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보 ( - , built up beam)
두 목재 또는 강재를 아래 위로 포개 대어 하나의 강력한 부재로 구성한 보.
겹부판 ( - , double planking)
목조의 교상(橋床)으로서 주형(主桁) 또는 세로 보 위에 두겹으로 까는 판.
겹이음 (??重接合??, lab joint)
철근이나 강판을 서로 겹치어 잇는 이음.
겹이음길이 ( - , lap splice length)
두 부재의 끝을 겹친 이음부의 길이.
겹첩공정 (??重疊工程??, overlapping process)
서로 다른 작업이 겹치거나 겹쳐지는 공정.
겹침의 원리 ( - 原理, principle of superposition)
→ 중첩의 원리.
겹침저항용접 ( - 抵抗鎔接, lap resistance welding)
스폿용접. 프로젝션용접. 시임용접 등과 같이, 겹침이음의 양측에서 가압하여 하는 저항용접.
경간 (徑間, span)
① 교대 또는 교각 전면간의 거리.
② 터널의 강지보공 간격이나 록 볼트 종간격 또는 일회 굴진장.
경거 (經距, departure)
임의 측선을 동서선상 위에 정사투영한 것으로 측선길이에 방위나 방위각의 sin값을 곱한 것임. 측점에서 동쪽으로 향하면 (+), 서쪽으로 향할 때는 (-)로 함.
경계 레이놀즈수 (境界 - 數, boundary Reynolds number)
흐름상태가 달라지는 레이놀즈수. 난류의 하한계에 해당하는 상한계 레이놀즈수와 층류의 상한계에 해당하는 하한계 레이놀즈수가 있음.
경계면 모형 (境界面模型, boundary surface model)
주기 하중시 재료의 탄소성 거동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모형. 응력점들간의 거리에 대한 간단한 보간법을 사용하여 경계면 내에서의 경화 거동을 묘사한 모형.
경계면 장력 (境界面 張力, interfacial tension)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작용하여 모세관현상을 가져오는 단위면적당 표면에너지. 표면장력이라고도 함.
경계샘 (境界 - , border spring)
융기된 바닥 암반과 침강된 암반사이의 단층으로 인해 두꺼운 대수층으로부터 흐름을 막는 상부 불투수층
경계면을 뚫고 형성된 샘.
경계 설비 (境界設備, equipment of boundary)
선로 내에 일반인, 가축이 들어오는 것은 위험하고 열차운전상 지장을 주므로 운전보안을 위해 선로 연변에
적당한 경계설비를 함. 경계설비는 담장(울타리)을 설치하는 것으로 목조, 철제, 철근 콘크리트, 벽돌, 블럭, 생울타리 등이 있음.
경계수위 (警戒水位, warning water level)
홍수 피해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경보가 발생되는 홍수 수위 또는 이에 근접한 수위.
경계신호 (警戒信號, restricted speed signal)
열차운전시 다음 상치 신호기에 정지 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 경계 신호기에 현시가 있게 되는 데 경계 신호가 현시되면 정지 신호의 현시가 있는 지점까지 시속 25 km 이하의 속도로 운전할 수 있음. 다음에 상치신호기의 설치가 없을 때는 열차의 정차할 위치까지 진행할 수 있음.
경계조건 (境界條件, boundary condition)
물리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방정식의 일반해석이 어떤 특수한 상태를 만족시켜 주는 일련의 조건. 일반적으로 방정식의 특수해를 구하기 위하여 경계조건이 주어짐.
경계층 (境界層, boundary layer)
유체의 흐름은 물체 표면에 가까운 곳에서는 속도경사가 크고 점성은 무시할 수 없음. 이와 같은 유체의 점성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표면 근처의 층을 말하며, 흐름의 상태에 따라 층류 경계층, 난류 경계층으로 구분.
경고표지 (警告標識, warning sign)
표지물의 형, 색, 색광, 등에 의하여 물체의 위치, 형태 등을 표시하는 부표의 총칭.
