 (蒸發 - 係數, pan coefficient)
저수지증발량의 접시 증발량에 대한 비를 표시하며 월별 혹은 연별로 실험에 의해 결정함.
증발후 침입도 (蒸發後侵入度, penetration after heating)
아스팔트가 가열에 의해서 경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시험치로서 증발감량 시험이 끝난 시료를 가능한 한 저온에서 용융시켜 균질재료가 되도록 식힌 후 침입도를 측정하여 구함.
증발후 침입도비 (蒸發後侵入度比, penetration ratio after heating)
아스팔트 시료를 2개의 용기에 담아 증발감량 시험에 규정된 조건으로 가열한 뒤 그중 1개는 그대로, 다른 1개는 충분히 교반한 뒤 어느 것이나 침입도를 측정하여 2개의 침입도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증산 (蒸散, transpiration)
흙 속에 스며든 물이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어 식물의 잎표면에서 대기로 빠져나가는 비율.
증산계 (蒸散計, phytometer)
증산량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흙을 채우고 그 속에 식물을 심어 둔 큰 용기. 대기중으로 방출된 수분의 양은 식물이 든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어떤 시간 간격으로 저울질하여 구함. 이 때 식물의 입에서만 수분이 방출될 수 있도록 용기 속의 흙에는 불투수성 물질로 씌워 둠.
증산비 (蒸散比, transpiration ratio)
단위중량의 건조된 물질을 생산하는데 소비되는 증산량.
증식곡선 (增殖曲線, reproduction curve)
어느 단계의 개체군 밀도를 횡축에, 자(子)세대의 밀도를 종축에 순차적으로 plot해서 얻어진 곡선을 일컫는 말. 재생산곡선이라고도 함.
지각 반응시간 (知覺 反應時間, perception reaction time)
운전자가 동작의 필요함을 인지한 시간으로부터 실제 동작에 옮길 때까지 걸리는 시간.
지간 (支間, span)
이웃한 두 지점(支點) 간의 거리. → 경간.
지거측량 (支距測量, offset surveying)
측선으로부터 직각의 방향으로 거리를 관측하는 측량방법으로 지상의 세부위치 결정에 많이 사용됨.
지게차 ( - 車, forklift truck)
4륜차 또는 무한궤도식 자동차의 앞쪽에 포크 모양의 양탑기로 장치된 크레인. 양탑기의 받침을 팰리트(pallet)라고 하는 하수대에 끼워넣어 화물과 함께 운반함. 또한 양탑기는 그 받침에 짐을 실은 채로 승강할 수 있음.
지구곡률오차 (地球曲率誤差, divergence of earth curvature)
지구표면을 평면으로 가정하고 측량을 실시할 경우 특정 반경이상 규모의 측량시 발생하는 지구의 곡률에 따른 오차.
지구내도로 (地區內道路, local road)
→ 국지도로.
지구분할 (地區分割, zoning)
도시계획상의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기능별 토지이용 배분으로서 효율적 토지이용을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음. 교통분야에서는 통행실태조사, 대중교통실태조사 등에 있어서 조사대상지역을 조사내용에 맞추어 어떤 규모로 구분할 때, 그 구분단위를 교통지구(zone)라고 하며, 그 설정작업을 지구분할(zoning)이라 함. → 조닝.
지구타원체 (地球楕圓體, earth ellipsoid)
지구는 단축주위로 회전하는 타원체에 가까운 모양임. 따라서 부피와 모양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수학적으로 간단히 정의될 수 있는 회전체를 지구타원체라 함.
지구형상측량 (地球形狀測量, earth shape surveying)
지구형상결정에는 천문측량, 중력측량, 인공위성측량에 의하여 이루어짐. 지구형상측량을 geoidal model 측량이라고도 함.
지구환경서약 (地球環境書約, earth pledge)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현재와 미래세대를 위해 지구를 안전하고 편안한 안식처로 만들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기회를 제공하기위해 1992년 3월 9일에 발표된 서약. 내용은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가능케 하고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지구의 환경자원이 사람들의 무분별한 행위로 인해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음을 깊이 인식하며, 나는 지구를 우리와 우리 후손들의 안전하고 평화로운 삶의 터전으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서약합니다」로 되어 있음.
지그 ( - , jig)
공작할때 공작물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공구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로 작업용에 보조로 쓰이는 것.
지그재그 볼트체결 ( - 締結, zigzag bolt fastening, staggered bolt fastening)
→ 엇모배치 볼트체결.
지그재그용접 ( - 鎔接, staggered welding)
인접하는 2열의 용접선에 따라 단속으로 용접할 때 상호간의 위치가 지그재그가 되도록한 용접.
지능로봇 (知能 - , intelligent robot)
감각기능 및 인식기능에 따라 행동결정이 가능한 로봇.
지단 (止端, toe of weld)
모재의 면과 용접비드 표면과 교차하는 선.
지대운임 (地帶運賃, zone rate)
지역별로 구분하여 징수하는 요금으로서, 우리 나라 지하철의 구간요금 계산 방법이 그 예임.
지도 (地圖, map)
지도는 기준좌표계와 각각의 속성값에 의해서 정의되어지는 점, 선, 면의 집합임. 즉 주위 환경에 대한 자료를 좌표계에 기준하여 도형으로 표현한 것임.
지도투영법 (地圖投影法, map projection)
곡면인 가상의 지구표면을 평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방법.
지도편집 (地圖編輯, map compilation)
측량원도를 소정의 도식과 규정에 따라 정리하고 수정, 보완하는 작업.
지도학 (地圖學, cartography)
지표면과 그 형상에 대하여 지도나 챠트로서 도해적으로 표현하는 학문체계.
지류 (支流, tributary)
본류에 유입하는 다른 작은 하천.
지리경위도 (地理經緯度, geographic longitude and latitude)
지구상의 한 점에서 타원체에 대한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지도에 표시되는 일반적인 경위도는 이것을 가리킴, 측지경위도(測地經緯度)라고도 함.
지리정보체계 (地理情報體系,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도, 통계자료 등 지리자료와, 속성자료의 입력, 정비, 가공, 자료기반구축, 분석, 출력에 의한 지리관련 분야의 전산정보체계 및 조직.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소체계로서 GIS라고도 함.
지면관개 (地面灌漑, surface irrigation)
중력에 의하여 지표를 흐르게 하는 관개방법.
지면배수 (地面排水, surface drainage)
강우, 융설 등에 의한 도로노면의 유수를 될 수 있는대로 빨리 측구로 유도하여 노선, 노상 속으로의 침투를 방지하고 또한 인접 지대로부터의 유입수도 측구로서 차단 하는 것. 노면의 경사, 측구의 형태, 단면 및 경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 → 노면배수.
지면보류 (地面保溜, retention)
어떤 배수구역에서 유출로 빠져나가지 못한 강수의 양으로 이는 총강수량과 총유출량의 차가 됨.
지면살포 (地面撒布, land application)
토지표면에 하수슬러지 등을 살포하는 것. 하수슬러지의 지면살포는 슬러지의 처리, 처분 및 토지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음.
지면체류 (地面滯溜, detention)
저수 유역 또는 하수거 자체에서 지표 위의 물을 일시적으로 가두어 하수체계로 들어가거나 또는 하수체계 속의 흐름을 완화, 약화 또는 감쇠시키는 것.
지명경쟁입찰 (指名競爭入札, nominated competitive bid)
경쟁입찰에서 미리 도급업자 2명이상을 지명해서 실시하는 입찰.