경관측량 (景觀測量, viewscape surveying)
경관의 해석에는 시각적 측면과 시각현상에 잠재되어 있는 의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서 시각특성, 경관주체와 대상, 경관유형, 경관평가지표 및 경관표현방법 등을 통하여 경관의 정량화를 이루어 쾌적하고 미려한 생활공간 창출에 이바지하는 측량.
경도 (硬度, hardness)
①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금속재료에서는 측정방법에 따라 브리넬 경도, 록웰경도, 쇼어경도 등이 사용되며, 암석에서는 긁기경도, 압축경도, 반발경도 (충격경도) 등이 사용 됨.
② 물의 세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Ca2+, Mg2+, Fe2+, Sr2+ 등에 의하여 생길 수 있으나, 주로 Ca2+ 와 Mg2+ 에 기인함. 물 100 cc 중에 산화 칼슘 1 mg 또는 산화 마그네슘 1.4 mg을 함유할 때 경도 1도라고 하며 20도 이상인 경우 경수, 10도 이하인 경우 연수라고 함.
경도 (經度, longitude)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떤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까지의 각거리.
경도시험 (硬度試驗, hardness test)
암석의 단단한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마모경도 시험, 반발경도 시험, 압입경도 시험, 긁기경도 시험 등이 있음.
경도식토운선 (傾倒式土運船, tumbling type hopper barge)
적재된 토사를 버릴 때, 토운선을 옆으로 전도시켜서 토사를 버리는 방식의 토운선.
경도풍 (傾度風, gradient wind).
등압선이 곡선인 경우는 기압경도력과 편향력과 원심력이 작용하는데, 이들 3개 힘의 평형에 의해서 불어온다고 생각되는 바람.
경두레일 (硬頭 - , head hardened rail)
레일의 두부(두부)를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혀 차륜으로 인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레일.
경량객차 (輕量客車, light weight passenger car)
열차운용 효율을 늘이고자 객차의 중량을 가볍게 만들어 1개 열차에 많은 량수를 견인할 수 있도록 만든 객차.
경량골재 (輕量骨材, light weight aggregate)
팽창성 혈암, 팽창성점토 플라이애쉬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소성하여 만든 구조용 인공경량골재로서 잔골재는 절대건조비중이 1.8미만, 굵은 골재는 절대건조비중이 1.5미만인 것.
경량골재비중 (輕量骨材比重, specific gravity of light weight aggregate)
표면건조상태에 있는 경량골재의 비중.
경량골재의 표면건조상태 (輕量骨材 - 表面乾燥狀態, surface dry condition of light weight aggregate)
습윤상태의 경량골재에 있어서 표면수가 없는 상태.
경량골재콘크리트 (輕量骨材 - , light weight aggregate concrete)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
경량벽돌 (輕量 - , light weight brick)
경량, 방음, 방열 등을 목적으로 만든 벽돌, 칸막이, 벽면의 내부쌓기, 철골재의 피복 등에 사용됨. 다공질 벽돌, 속빈 벽돌 등 종류가 많음.
경량철골공사 (輕量鐵骨工事, light gauge steel construction)
비교적 살이 얇은 형강을 써서 꾸민 건출물의 구조공사.
경량콘크리트 (輕量 - , light weight concrete)
보통의 콘크리트보다 단위중량이 작은 콘크리트.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경량골재콘크리트 또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만든 기포콘크리트를 말함.
경로 의존성 (經路 依存性, path dependent)
소성재료의 경우 응력경로에 따라서 응력-변형률 등의 거동이 달라지는 성질.
경목재 (硬木材, hardwood)
목재의 재질이 경질인 것이며 대부분의 활엽수가 이에 속함.
경반 (硬盤, hard pan)
지표면에 가까운 지층 내에 있는 조밀하고 단단한 층으로서 식물의 뿌리와 물의 관입을 막음.
경보선행시간 (警報先行時間, warning lead time)
경보가 발령되는 시점과 경보의 대상 시점 사이의 시간. 경보는 다가올 장래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야 하므로 시점의 차이가 생김.
경사 (傾斜, slope gradient, dip)
① 경사면의 기울기. 보통 수직 길이에 대한 수평길이의 비, % 또는 각도로 표시함.
② 층리면, 단층면, 절리면과 같은 지질구조면의 기울기 각으로 수평면으로부터 구조의 주향과 수직을 이루는 각.
경사계 (傾斜計, inclinometer, tiltmeter)
지반과 구조물의 경사를 측정하는 계기. 기포관(氣泡管)식과 진자(振子)식으로 크게 나뉘어짐.
경사도관 (傾斜導管, inclined conduit)
저수지로부터 물을 빼기 위하여 저수지에 설치하는 취수공의 일종.
경사류 (傾斜流, gradient / slope current)
수면경사에 의한 압력 분포의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흐름. 에그만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심해에서는 경사 방향과 직각으로, 천해에서는 경사 방향에 평행된 흐름이 형성됨.
경사마루댐 (傾斜 - , dam of inclined crest)
댐의 물넘이마루가 상류 또는 하류로 경사진 댐.
경사말뚝 (傾斜 - , batter / inclined pile)
경사를 가지고 설치된 말뚝. 수평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기초에 이용되어지고, 통상 연직말뚝과 경사말뚝
을 머리부분에서 결합시켜서 복합말뚝으로 이용함. 파력(波力)을 받는 해양구조물, 호안구조물과 성토에 인접한 교대 등 항상 수평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기초나 수평 지진력(地震力)에 저항하기 위한 기초로서 이용됨.
경사-면적법 (傾斜-面積法, slope-area method)
개수로의 수리학적 공식을 적용하여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Manning 공식임.
경사방향이동단층 (傾斜方向移動斷層, dip slip fault)
단층면의 경사(dip)와 평행하게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단층. 주향(strike) 방향으로 미끄러짐이 일어나는 단층도 있음.
경사방향주입 (傾斜方向注入, advancing slope grouting)
적당한 그라우트주입장치를 사용해서 주입된 그라우트의 전면이 미리 채워진 골재의 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그라우트의 방법.
경사방향타설방법 (傾斜方向打設方法, advancing slope method)
터널의 라이닝에 있어서의 콘크리트의 타설방법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연직방향이 아니고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타설하는 타설방법.
경사보링 (傾斜 - , inclined drilling)
연직 보링(boring)과 수평 보링의 중간 정도. 단층 조사나 경사지반의 조사, 어스앵커(earth anchor) 타설시 조사, 구조물 하부에 그라우팅 등 연직방향으로의 보링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함.
경사사진 (傾斜寫眞, oblique photography)
항공사진에서 사진기의 각도가 연직하방으로부터 3°이상 경사지게 촬영된 사진을 말하며, 사진에 지평선이 나타나는 고각도경사사진과 지평선이 나타나지 않는 저각도 경사사진이 있음.
경사수위계 (傾斜水位計, inclined gauge)
수위의 연직 성분을 나타내도록 눈금이 새겨진 경사지게 설치된 수위계.
경사스터럽 (傾斜 - , inclined stirrup)
철근콘크리트 주위에 감은 철근으로서 보가 받는 전단력을 보강하도록 주철근에 대하여 45˚이상의 경사로
배치한 철근.
경사식믹서 (傾斜式 - , tilting mixer)
→ 경사식 혼합기.
경사식혼합기 (傾斜式混合機, tilting mixer)
동체를 기울이면서 혼합된 콘크리트를 배출하는 믹서. 소요되는 재료를 드럼에 넣고 일정한 시간동안 자기 동체를 회전하면서 비빔하여 배출하는 믹서.
경사아치 (傾斜 - , skew arch)
아치축이 구조체의 주축선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형상의 아치.
경사암 (硬砂岩, greywacke)
점토질 이암의 성분을 기초(15 %이상)로 한 암석조각, 조립 모래가 많은 사암. 석영, 장석 등이 형성된 고결물질이 작은 사암. 대개는 회색 혹은 암회색(暗灰色)있음.