지반개량 (地盤改良, ground improvement)
지반 안정화라고도 하며 토질공학적으로 어떠한 지반의 흙도 이상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수 없으므로 지반의 특성을 변화시켜 지반의 공학적 능력을 개선하는 것을 말함. 그 방법으로는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법, 압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투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음.
지반공학 (地盤工學, geotechnical engineering)
지반의 거동을 연구하고 실제에 적용하는 학문.
지반반력계수 (地盤反力係數,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재하 초기단계의 단위면적당 하중을 침하량으로 나눈 값을 지반반력계수라 함.
지반손실 (地盤損失, ground loss)
굴착된 터널과 원지반의 경계선에서 이에 연직되게 일어나는 지반 변위량의 합을 말하는데 터널의 막장 전‧후‧측방에서 발생하며 터널주변 지반변위의 가장 큰 원인이 됨.
지반앵커 (地盤 - , ground anchor)
지하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어 강성의 힘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어진 하중에 대한 지지요소임.
지반침하 (地盤 沈下, land settlement)
외력에 의한 토립자형상의 변화와 체적의 변화 등에 의한 지반의 변형을 지반침하라 함.
지방열차 (地方列車, local train)
지방선로 또는 지선에서 운행되는 열차를 말함.
지방족화합물 (脂肪族化合物, aliphatic compound)
탄소, 산소, 질소, 수소 원소가 쇄상으로 연결하여 환상구조를 가지지 않는 유기화합물의 총칭. 지방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산(지방산)에 쇄상구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진 것임. 천연에는 석유, 동식물지방, 고무 등으로서 존재하고, 알코올, 아크로레인, 알킬수은, 4에틸염 등이 이에 속함.
지방지역 (地方地域, rural area)
시가지로 형성하지 않은 지역 또는 그 지역 발전추세로 보아 시가지로 형성될 가능성이 없는 도시지역 이외의 지역.
지방철도청경계표 (地方鐵道廳境界標, regional railway division boundary post)
지방철도청 담당구역의 경계점에 건식하여 보수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제표임. 담당 경계점의 선로 우측에 세움.
지배경사 (支配勾配, maximum resistance grade)
기존의 선로에서 동력차가 최대로 견인력을 필요로 하는 경사를 말함. 제한경사와 일치함.
지배단면 (支配斷面, control section)
상류에서 사류로 변할 때의 수로단면. 이 때의 수심이 한계수심이 됨. 개수로 수면형추적에 있어서 경계조건을 갖는 단면.
지보공 (支保工, ① tunnel support ② timbering centring)
① 지보공은 터널을 굴착한 후 콘크리트 라이닝을 하기까지 시간사이의 터널내 토압을 지지하여 굴착작업시 위험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함. 지보공에는 목재 지보공, 강아치 지보공(steel arch support), 록볼트(rock bolt), 숏크리트 등이 있고, 지질, 단면의 크기,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작업상의 안전과 경제성이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
② 공사에 있어서 토압, 수압, 자중, 형틀 등에 작용하는 하중과 같은 시공시의 하중을 지지해서, 형상을 확보하기 위한 가설구조물, 지주식 지보공, 아치식 지보공, 형틀 지보공, 흙막이 앵커등이 있음.
지보패턴 (支保 - , tunnel support pattern)
터널막장의 지반상태와 터널천단부 및 그 상부의 지반상태,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터널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미리 설정해 놓은 터널 지보형태로서 터널굴착 후 조기에 설치하여 터널의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숏크리트, 강지보공, 록볼트 등을 조합한 지보방법을 말함.
지불선 (支拂線, pay line)
터널공사의 계약 등에 있어서 굴착 및 복공 콘크리트 수량의 지불한도를 터널단면에 표시한 선을 말함. 즉 터널공사시 여굴, 복공두께 등 실제 시공에 있어서 설계복공 두께선을 넘은 굴착량이나 복공 콘크리트 양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며, 공사 도급계약의 경우 이 여분의 공사수량에 대하여도 공사비에 견적하여야 하지만 대금지불의 한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계복공 두께선의 외측에 설정되는 선을 말함.
지상기준점 (地上基準點, ground control point)
사진상에 나타난 점과 그와 대응하는 실제의 점과의 상관성을 해석하기 위한 점. GCP라고도 함.
지상기준점측량 (地上基準點測量, ground control point surveying)
사진상에 나타난 점과 대응되는 지상기준점의 수평위치와 표고에 대해 실시하는 측량.
지상사진측량 (地上寫眞測量, terrestrial photogrammetry)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건조물, 시설물의 형태 및 변위 관측 등을 행하는 측량방법으로 300m 이내의 경우 근거리 사진측량이라 함.
지상신호방식 (地上信號方式, way side signal)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지상에 건식된 신호기에 의하는 신호방식임.
지상조립 (地上組立, prefabrication)
구조물 일부 또는 전체를 미리 지상에서 조립하는것.
지상조업장비 통행로 (地上操業裝備 通行路, ground service equipment road)
항공기를 직접 지원하거나 승객을 실어 나르는 차량들이 통행하도록 비행장 내에 마련된 도로.
지상 항공등화 (地上 航空燈火, aeronautical ground light)
항공기 자체에 표시되는 등화 이외에 운항 원조를 위하여 특별히 설치된 등화.
지선 (支線, branch line)
철도망(鐵道網)상, 또는 철도 영업상 간선이나 본선에서 분기하여 주로 지방적교통에 제공되는 선로를 말함.
지성선 (地性線, topographic / basic relief line)
지표면을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할때 이 평면의 접합부 즉, 접선을 말하며 지세선이라고도 함.
지속 교통류율 (持續 交通流率, sustained volume rate)
교통량의 유출입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변화를 보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의 교통류율을 의미함.
지속시간 (持續時間, duration)
강우가 계속되는 시간장경(時間長經)을 말함.
지수구 (止水溝, cut-off trench)
→ 지수도랑.
지수구리판 (“止水銅板”, water stopping copper)
댐의 횡단이음매, 수도용 구조물의 수평시공이음매 등의 틈을 통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이부분에 매설하는 지수형 동판.
지수도랑 (“止水溝”, cut off trench)
구조물의 기초지반으로 침투하려는 물을 막기 위하여 구조물 둘레에 파 놓은 도랑. 차수도랑이라고도 함.
지수로 (支水路, lateral)
지선암거라고도 하며 배수지역 전반에 배치하여 땅 속의 물을 직접 흡수하는 배수 구조물.
지수밸브 (止水 - , stop valve)
단수시키기 위하여 관로에 설치하는 밸브.
지수벽 (止水壁, cut off wall)
침투성인 지반 중에 침투하는 물을 지수할 목적으로 점토,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재료로서 만들어진 벽. 차수벽이라고도 함.
지수판 (止水板, cut off plate)
콘크리트 이음부에서 수밀을 위해서 콘크리트 이음부에 묻는 동판. 스테인레스판, 인조고무판 등의 수밀성과 내구성이 큰 재료로 만들며 신축에 적응하는 구조로 함.
지시약 (指示藥, indicator)
화학반응에 있어서, 반응의 종점 등과 같은 일정한 상태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시약. 적정(滴定)의 당량점(當量點)을 판별하는데나 수소이온 농도를 알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이 많음. 중화 지시약, 형광 지시약, 산화환원 지시약, 흡착 지시약, 금속 지시약 등 여러 종류의 지시약이 있음.
지시표지 (指示標識, indicatory sign)
도로의 통행방법,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에 도로이용자가 따르도록 알리는 도로표지.
지심위도 (地心緯度, geocentric latitude)
지구상의 한 점과 지구중심이 맺는 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아이에스 ( - , GIS)
→ 지형공간정보체계. → 지리정보체계.