경사 에이프런 (傾斜 - , inclined apron)
하류 수심이 수평감세수로의 도수후의 수심 보다 클 때 효율적인 도수가 발생하도록 여수로 하단부에 설치하는 경사 수로.
경사줄눈 (傾斜 - , skew joint)
경사진 구조물의 이음부,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 팽창?수축 등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시공상의 형편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경사진이음.
경사철근 (傾斜鐵筋, diagonal bar)
벽, 바닥 슬래브, 기초 슬래브 등에 경사지게 배치된 철근.
경사타이플레이트 (傾斜 - , canted tie plate)
레일을 궤간 안쪽으로 경사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타이플레이트로 레일의 마모를 적게 하고 차량의 동요를 적게할 목적으로 사용함.
경사판 침전지 (傾斜板 沈澱池, inclined plate settler)
침전지의 침전부에 경사판 또는 관 등을 설치하여 고형물의 침전거리를 짧게하고 침전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침전효율을 증가시킨 방식. 이론적으로 입경이나 비중이 큰 부유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졌으나 미생물의 성장 또는 기름의 축적에 의한 막힘 현상과 냄새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됨.
경사확대기초 (傾斜擴大基礎, sloped footing)
정면 또는 측면이 경사져 있는 확대 기초.
경석 (輕石, pumice)
다공질로써 스폰지상태의 구조를 갖는 담색 내지 백색의 화산회 화산자갈 및 화산암괴.
경석고 (硬石膏, anhydrite)
결정수(結晶水)가 없는 황산칼슘. 석고 보다 훨씬 단단하고 빛은 무색, 백색, 회색 등이며 물을 흡수하여 석고가 됨. 석회암, 혈암 중에서 천연 석고와 함께 산출됨.
경성세제 (硬性洗制, hard detergent)
→ 에이비에스세제.
경수 (硬水, hard water)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을 다량 함유한 물로서 경도 20도 이상인 물. 칼슘 및 마그네슘은 주로 탄산수소와 황산과 염을 형성하는 데 탄산수소염은 끓여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일시경수라 하고, 황산염은 제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영구경수라고 함.
경수연화 (硬水軟化, water softening)
→ 경수.
경심 (傾心, metacenter)
안정상태일때의 부체의 무게중심과 부심을 연결한 선과 부체가 기울었을 때 이동된 부심을 지나는 연직선과 만나는 점.
경심고 (傾心高, metacentric height)
경심과 무게중심 사이의 거리. 부체안정성의 척도가 됨. 아래 왼쪽 그림은 중력과 부력의 평형상태에서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부체임. 이 부체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기울어져서 부심이 B에서 B'로 이동하였을 때 부심을 지나는 연직선과 선CB가 만나는 점이 경심M이며, 선분 GM이 경심고임.
그림
경암 (硬岩, hard rock)
암석을 강도에 따라 극경암, 경암, 보통암, 연암 등으로 상대적으로 구분할 때 두번째로 강한 암석을 말하며, 이러한 분류는 주로 굴착과 토공의 난이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탄성파 속도측정에 근거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정성적인 함마 타격시의 소리나 깨어지는 상태 등 경험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임.
경위도원점 (經緯度原點, horizontal gesdefic datum)
지구상 제점의 수평위치는 경도와 위도로 표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이 경위도의 어떤 지역에서의 기준을 경위도원점이라고 함. 한국 최초의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 ”이 1985년 12월 27일 발표되었으며, 수원 국립지리원 내에 위치하고 있음. 그 성과는 다음과 같음.
경도 : 127°03′05″.1452
위도 : 37°16′31″.9031
원방위각 : 170°58′18″.190
원방위각은 경기도 화성군의 동학산에 있는 2등 삼각점에 이르는 방위각임.
경쟁입찰 (競爭入札, competitive bid)
→ 공개입찰.
경제적 내용수명 (經濟的 內容壽命, economic life span)
경제성을 고려한 내구재의 사용할 수 있는 기간. 구조적, 물리적 또는 사회적인 여러 요인에 따라 정함.
경제적 채수량 (經濟的 採水量, economic yield)
예측 가능한 장래에 경제적인 취수가 불가능할 정도로 지속적인 수위 저하, 공급 고갈 또는 물의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고 대수층으로부터 인공적인 취수가 가능한 최대 채수율.
경중률 (輕重率, weight)
미지량의 관측에서 그 정밀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계수를 곱하여 개개의 관측값 간에 평형을 잡은 다음에 그 최확값을 구해야 함. 이때에 이 계수를 경중률이라 하는데, 관측값 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관측회수에 비례하고 관측거리에 반비례하며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의 제곱에 반비례함.
경질염화비닐관 (硬質鹽化 - 管, unplasticied polyvinyl chloride pipe)
염화비닐로 만들어진 관으로 가공성이 좋고 내약품성이 뛰어나 급수, 배수, 배기, 약품수송 등에 널리 사용되나 충격과 고온 및 저온에 약함.
경트럭 (輕 - , light truck)
적재능력이 6 ton이하인 트럭의 총칭.
경풍화 암 (輕風化 岩, slightly weathered rock)
경암의 표면이 풍화변질작용을 받아 약간의 균열과 토사화 현상을 보이는 비교적 단단한 암석이나 암반.
경피독성 (經皮毒性, trans-dermal toxicity)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어 전신반응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의 독성. 일반적으로 지용성 물질이 경피적으로 흡수되기 쉬움.
경하중 포장 (輕荷重 鋪裝, light load pavement)
군용 비행장의 포장 중 주로 가벼운 전투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포장.
경하중 항공기 (輕荷重 航空機, light load aircraft)
군용 비행장에서 포장을 설계하거나 평가할 때 사용하는 항공기 바퀴하중 구분 중 가장 가벼운 무게 집단에 속하는 항공기. 항공기 분류지수(aircraft group index)의 1~3에 해당되는 항공기로 주로 훈련기, 전투기 및 전폭기가 해당됨.
경합탈선 (競合脫線, derailment due to complex of causes often interminate)
철도차량의 탈선사고 원인으로서는 운전속도, 재하의 상태, 차량 및 선로의 정비상태 등의 각 인자가 있음. 이들 인자의 개개에 관하여 안전확보를 위한 제한이나 보수기준치가 정해져 있어, 단독으로는 각 인자가 충분한 안전한계에 있더라도 몇 인자가 경합하여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탈선을 말함.
경 항공기 터미널 (輕 航空機 - , general aviation terminal)
자가용 항공기가 이용자 및 하물을 싣고 내리는데 사용되는 터미널.
경험적 홍수량 공식 (經驗的 洪水量 公式, empirical flood formula)
첨두유량을 강우강도 유역 면적 등 수문 인자들의 함수로 표현하는 공식.
경화 (硬化, hardening)
①금속재료가 가공 또는 열처리에 의해서 단단해 지는 것. 또는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작을말함. 가공경화(work hardening) 소입경화(quench hardening) 및 시효경화(age hardening) 등으로 분류됨.
②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 등이 굳은 다음 시일의 경과에 따라 강도가 증가되는 현상.
③ 재료내에 발생한 소성변형에 의하여 재료의 소성 상태를 나타내는 항복 함수가 확장하는 현상. 등방성경화(isotropic hardening), 일경화(work hardening), 이동성경화(kinematic hardening) 등이 있음.
경화전처리 (硬化前處理, treatment before hardening of concrete)
수평시공이음에서의 구 콘크리트면의 처리방법. 구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고압의 공기 또는 물로 콘크리트표면의 얇은 층을 제거하여 조골재를 노출시키는 것이 보통임. 경화전처리는 처리시기의 판단이 곤란한 점, 재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 것 등 때문에 중요한 공사에서는 경화후 처리를 하는 수가 많음.