지압 (支壓, bearing)
두개의 물체가 상접해서 압축력을 받아, 서로 누르고 있는 상태 또는 그 힘을 말함.
지압강도 (支壓强度, bearing strength)
지압에 의해 지압 부분이 파괴 될때의 지압 응력의 값.
지압면적 (支壓面積, bearing area)
지압면으로 작용하는 면적.
지압볼트 (支壓 - , bearing bolt)
볼트 구멍 벽과 볼트 축부간의 지압력 및 볼트 축부의 전단력에 의해 외력에 저항 하는 볼트.
지에스아이에스 ( - , GSIS)
→ 지형공간정보체계.
지압 응력 (支壓應力, bearing stress)
접촉해 있는 두 물체 사이에 압축력이 작용할 때, 그 접촉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생기는 응력.
지역냉난방 (地域冷暖房, district cooling and heating)
각 건물에 냉난방 및 온수공급용 열원을 설치하지 않고, 한 곳에 집중된 열원 플랜트에서 증기․온수․냉수 등의 열매(熱媒)를 배관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냉방이 없는 경우를 지역난방이라고 함.
지역 제어기 (地域 制御機, local controller)
보통 신호제어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데 중앙제어기(central controller)와 대비되는 개념임.
지연 (遲延, retardation)
경화 또는 응결속도의 감소. 즉 초결및 종결에 이르는 시간, 또는 새로쳐 넣은 콘크리트, 모르터그라우트 등이 초기강도를 발견할 때 까지의 소요시간의 증가.
지연뇌관 (遲延雷管, delay action detonator)
기폭시간을 지연시켜서 가감이 되는 전기뇌관. 보통의 것은 지연시간이 0초에서 7.5초 사이에 20단계가 있음. 밀리세컨드뇌관은 각단계의 시간간격이 극히 짧아 20~50 ms (1ms=1/1000s)로 되어있음. 0에서 1초 사이에 20단계가 있음. 단발뇌관이라고도 함.
지연제 (遲延劑, setting retarder)
혼화제의 일종으로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늦추기 위해서 쓰이는 재료.
지연파괴 (遲延破壞, delayed failure / rupture)
정하중하에서, 어떤 시간이 경과한 후에, 외견상으로 거의 소성변형을 동반하지않고 갑자기 취성파괴 하는 현상.
지오이드 ( - , geoid)
정지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지구 전체를 둘러 쌌다고 가상한 곡면을 말함. 또는 중력의 등 potential면 이라고도 함.
지오이드고 ( - 高, geoid height)
타원체로 부터 지오이드의 높이.
지자기측량 (地磁氣測量, magnetic surveying)
지자기의 방향과 자오선과의 각인 편각, 수평면과의 각인 복각, 자기장의 크기인 수평분력, 즉 지자기의 3가지 요소를 측량하는 것을 지자기 측량이라 함.
지적도 (地籍圖, cadastral map)
토지대장에 등록된 토지의 경계를 밝히기 위한 도면으로 국가가 만들어 보관하는 지적공부의 일종이며 토지소유권 확립상 중요한 요소임.
지적법 (地籍法, law of cadastre)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절차와 이에 따르는 지적측량 및 그 정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므로서 효율적인 토지관리와 소유권의 보호를 위해 제정된 법.
지적용도근점 (地籍用圖根點, cadastral supplementary control station)
국가기본삼각점, 지적측량용삼각점, 삼각보조점을 기초로 하여 세부측량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설치한 기준점.
지적측량 (地籍測量, cadastral surveying)
토지를 단위별로 등록하여 토지에 대한 물건이 미치는 한계를 밝히기 위한 2차원(X, Y) 측량.
지점 (支點, supporting point)
구조물을 지반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조물의 외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필요한 부분.
지점 모멘트 (支點 - , moment of intermediate support)
연속보 또는 연속트러스의 중간지점에 생기는 휨모멘트.
지점 반력 (支點反力, support reaction)
→ 반력.
지점속도 (地點速度, spot speed)
도로위의 한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순간속도를 말하며, 측정방법으로는 도로상의 두 지점간을 주행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하는 방법과 Radar, Speed meter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음. 시간평균속도로 나타냄.
지점 조건 (支點條件, support condition)
구조물의 지점의 상태를 나타내어 주는 것으로 고정, 롤러, 힌지 등의 종류가 있음.
지점 침하 (支點沈下, support settlement)
지점에서 반력의 작용 방향으로 발생한 기지의 유한한 변위.
지접법 (支接法, supported joint)
이음매를 침목 직상부에 두는 방식을 말함.
지조위상 (遲潮位相, tidal epoch)
→ 위상 지각.
지주 (支柱, post)
중량물을 지지하는 기둥. 가설공사에서는 형틀, 지보공, 비계 등을 지지하는 기둥.
지주머리 (支柱 - , shore head)
목재 또는 금속재의 수평재로서 수직 지주 위에 놓아 지주와 긴결함.
지주배치도 (支柱配置圖, shoring layout)
가지주용 자재의 배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조립 전에 준비된 도면.
지주식가설 (支柱式架設, post erection)
가설하려는 판형 뒤에 수주용판형을 놓고 2개의 판형 사이에 지주를 세워서 지주와 판형을 와이어로 이어서 전진 하면서 가설하는 공법.
지주하중 (支柱荷重, strut load)
지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잭을 이용하여 스트러트에 미리 하중(preloading)을 가하는 것.
지중측량기 (地中測量機,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지하에 매설된 전도체에 전류를 가하여 그 에너지에 의해 전도체로부터 형성되는 자장을 가칭주파수로 변환하여 지하매설물의 수평면 및 연직의 위치를 관측하는 장비.
지중침하 (地中沈下, subsurface settlement)
터널을 굴착할 때 인접지반은 침하를 하게 되는데 터널 천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지표로 갈수록 각 지층의 침하량은 깊이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지반중의 침하를 말함.
지중침하계 (地中沈下計, borehole extensometer)
터널굴착으로 인해 굴착 터널상부 지반의 깊이별 침하량(지중침하)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기.
지지력 (支持力, bearing capacity)
지반이 파괴되지 않고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으로 단위면적당 하중으로 표시함. 기초는 재하응력이 지지력보다 작도록 설계해야 하며 이 때 재하응력및 지지력 평가시 내포되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적당한 안전율을 갖도록 설계해야 함.
지지력계수 (支持力係數, bearing capacity factor)
지력을 구하기 위한 공식에서 사용되는 계수로서 흙의 마찰각에만 관계되는 무차원 수. Nc, Nq, Nγ 등으로 표시함.
지지로프 (支持 - , guy rope, guy line, holding rope)
물체가 떨어지거나, 전도하지 않도록 잡아 매는 로프. 가이드(guide)라고도함.
지지말뚝 (支持 - , bearing pile)
말뚝의 끝이 땅속에 있는 굳은 지반이나 암석 등에 닿아 기둥과 같이 상부의 하중을 지반하부에 전달하는 말뚝.
지진계 (地震計, seismograph, seismometer)
지진에 의한 지진면이나 구조물의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기록 하는 계기.
지진력 (地震力, seismic force)
구조물에 작용되는 지진의 효과를 힘으로 표시한 것. 구조물의 질량에 지진 가속도를 곱한 값.
지진파 (地震波, earthquake wave)
탄성체인 암석은 종파와 횡파를 모두 통과시키는데 지진으로 인한 이 두 탄성파를 말함. 종파는 빠른속도로 전해져서 가장 먼저 도착하는것을 P파, 다음으로 도착하는 횡파를 S파, 최후에 도달하는 진동이 크고 파장이 긴 파동은 진앙에 달한 지진파가 지표를 따라 사방으로 전해진 것.L파라고도 함.