경화촉진제 (硬化促進劑, accelerator)
시멘트의 응결을 촉진시켜 콘크리트의 조기강도를 증대시키는 혼화제의 일종. 보통 염화칼슘이나 규산나트륨이 사용됨.
경화함수 (硬化函數, hardening function)
소성 상태에서 항복면이 이동하거나 확대되는 규칙을 나타내는 함수.
경화후처리 (硬化後處理, treatment after hardening of concrete)
수평시공이음에서의 구콘크리트면의 처리방법. 구콘크리트가 굳은 뒤 경화의 정도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에 고압의 공기 및 물을 뿜어 붙여서 씻어 내는 방법. 살수하면서 와이어부러쉬로 거칠게 하는 방법, 습사뿜어붙이기를 한 뒤 물로씻는 방법 등으로 처리하는 것.
계곡 (溪谷, canyon)
높고 가파른 경사를 갖으며, 때로는 바닥을 따라 흐름이 형성되는 깊은 골짜기.
계곡선 (計曲線, index contour line)
지형도에서 표고의 읽음을 쉽게 하고 지모의 상태를 명시하기 위해서 등고선 중 주곡선을 5개마다 굵은 실선(2호실선)으로 표시하며, 이것을 계곡선이라고 함.
계기기준면 (計器基準面, gage datum)
수위측정계기의 측정치가 0인 점이 나타내는 높이. 평균해수면 등 특정기준면으로부터의 연직거리로 표현함.
계기비행기상상태 (計器飛行氣象狀態,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기상조건이 나빠 시계 비행 규칙(VFR)으로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이 곤란한 경우 조종사가 항공기의 계기 등에 의존하여 계기 비행 규칙(IFR)으로 비행하는 상태. 약어 : IMC.
계기 비행방식 (計器 飛行方式, instrument flight rules)
조종사가 비행하는 동안 언제나 비행경로, 비행고도, 비행방법 등에 관하여 항공교통관제기관의 지시와 항공기 내에 장착된 각종 정밀 장치 및 계기만을 보고 비행하는 방식. 시계비행방식 (VFR)에 상대되는 개념. 약어 : IFR.
계기압력 (計器壓力, gage pressure)
일반적으로 압력은 편의상 절대영압(absolute zero pressure)이 아닌 대기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측정되며, 이와 같이 국지적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상대 압력을 계기압력이라 함. 진공상태의 절대영압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절대압력과 대비됨.
계기영점 (計器零點, gage zero)
수위측정치가 0으로 설정되는 표고. 일반적으로 영점표고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
계기 접근 활주로 (計器 接近 滑走路, instrument approach runway)
항공기의 직선 진입에 적합하고 최소한의 방향지시를 해주는 항행 원조 시설(항공 보안 시설)이 있는 계기 활주로의 일종.
계기 착륙시설 (計器 着陸施設, instrument landing system)
비행장에 착륙하는 항공기에 대해 전파를 사용하여 진입 방향과 강하경로를 지시해 주는 항공 보안무선시설의 일종으로 진입방향을 지시하는 로칼라이저 안테나(localizer antenna), 강하경로를 지시하는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및 진입 코오스상의 특정 지점의 상공 통화를 지시하는 마커(marker) 및 로칼라이저 코오스에 진입하는데 이용되는 검패스 로케이터(compass locator)로 구성됨. 약어 : ILS.
계기 활주로 (計器 滑走路, instrument runway)
계기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항공기의 운항에 적합하도록 시각 또는 비시각 항행보조시설을 갖춘 활주로. 계기접근활주로, category I 정밀접근활주로, category Ⅱ 정밀접근활주로, category Ⅲ 정밀접근활주로로 세분됨.
계단수로 (階段水路, cascade)
작은 폭포 또는 일련의 작은 폭포들로 이루어진 수로.
계단식굴착 (階段式掘鑿, bench cut)
사면에 시공한 계단 모양의 절토, 혹은 이와 같은 절토를 행한 것. 성토나 산지개발을 목적으로 함.
계단식 스토커 (階段式 - , echelon stoker)
스토커의 일종으로 계단형의 화격자 위쪽에 설치된 투입구에서부터 연료가 아래로 미끄러 떨어지며 연소하여 소각재는 하단에서 제거하는 방식.
계단식폭기활성슬러지법 (階段式曝氣活性 - 法, step-ae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활성슬러지공법의 변형으로 폐수를 전부 폭기조 선단에 주입하는 대신 폭기조 길이 전반에 걸쳐 골고루 주입시킴으로써 산소요구량을 균등하게 만든 공정.
계단식확대기초 (階段式擴大基礎, stepped footing)
구조물의 기초로서 지반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기초의 바닥면적을 계단형으로 넓힌 기초.
계단형 홈 (階段形 - , stepped platform)
화물 적하장의 형상이 계단형으로 된 홈을 말하며 적하완료시 입환하기에 편리하나, 매 계단으로 인하여 화
물적치 장소의 폭원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음.
계량 (計量, batching)
1배치분의 콘크리트 모르터의 재료를 중량 또는 용적으로 계산해서 믹서에 투입하는 것.
계량발취검사 (計量拔取檢査, sampling inspection by variables)
강도, 두께 등과 같이 완성된 구조물을 일부 파손시켜야만 검사가 가능한 경우 사용하여 무작위로 발취해서 검사하는 방법.
계량상자 (計量箱子, batch box)
배치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의 배합계량에 사용하는 일정한 용적의 용기.
계류 (繫留, mooring)
선박 등이 표류하지 않도록 붙잡아 매어 놓는 것.
계류 선박 (繫留 船舶, mooring ship / vessel)
부두나 바닷가에 매어 놓은 배.
계류장 (繫留場, apron)
공항 시설중 항공기의 주기(駐機),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재 및 하기, 급유 정비 등을 행하기 위해 포장한 일정 구역. 군공항에서는 통상 주기장 이라고 함.
계면활성제 (界面活性劑, surface-active agent, surfactant)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고형물과 액체와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표면활성제라고도 함. 대부분의 세제가 계면활성제이며 주로 분자량이 큰 극성물질로 분자의 한쪽 끝은 물에 잘 녹는 카르복시기, 황산기, 히드록시기 및 술폰산기로 구성되며 다른 쪽은 기름에 잘 녹음.
계선 돌핀 (繫船 - , mooring dolphin)
해안에서 떨어진 해상에 선박을 계류하기 위해 파일(pile) 등으로 만든 계류시설.
계선법 (繫線法, tie-line method)
거리관측의 한 방법으로서, 지역내에 여러가지 장애물이 있어서 대각선을 실측할 수 없는 경우와 또는 시준은 되지만 거리관측이 되지 않는 경우에 계선에 의해 대각선을 계산하는 방법.
계선 부표 (繫船 浮漂, mooring buoy)
선박을 계류하기 위해 주로 박지(泊地) 내에 설치되며, 해저의 앵커 또는 추에 부표를 매달아 놓은 것.
계선삭 (繫船索, mooring rope)
선박을 계류하기 위해 선박에 설치한 로프.
계선쇄 (繫船鎖, mooring chain)
쇠사슬로 만들어진 닻줄.
계선안 (繫船岸, mooring / wall wharf, quay)
계선시설중 안벽, 잔교, 돌핀, 부잔교, 물양장 등 직접 선박이 접안하는 구조물의 총칭.
계선주 (繫船柱, mooring bit / bollard)
배를 매어두기 위해 부두나 잔교 등에 설치한 직주(直柱)나 곡주(曲柱).
계수 하중 (係數 荷重, factored load)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계약 (契約, agreement, contract)
지켜야 할 의무에 관한 약속 또는 약정으로 일정한 법률적 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둘 이상의 의사 표시의 합치로 이뤄지는 법률행위로서 매매?증여?교환?대차?도급?위임?고용 등 으로 agreement가 contract보다 넓은 개념이나 동의어로 생각해도 좋음.