지진파굴절탐사 (地震波屈折探査, seismic reflection survey)
지진파를 이용한 지진탐사중 굴절법을 이용하여 지증이나 암반의 균열, 풍화정도 등을 파악하는 조사.
지진 하중 (地震荷重, seismic load)
구조물의 설계하중의 일종으로서 구조물의 질량에 설계용 지진 가속도를 곱한 값.
지진해석 (地震解析, seismic analysis)
지진탐사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의 여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검토.
지진 해일 (地震 海溢, tsunami, seismic sea wave)
해저지진, 해저화산의 분화 등 해저 지각변동에 의하여 발생한 장주기 파가 육지쪽으로 전파되면서 해저지형의 영향으로 증폭되어 발생하는 해일.
지질 (脂質, lipid)
일반적으로 물에 녹기 어렵고, 유기용매에 녹기 쉬운, 생체에 존재하는 기름모양 물질의 총칭. 여러가지 물질을 함유하지만, 특히 지방산의 유도체가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지질공학 (地質工學, engineering geology)
지질학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이용한 공학.
지질구조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
광의에서는 지각중의 지층이나 암체의 공간적 분포를 말하고 좁은 뜻으로는 습곡이나 단층 등의 지층이나 암체의 변위 또는 변형을 말함. 지질구조의 기본적인 요소는 암층과 암층의 경계면, 층리면, 단층면, 습곡측면 등이 있음.
지질단면도 (地質斷面圖, geological profile)
암반 내부의 지질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단면의 절단 방법에 따라 지질 수평단면도, 지질 횡단면도, 지질 종단면도로 분류됨. 지질단면도에 포함시키는 최종 단계의 내용으로는 암석의 분포상황, 암반 분류, 피복물의 분포상황, 단층, 파쇄대 및 층의 분포상황, 주향경사, 지층의 주향, 경사, 탁월한 절리, 편리의 주향, 경사, 지하수의 상황이 기재될 필요가 있음.
지질답사 (地質踏査, outcrop reconnaissance)
지표에 노출된 암석, 지층의 종류, 분포나 그들의 상호 관계를 주로 육안에 의하여 관찰 기록하여 퇴적분자의 크기, 퇴적환경, 작용된 조구운동의 시대나 성질 등 또는 화성 활동의 시기나 마그마의 성질, 변성작용의 시기와 온도 또는 압력 등, 지각 발달의 역사 규명에 연결 되는 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단임.
지질도 (地質圖, geologic map)
각종 암석의 분포, 그들의 시대구분, 배열상태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어느정도의 표토나 엷은 표층퇴적물을 깍아낸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 지질도에서 표시하기 힘든 지하 깊숙한 곳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단면도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임. 토목에서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지표에 가까운 지반상태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두꺼운 표토나 엷은 표층 퇴적물을 기입하는 경우가 많음.
지질도작성 (地質圖作成, geological mapping)
토목, 암반구조물 기초암반의 조사 계획에 의거해서 실시된 각종의 지질 조사 결과는 최종적으로 어떤 형태이던간에 지질도로서 정리되며, 이들 지질도는 토목, 암반구조물의 계획, 설계쪽의 요구를 충분히 염두에 두고 작성하는 것이 필요함.
지질연대기준 (地質年代基準, geological time scale)
지질연대는 고생물의 계통 진화나 지질의 부정합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시대 구분된 연대이며, 이 연대를 세분하여 표시한 것.
지질조사 (地質調査, geological survey)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지반의 전체적인 지질학적 분류, 형성 과정, 지질구조를 조사하는 것으로서 지표에서 지하 심부에 이르기까지 지층, 구조의 분포, 연대, 상호 관계 등을 확인 또는 추정하는 조사를 말함. 현장에서 육안 관찰을 주체로 하는 지질 답사, 보오링 조사, 사운딩, 물리탐사, 실내시험, 현장시험 등의 방법이 있음.
지질주상도 (地質柱狀圖, geological columnar section)
암질에 관한 설명을 첨가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층서를 나타낸 것. 상세한 주상도는 암질에 관한 설명이 없이 특수한 층원, 층, 또는 암석학적 단위를 나타냄. → 주상도
지질콤파스 (地質 - , clinometer or clinocompass)
지질조사시 평면구조의 주향과 경사 및 선구조의 trend, plunge, pitch 등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
지질학 (地質學, geology)
지구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부문으로써 특히 지각의 구성물질, 구조, 성인및 지구의 무생물계와 생물계의 역사룰 규명하려는 학문.
지질햄머 (地質 - , geologic hammer)
지질조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노두청소와 땅파기, 암석깨기와 표본다듬기에 사용됨.
지천유입양 (支川流入量, local inflow)
두 개의 관측소 사이의 하천으로 흘러 들어오는 흐름.
지체 (遲滯, delay)
① 운전자의 제어 외의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손실.
② 주어진 통행을 할 때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시간보다 추가로 운전자, 승객, 보행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
지체계수 (遲滯係數, retardance coefficient)
지표류의 산정에서 지표의 거친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지체보상금 (遲滯補償金, liquidated damages)
도급공사를 계약기간 내에 완성하지 못하였을 때 도급자가 공사발주자에게 지불하는 보상금.
지체시간 (遲滯時間, lag time)
강우가 시작되는 시각부터 첨두유량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 또는 계속된 강우의 중심에서부터 총유출용적의 중심까지 거리. 우량주상도의 질량중심에서 이로 인한 수문곡선의 중심까지 시간으로 정의되나 단순히 수문곡선의 첨두까지 시간으로 함.
지체현상 (遲滯現象, retardation)
집수구역의 빗물이 동시에 하수거의 출구 지점에 모이는 일은 없음. 집수구역의 출구지점의 가까이에 내린 빗물과 먼 지점에 내린 빗물이 출구지점에 도달하는 데 시간차이가 나는 현상을 말함.
지포제 (止泡制, defoaming agent)
거품이나 포말을 억제시키는 물질.
지표 (指標, fiducial mark)
→ 사진지표.
지표면측량 (地表面測量, ground surveying)
지형해석, 토지이용, 지구형상측량, 지구의 운동 및 변형측량 등을 위한 측량임.
지표생물 (指標生物, index / indicator organism)
존재하는 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수질을 판정할 수가 있음. 이 경우에 사용하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함.
지표수 (地表水, surface water)
지하수와 구분하여 지표면에 있는 하천수, 호수, 저수지 등의 물을 말하며, 수원으로 많이 이용됨.
지표유실 (地表流失, land erosion)
흐르는 물에 의해 지표의 흙이 씻겨 내려가는 현상.
지표유하수 (地表流下水, overland flow)
강수가 지상에 떨어져 하천에 도달하기 전까지 지표면 위로 흐르는 유수.
지표철도 (地表鐵道, surface railway)
철도를 시공기면의 위치에 의하여 분류하였을 때 고가철도, 지하철도에 대응하는 말로서 지상에 설치한 철도 즉 일반적인 철도를 말함.
지표침하 (地表沈下, surface settlement)
터널굴착으로 인해 지표면이 침하되는 현상. 지표침하는 터널의 종단 및 횡단방향으로 여러곳에 침하핀을 설치하여 터널굴착시 변화하지 않는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인 침하량을 측정함.
지피에스 ( - , GPS)
→ 범세계위치결정체계.
지하공동 (地下空洞, underground cavern)
지하암반을 굴착하여 생활시설, 도시시설, 생산시설, 저장시설, 방재시설 등의 지하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일반터널보다 단면적이 큰 지하공간을 말함.
지하굴착 (地下掘鑿, underground excavation)
지표면 아래 흙이나 암 등을 파내는 것.
지하배수 (地下排水, subsurface drainage)
노면 아래의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거나 도로 인접지대로부터 침투하여 오는 물을 차단 또는 배제하는 것.
지하선 (地下線, underground line)
지하에 부설되어 있는 선로를 말함.
지하수 (地下水, groundwater)
빗물이나 지표수가 지층을 침투하여 지하로 스며든 물로서 크게 천층수, 심층수, 용천수, 복류수로 구분됨.
지하수감수곡선 (地下水減水曲線, groundwater recession curve)
수문곡선에서 지하수에 의하여 보충되는 유량을 나타내는 곡선.
지하수면 (地下水面, groundwater table)
지하수의 연속한 표면. 다수의 지점에서 지하수위를 측정하여 그 지하수면의 상황을 알 수 있음. 일반적으로 지하수면의 기복은 지표와 근사함. 천연하천의 수면, 용천장수의 높이는 그 점의 지하수면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지하수문학 (地下水文學, subsurface hydrology)
지표면을 통과하여 지하로 유입된 물의 기원과 성질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관한 수문학적 문제를 다루는 학문.
지하수위 (地下水位, groundwater level / table)
지하수면의 높이. 지하수위를 관측하고 지하수면의 등고선을 그리면 지하수의 유동방향이나 유속을 추정할 수 있음.
지하수위 강하 (地下水位 降下, groundwater lowering)
지하수면의 높이가 양수나 인접지반의 굴착 등의 요인에 의하여 떨어지는 것. 지하수면의 강하로 지반이 침하하여 인접구조물에 균열 등의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음.
지하수위 저하 공법 (地下水位 低下 工法, dewatering method)
터널 굴착시 유출되는 물에 의한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지반속의 지하수를 배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공법을 말함. 지하수위 저하공법은 대상지반의 범위, 지반의 투수성, 심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법을 선정함.
지하수유출 (地下水流出, groundwater runoff)
표토 속으로 침투하여 표토층을 통하여 하천에 이르기까지 횡적으로 흐르는 강우의 일부.
지하수하강곡선 (地下水下降曲線, normal depletion curve)
샘이나 침윤에 의해서 하천으로 빠져나가는 지하수의 손실을 나타내는 곡선.
지하수함양 (地下水涵養, recharge of groundwater)
우물을 사용하여 지하에 물을 주입하여 지하수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해안 지방에서 해수의 침입을 막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
지하시설물측량 (地下施設物測量,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지하관수로, 지하시설물, 지표하 얕은 곳의 매설물 위치 확인을 위한 측량으로 지하매설물측량 이라고도 함.
지하역 (地下驛, underground station)
지하역에는 지평에 부설된 선로를 횡단하는 일반지하도와 홈을 연결하는 구내 지하통로를 조합하여 이 사이에 지하역사를 설치한 경우와 선로가 지하로 되어 있는 지하철도의 역이 있음.
지하철 (地下鐵, subway)
지하에 설치된 전용 철도를 주행하며, 고용량의 차량 및 열차편성으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
지하측량 (地下測量, underground surveying)
지하매설물, 지하수현황, 중력, 지자기, 탄성파, 지진 등의 조사 및 해석을 위한 측량을 말함.
지하층 (地下層, basement floor)
① 바닥이 땅속 깊이 있는 층
② 바닥이 지표면 이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높이가 그 층의 천정이 높이의 2/3 이상인 것.(건축법에서)
지하통로 (地下通路, underpass)
도로가 도로나 철도 또는 구조물과 교차할 때, 지하 또는 구조물 하부를 통과하는 도로 부분.
지형 (地形, topography)
암석과 흙 그리고 믈이 가해져서 이루어진 지층의 형태.
지형공간정보체계 (地形空間情報體系,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는 지구 및 우주공간 등 인간활동 공간에 관련된 제반 과학적 현상을 정보화하고 시공간적 분석을 위하여 위치정보와 특성정보(도형, 영상 및 속성정보)를 이용하는 정보체계임. 이체계는 지리/토지/도시정보체계 (GIS/LIS/UIS), 도면자동화 및 시설물관리(AM/FM) 등의 상호 연관성과 의존성을 고려하여 통합운영되는 정보체계임. Geo(땅 : 지물과 지모를 뜻하는 지형) Space(하늘 : 영역과 시간의 범주를 뜻하는 공간)의 합성어는 인간생활의 총체적 의미를 부여함. 약어 : GSIS.
지형도 (地形圖, topographic map)
지표면상의 자연 및 인공적인 지물, 지모를 수평(X, Y) 또는 수직적(Z)으로 관측하여 그 결과를 일정한 축척과 도식으로 도지에 도시한 지도.
지형측량 (地形測量, topographic surveying)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
지형학 (地形學, morphology)
지표의 형태 및 그것이 만들어진 원인과 변천을 연구하는 지리학의 한 부분.
직각수평사진 (直角水平寫眞, normal photograph)
촬영점 간의 촬영기선에 대하여 사진기 광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향하게하여 수평촬영한 사진.
직각주기 (直角駐機, nose in parking)
항공기의 기수(機首)를 터미널 건물을 향하게 주기하는 자세, 자체 추진력으로 주기대 (parking stand) 에 진입하고 견인차(towing car)에 의해 밀어냄. 계류장 면적이 좁을 경우 유리하나 견인차가 필요하고 뒷 부분이 먼 것이 단점임.
직결궤도 (直結軌道, solid bed track)
넓은 의미로는 재래형 궤도구조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레일을 궤도지지체에 직접적으로 결합시킨 궤도로서 무도상 궤도나 무침목 궤도를 포함하며, 협의로는 레일을 체결장치만으로 궤도지지체에 직접 결합시키는 궤도를 의미함.
직결도상 (直結道床, solid track-bed)
레일을 도상에 직접 체결하는 도상을 말하며 재료의 수명연장, 보수작업량 경감 및 경제상의 이유로 개발되고 있음.
직결램프 (直結 - , direct ramp)
교차하는 도로를 접속하는 램프형식 중의 일종으로 우회전 램프에서는 본선차도의 우측에서 분류하여 그대로 우회전하는 것이고, 좌회전 램프에서는 본선차도의 좌측에서 직접 분기하여 좌회전하는 것.
직결Y형 입체교차 (直結 - 形 立體交叉, direct Y-interchange)
3지 입체교차의 한 형식으로서 3방향 모두의 접속이 직결램프에 의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상호접속에 이용됨.
직결형 인터체인지 (直結型 - , directional interchange)
인터체인지 내 교통류 처리를 위해 직접 연결로를 사용한 인터체인지로서 루우프 방식 연결로에 비해 높은 교통서비스수준을 확보할 수 있으나 넓은 도로부지와 많은 건설비용이 요구됨.
직결형 입체교차 (直結形 立體交叉, directional interchange)
→ 직결형 인터체인지.
직교이방성 (直交異方性, perpendicular / orthogonal anisotropy)
재료 또는 구조의 역학적성질이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
직류아크용접 (直流 - 鎔接, direct current arc welding)
직류전원을 사용한 아크 용접.
직류아크용접기 (直流 - 鎔接機, direct current arc welder)
직류아크용접에 사용하는 기계, 직류를 얻는 방법에 따라 전동기직결형, 엔진구동형, 정류형으로 나뉘며, 박판, 경합금, 스테인레스강 등의 용접에 사용함.
직삼각웨어 (直三角 - , right-angle triangular weir)
웨어의 단면이 직삼각형으로 된 것.
직선구간 (直線區間, tangent section)
평면선형상 직선인 도로 및 철로구간.
직선이동 (直線移動, linear transformation)
부정정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위치를 한 곳 이상의 중간지점의 위치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강재의 단지점에 있어서의 위치나 지점 사이에서의 기본적인 선형을 변화시키지 않고, 강재의 선형을 바꾸는 방법(직선이동을 하여도 압력선의 선형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음).
직선프리스트레싱 (直線 - , linear prestressing)
보 또는 기둥과 같은 직선부재에 대한 프리스트레싱.
직업병 (職業病, occupation disease)
어떤 특정직업에 종사함으로써 근로조건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질환. 그 직업에 종사하고 있으면 누구든지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점이 특색이며, 화학 공장의 약해에 의한 중독, 기기의 감시에 의한 정신피로나 신경증, X선 등의 방사선에 의한 백혈병이나 빈혈, 분진에 의한 진폐증 등이 그 예임.
직영 (直營, direct undertaking)
구조물 공사에서 구조물의 주인격인 자가 직접 자재, 노무자, 기계설비 등을 조달해서 공사를 해 나가는 것.
직접 강성도법 (直接 剛性度法, direct stiffness method)
구조계를 이루는 각 부재의 부재 강성도를 구하고, 각 부재를 연결하는 절점에서의 평형조건에 의하여 구조계의 전체 강성도 행렬을 형성하는 구조해석방법.
직접관측 (直接觀測, direct observation)
구하려는 값을 직접관측하는 방법으로 줄자로 거리를, 각측량기로 각도를, 레벨로 고저차를 관측하는 것임.
직접기초 (直接基礎, direct foundation)
→ 얕은 기초
직접인장시험 (直接引張試驗, direct tension test)
공시체 양단을 직접 인장함으로써 공시체 내부에 인장응력을 작용시켜 최대 내하강도를 구하는 시험임.
직접전단시험 (直接剪斷試驗, direct shear test)
흙의 강도정수를 구하기 위한 실내시험의 한종류로서 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하며 시험방법이 비교적 간단한 이점이 있으나 배수조건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파괴면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장치되어 있어서, 반드시 수평방향이 가장 약한 면이 아니므로 불합리함. 또 시료 표면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시료내부에 발생되는 응력이 불균일하고 시험의 초기 및 파괴가 될 때의 주응력의 방향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음.
직접 주차 (直接駐車, self parking)
안내원 주차(Valet parking, attendant parking)와 대비되어 안내원의 도움 없이 운전자가 직접 주차하는 것.
직접첨접 (直接添接, direct splice)
재편의 측면에 첨접재를 직접 밀착시켜서 접합하는것.
직접탈황법 (直接脫黃法, direct desulfurization process)
중유 탈황에 있어서의 수소화 탈황법의 일종으로서, 원유를 상압 증류하고, 남은 중유를 전처리를 하지 않고 직접 촉매와 수소의 작용으로 탈황하여 저유황의 중유를 제조하는 방법임.
직접 하중 (直接荷重, direct load)
구조물에 직접 작용하는 하중.
직통열차 (直通列車, through train)
중도에서 갈아탈 필요없이 통하는 열차, 또는 도중에서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곧바로 가는 열차를 말함.
진공건조 (眞空乾燥, vacuum seasoning)
목재의 인공건조법의 하나. 1기압이하의 감압하에서 행하는 건조를 말함. 따라서 이 방법은 감압건조라고도 함. 철제의 원통형탱크 내에 목재를 밀폐하고 고온저압상태로 하여 수분을 제거함. 이는 주로 약품주입의 전처리로 행하여 짐.
진공여과 (眞空濾過, vacuum filtration)
슬러지의 탈수방법의 일종. 진공드럼에 면포(綿布) 또는 합성섬유 등으로 감고 회전시켜 탈수하는 것. 슬러지의 연속여과를 행할 수 있는 회전식 여과방법임.
진공증발 (眞空蒸發, vacuum evaporation)
진공중에 분자의 운동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증기를 증발시키는것.
진공콘크리트 (眞空 - , vacuum processed concrete)
보통의 콘크리트를 친 직후, 진공매트(vacuum mat) 또는 지공거푸집 패늘로 콘크리트 표면에 진공을 만들어서 표면 근처의 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대기압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만드는 콘크리트.
진공 콘크리트 공법 (眞空 - 工法, vacuum concrete)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중의 수분을 표면의 진공매트를 통하여 진공펌프로 제거하는 공법. 주로 시멘트콘크리트에 의한 포장의 재포장 공사에 사용됨.
진공펌프 (眞空 - , vacuum pump)
대기압 이하로부터 절대 진공까지의 상태에 있는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는 기계로 기체 압축기의 일종임. 왕복식, 회전식, 원심식이 있음.
진균류 (眞菌類, true fungi)
→ 곰팡이.
진눈깨비 ( - , slush)
부분적으로 녹아서 내리는 눈.
진도 (震度, seismic coefficient)
지진의 최대가속도와 중력가속도의 비.
진도계 (震度階, seismic intensity scale)
어느 장소에서의 진동의 세기를 인체감각. 사람에 가까이 있는 물체․구조물․지반 등에 대한 영향의 크고 적음에 의해, 몇개의 계급으로 나누어 놓은 것.
진도 계수 (震度係數, seismic coefficient)
→ 진도.
진동 (振動, vibration, oscillation)
물체의 위치, 전류의 세기, 자기계, 기체의 밀도 등 하나의 물리적인 량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변화하는 현상.
진동감쇠장치 (振動減衰裝置, vibration damping equipment)
진동에너지를 흡수시켜, 계의 진동의 감쇠를 빠르게 하는 장치.
진동 격리 (振動隔離, vibration isolation)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
진동기 (振動機, vibrator)
콘크리트에 진동을 주어 다지는 기계. 내부진동기, 거푸집진동기, 표면진동기, 진동대 등이 있음.
진동다짐 (振動 - , vibrating compaction)
콘크리트에 아주 빠른 진동을 주어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드는 방법. 진동기에는 내부진동기, 거푸집진동기, 평면진동기, 진동대 등의 종류가 있으나 진동의 목적에 따라 적당한 것을 사용해야 함.
진동대 (振動臺, shaking table)
모형을 진동시켜 구조물의 진동성상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
진동대식 컨시스턴시 시험 (振動臺式 - 試驗, vibrating table consistency test)
포장용 콘크리트의 콘시스텐시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시험장치는 테이블 진동기, 용기, 콘 및 미끄럼봉이 붙은 투명한 원판으로 되어 있음.
진동도수 (振動跳水, oscillating jump)
도수의 일종으로 수로 바닥에서 제트류가 생겨 수면과 바닥으로 진동하게 되어 표면파가 거세고 흐름은 몹시 불안정한 것.
진동도저 (振動 - , vibrating dozer)
불도저의 배토판 대신 콘크리트 진동기 몇대를 한줄로 장치한 도저. 댐콘크리트의 다짐에 쓰임.
진동레벨 (振動 - , vibration level)
공해진동의 평가 등에 쓰이는 기준척도로, 가속도레벨(dB)의 연직 수평진동의 각각의 진동감각보정을 하는 척도. 공해진동레벨계의 계측치는 이 척도로 측정됨.
진동롤러 (振動 - , vibration roller)
롤러의 중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진동을 주면서 다짐하는 롤러.
진동 모드 (振動 -, vibration mode)
구조물이나 부재가 하나의 고유진동수로 진동할 때 각 점에서의 상대적인 진폭을 연결한 형상.
진동방지 (振動防止, vibration isolation)
진동장해를 방지하는 것은 진동원을 구명하여 진동의 주원인을 제거하는 방법과 방진기초를 사용하여 진동을 절연하는 방법이 있음.
진동수 (振動數, frequency)
단위시간 (보통 1초) 사이에 진동이 반복된 수로서 주기의 역수.
진동수비 (振動數比, frequency ratio)
강제진동에서 가진력의 진동수의 고유진동수에 대한 비.
진동식고무타이어롤러 (振動式 - , vibrating tire roller)
고무타이어로울러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한것.
진동식롤러 (振動式 - , vibratory roller)
기계를 작동시켜 가진력에 의해서 다지는 다짐기계.
진동식줄눈카터 (振動式 - , vibrating joint cutter)
줄눈을 내는 칼날에 진동을 주어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줄눈을 내는 도구.
진동식항타기 (振動式抗打機, vibro pile driver)
진동기에 의해 말뚝 또는 널말뚝에 진동을 주어 박는 기계.
진동장해 (振動障害, vibration hazard, obstacle of vibration)
공구, 기계 장치 등의 진동이 생체에 전파되어 일어나는 건강장해를 총칭해서 일컫는 말. 진동병(vibration disease), 진동증조군(vibration syndrome)이라고도 함.
진동절연장치 (振動絶緣裝置, vibration insulation equipment)
진동에너지를 반사시키든가, 어느 진동수범위에 있어서, 진동전달을 막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
진동제어발파 (振動制御發破, vibration controlled blasting)
발파시 발생되는 지반진동을 제어하면서 발파를 시행하는 방법임.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발파대상지역에서의 지발당 장약량, 폭원과의 거리 및 암반조건 등으로부터 진동속도 추정식을 결정함. 이런 방법으로 진동추정식이 결정되면 허용진동속도치 범위내에 들도록 폭원과 건물 또는 시설물과의 이격거리로부터 지발당 최대 장약량을 구하여 발파를 시행함.
진동측방진 (振動側防振, active isolation)
진동에 의한 탄성파를 진원위치 가까이에서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것.
진동콘크리트 (振動 - , vibrated concrete)
타설도중 또는 타설후에 진동을 주어 채운 콘크리트.
진동판다짐기 (振動板 - , vibrating plate compactor)
평판상에 기진기를 장치해서 진동하중에 의해 흙을 다지는 기계.
진동피이더 (振動 - , vibrating feeder)
피이더의 슈트에 전자식 진동을 주어 골재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출구간격 또는 진동수를 바꾸어 유출량을 가감하도록 된 피더.
진동하중 (振動荷重, excitation force)
진동현상으로 인해 가해지는 하중, 하중의 크기는 시간적으로 변하고 정 및 부의 방향으로 번갈아 작용함. 지진이나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인한 것과, 각종 기계나 교통기관과 같이 인공적인 원인으로 인한 경우가 있음.
진로레버식 (進路 - , route lever system)
각 진로마다 한개씩의 정자를 설치하고 이것을 취급하여 그 진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로정자식(進路挺子式)이라고도 함.
진로선별식 (進路選別式, route selection system)
진로의 입구에 설치한 진로정자와 도착점에 설치한 선별압구(push button)를 취급하여 하나의 진로를 선별설치하는 방법으로 많은 진로에 대하여도 정자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큰 역구내에 설치함.
진로표시방식 (進路標示方式, route signal system)
진로표시방식은 열차가 신호기의 방호구역내에 진입하는 것의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것으로 매 진로마다 신호기가 많아 불리함.
진북방위각 (眞北方位角, true bearing)
평면직교좌표계에서의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좌표 원점에서는 진북과 도북이 일치하므로 0이지만 동서로 변할수록 그 값이 커지게 됨. 원점이 서쪽에 있을때에는 +값, 동쪽에 있을때에는 -값을 갖음.
진분분기기 (振分分岐器, unsymmetrical split turnout)
직선궤도에서 좌 우 양측의 궤도를 부등각으로 나누어 벌어지게 한 분기기이며, 분개분기기(分開分岐器)라고도 함. 양개분기기의 비대칭형임.
진수 (進水, launching)
선박을 제작하여 처음으로 바다에 띄우는 것.
진앙 (震央, epicenter)
진원 바로 위의 지표의 지점을 진앙이라 함.
진애 (塵埃, dust)
토사(土砂) 또는 먼지가 바람에 날려 공중에 떠 있는 것. 위생학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공중에 부유해 있는 상태의 것으로서 분진(粉塵)이라고도 함.
진애감염 (塵埃感染, dust-borne infection)
병원미생물 중 건조에 강하고 공기 중에 부유해서 흡입되어져 폐에 들어가서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결핵균, 포도구균, 진균 등이 그 예임. 병원 등에서는 공기조화 설비를 통해서 병원균이 살포되어 유행을 일으키는 예가 있음.
진원 (震源, hypocenter)
지진파가 발생하는 곳을 말함.
진응력 (眞應力, true stress)
→ 참응력.
진입각 지시등 (進入角 指示燈, 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 system)
PAPI. VASIS. 착륙을 시도하는 항공기 조종사에게 착륙시 진입하는 진입각도의 적정 여부를 알려주기 위하여 접지대에 설치하는 등화. VASIS 보다 PAPI가 신형임.
진입구 (進入口, access shaft)
본 터널을 굴착하기 위해 지상에서 터널위치까지 수직으로 굴착한 작업구.
진입구역 (進入區域, approach area)
진입표면이 지표면 또는 수면에 수직으로 투영된 구역. 장애물 설치에 제한을 받음.
진입등 (進入燈, approach lighting system)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그 진입로를 알려 주기 위하여 진입구역(進入區域)에 설치하는 등화 (燈火).
진입로 (進入路, driveway)
주차장 또는 건물로 들어가기 위해 도로와 가로에서 분리된 연결로.
진입터널 (進入 - , access tunnel)
지하공동을 굴착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지하공동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입구부에 굴착한 작업터널을 말함.
진입표면 (進入表面, apporach surface)
비행장 장애 제한 표면의 일종. 활주로의 끝에서 60미터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바깥쪽 상향으로 경사진 사다리꼴 모양의 표면. 길이와 폭은 착륙대의 등급 규정에 따라 다름.
진콘법 ( - 法, zincon method)
진콘은 2-카르복시-2'-히드록시-5'-술폰포름아질벤젠(C20H16N4O6S)의 약칭으로서 아연 이온과 반응하여 생긴 청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연을 정량하는 방법. 공장배수 시험법에 아연의 분석법으로 규정되어 있음.
진폐 (塵肺, pneumoconiosis)
여러가지의 분진을 대량으로 흡입함으로써 폐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의 총칭. 규석폐, 석면폐, 활석폐, 규조토폐, 알루미늄폐, 알루미나폐, 베릴륨폐 등이 있음.
진폭 (振幅, amplitude)
진동현상에서 평형위치로부터 최대 또는 최소편위까지의 거리.
진폴데릭 ( - , gin pole derrick)
1본의 마스트의 선단에 하중을 매단데릭. 속칭 보스라고도함.
진행대 (進行帶, through band)
연속된 신호교차로에서 적색시간에 의한 정지 없이 진행할 수 있는 시간대. 시공도에서 연동 이동류를 한정하는 한 쌍의 평행 속도선 사이의 영역.
진행식 신호체계 (進行式 信號體系, progressive signal control system)
교차로 연동체계의 한 방법으로 신호등의 녹색시간 직후에 그 교차로를 연속진행방향으로 출발한 차량이 그 다음 교차로에 도착할 때에 맞추어 그 교차로의 신호가 녹색으로 바뀌어 차량의 정지 없이 계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체계.
진행신호 (進行信號, proceed / clear signal)
열차 또는 차량은 진행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는 그 현시지점을 넘어서 진행할 수 있음. 이것은 진행을 하라는 신호가 아니라 이 지점을 넘어 진행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시함.
진행정위식 (進行定位式, normal clean system)
평상시 신호기의 현시가 진행을 나타내는 방식을 말하며 주로 복선구간에서 사용하며, 단선구간은 정지정위식을 사용함.
진행파 (進行波, progressive wave)
유체에서 일정한 좌표체계에 연관되어 진행하는 파랑. 항만구조물 등 설계시 주로 이용되는 파랑으로 반사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파랑.
질량분석법 (質量分析法, mass spectrometry)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화합물의 확인․동정(同定)․구조결정․검출(檢出) 등을 하는 분석법.
질량 행렬 (質量行列, mass matrix)
구조계에 분포되어 있는 질량을 해석 모형에서 사용하는 자유도와 연관하여 이산화한 행렬.
질산화 (窒酸化, nitrification)
토양과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아미노산, 요소 등 질소 화합물의 산화분해에 의해 생긴 암모니아가 질화균의 작용으로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산화분해하는 것을 말함. → 질화.
질소 (窒素, nitrogen)
주기율표 제 5B족에 속하는 비금속원소의 하나. 공기 중에는 N2형태로 78 %의 체적을 차지하고, 생체내에서는 단백질의 중요한 성분 요소임. 무색, 무취의 기체로, 상온에서는 불활성이지만 고온이 되면 산소, 수소 등과 화합함.
질소비오디 (窒素 - , nitrogenous BOD)
질소계 산소요구량을 말하며, 유기물을 미생물이 산화분해할 때 소비하는 산소량 중에 암모니아 등의 질소화합물 산화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임.
질소산화물 (窒素酸化物, nitrogen oxides)
NO, NO2, N2O, N2O4, N2O5 등의 질소계 산화물을 총칭하는 말. 대기중 NO, NO2, N2O 이외의 물질은 그 농도가 극히 낮음.
질소순환 (窒素循環, nitrogen cycle)
자연계에서의 질소의 순환을 말함. 대기중의 분자상 질소, 질산염, 암모늄염으로부터 질소가 생체에 흡수․환원되어 생체 구성물질이 되고, 일부는 배설물이 되거나 또는 죽은 후에 다시 암모니아 등의 무기질소 화합물이 되어 무생물계로 순환하는 현상.
질소화합물 (窒素化合物, nitrogen oxide)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의 총칭. 형태별로 분류하면 유기성 질소와 무기성 질소로 대별됨. 전자에는 단백질, 요산, 아미노산 등이 있고, 후자에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 등이 있음.
질화 (窒化, nitriding)
철강의 표면적에 질소를 확산시켜서, 표면층을 경화하는 조작. 처리방법에는 암모니아 분해가스에 의한 질화, 청산염에 의한 액체질화가 있음.
짐크로 ( - , jim crow)
레일을 휘거나 휘어진 레일을 바로 잡는데 사용하는 레일 굴곡기(屈曲機)를 말함. 즉 레일 횡방향의 버릇 고치기 또는 분기기의 조립용 레일 만들기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사식과 유압식의 2종류가 있음.
집산로 (集散路, collector / distributer street)
이동성과 접근성이 혼재된 도로로서 간선도로와 국지도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함.
집성사진지도 (集成寫眞地圖, photo mosaic map)
사진을 모두 합하여 지도처럼 만든 사진으로 사진기의 경사에 의한 변위, 대상물의 비고에 의한 변위 등의 조정 여부에 따라 약조정집성사진과 조정집성사진으로 대별됨.
집수거 (集水渠, rain drain)
흡수거에 유입한 물을 모아서 이를 배수구로 끌어내는 역할을 하는 배수 구조물.
집수구역 (集水區域, catchment area, drainage area)
대수층의 취수구역 및 취수구역의 지표수를 이용하는 전 구역. 호수, 하천, 하수도 또는 배출구의 지류가 되는 구역을 뜻하기도 함.
집수매거 (集水埋渠, infiltration gallery)
→ 집수암거.
집수암거 (集水暗渠, filter / infiltration gallery)
복류수와 같은 얕은 대수층의 지하수의 취수시설로서 그것의 공법은 굴착 후 시공하고 되메우는 공법이므로 시공 깊이는 7~8m가 한계임. 집수시설은 유공 철근 콘크리트관을 소정의 깊이에 매설하고 관 주위에 굵은 자갈에서 가는 모래까지의 순서로 1.5~2.0m 두께의 여과층을 설치하여 복류수 유입을 쉽게 하고 가는 모래의 유입을 막음.
집중시간 (集中時間, time of concentration)
유역에서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유역출구까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 유달시간, 도달시간이라고도 함.
집중 질량 (集中質量, consistent mass)
분포하는 질량의 관성력을 적절한 유한한 갯수의 변위의 가속도에 대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분포된 질량을 적절히 각 자유도에 분배시켜 이산화한 질량.
집중 하중 (集中荷重, concentrated load)
한 점에 집중해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는 하중.
집진 (集塵, dust collection)
기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액체와 고체의 미립자를 기체에서 분리해 포집하는 조작. 위생상 문제가 되는 집진 입자의 크기는 10 μ 이하, 특히 1 μ 전후로, 집진대상이 되는 함진 농도는 0.1~100 g/Nm3임.
집진기 (集塵機, dust collector)
→ 집진장치.
집진장치 (集塵裝置, dust collector)
공장배기로부터 부유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입자에 작용하는 분리력 또는 분리기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됨. ① 중력집진, 최소포집입경 50 μ. → 집진실. ② 관성집진, 최소포집입경 10 μ. → 사이크론. ③ 원심집진, 최소포집입경 5 μ. ④ 세정집진, 최소포집입경 1 μ 이하. → 스크러비. ⑤ 노과집진, 최소포집입경 1 μ 이하. → 백필터. ⑥ 전기집진, 최소포집입자경 1 μ 이하. → 콜트렐 집진장치 등.
집 크레인 ( - , jib crane)
선회할수 있는 붐 선단에 하중을 거는 형식의 크레인의 총칭. 밑 부분에서 경사져 돌출한 선회가능한 붐을 집이라고 하고, 그 선단에 감아올리는 로프에 매달린 활차가 붙어 있음. 자주식과 고정식이 있음. 주행하는 문형크레인의 위에 선회하는 집을 붙인 크레인을 특히 집 크레인이라 함.
집합부재 강성도 행렬 (集合部材 剛性度 行列, assembled member stiffness matrix)
구조물의 모든 부재의 재단력을 재단 변위에 대하여 표시하는 행렬.
집합부재 유연도 행렬 (集合部材柔軟度行列, assembled member flexibility matrix)
구조물의 모든 부재의 변형도를 부재력에 대하여 표시하는 행렬.
짧은 노즈레일 (“短鼻端 軌條”, short nose rail)
조립크로싱의 노스레일중에서 긴 노스레일에 접합되어 분기되어 나가는 짧은 것을 말함.
'토목자료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 사전 (ㅊ) (0) | 2010.01.03 |
---|---|
건설계약용어 (영어) (0) | 2010.01.03 |
토목 사전 (ㅇ) (0) | 2009.12.30 |
가외철근(加外鐵筋, additional bar) (0) | 2009.12.30 |
토목 사전 (ㅅ) (2) | 200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