계약서류 (契約書類, contract document)
도급공사에 있어서 공사발주자와 도급인과의 사이에 공사집행에 관하여 서로 주고 받은 약정서류로서 공사도급 계약서, 계약조건, 시방서(현장설명서 및 현장설명서에 대한 질의 답변서를 포함 ) 그리고 설계서 및 설계도서와 기타 이것을 보충하는 서류를 말함.
계약조건 (契約條件, conditions of contract)
계약서상에서 이행하기로 약속한 조항이나 의무.
계열상관도 (系列相關圖, correlogram)
수문학적 지속성을 나타내는 그림. 계열상관계수의 차수와 상관계수의 관계를 보여줌.
그림
계장 (計裝, instrumentation)
기계장비의 약칭. 일반적으로 측정장치 및 제어장치 등을 장비하는 것을 말하나, 감시와 제어를 취급하는 기술 및 설비를 말하는 경우도 있음.
계절별 변동 (季節別 變動, seasonal variation)
교통량의 계절별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월별 평균 일 교통량(ADT)으로 비교함.
계중대 (計重臺, track scale)
화물의 중량을 화차에 적재한 채로 무게를 달고 화차의 자체무게를 차인하여 화물의 적재량을 산출하는 기계로 보통 정지 상태에서 계중하나 열차운행중에 서행하여 계량하는 전자식도 있음.
계측 (計測, monitoring)
① 계기에 의하여 관측함.
② 굴착에 따른 지반의 변위나 지보공의 응력, 지하수위 등의 변화 정도 등 제반 거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적당한 계기를 설치하여 정량적으로 지반거동을 관측하는 것.
계측단면 (計測斷面, gaging section)
① 수심과 유속을 측정하는 개수로의 횡단면.
② 지반이나 구조물에 계측이 이루어지는 위치.
계통도 (系統圖, flow chart)
설비내의 재료의 흐름을 계획한 도표. 특히 골재제조설비의 계획에 필요함.
계통오차 (系統誤差, systematic error)
편이되어 발생하는 오차. 즉 오차의 평균은 영이 아닌 값을 갖는 분포를 나타냄.
계획교통량 (計劃交通量, designed daily volume)
도로설계의 기초가 되는 자동차의 일 교통량으로 해당도로가 갖는 지역발전의 동향. 장래의 자동차 교통상황 등을 감안하여 도로의 일정구간에서 정해짐.
계획 대차대조표 방식 (計劃 貸借對照表 方式, planning balance sheet method)
편익/비용 분석법을 수정한 것으로서 계획안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모든 집단의 관점에서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
계획수준 (計劃水準, level of service)
교통류의 운행상태를 운전자나 승객이 느끼는 정성적인 평가기준으로 주로 교통량에 따라 좌우됨. 즉 교통흐름의 질적인 수준을 의미.
계획시간최대오수량 (計劃時間最大汚水量, design hourly maximum sewage flow)
하수도계획시 계획목표년도에 있어서 1시간당 최대가 되는 계획오수량으로 지하수량 및 공장폐수량을 포함함.
계획안 (計劃案, plan)
어떠한 당면과제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효율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 과정을 계획 활동(planning activity)이라 하며, 여기서 채택된 대안을 계획안(plan)이라 함.
계획오수량 (計劃汚水量, design sewage flow)
하수처리계획에 있어서 관로, 펌프장, 처리장 등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오수량.
계획우수량 (計劃雨水量, design stromwater flow)
하수배제계획에 있어서 관로, 펌프장, 처리장 등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우수유출량. 산정공식으로는 합리식 또는 실험식을 사용함.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 (計劃一人一日最大給水量, design daily maximum consumption per capita)
계획1일최대급수량을 1인당으로 나타낸 것으로 하수도계획에서 오수량의 기본인 생활오수량은 해당지역 상수도의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을 고려하여 산정함.
계획일최대오수량 (計劃日最大汚水量, design daily maximum sewage flow per capita)
년중 가장 유량이 많은 날의 오수량.
계획일평균급수량 (計劃日平均給水量, design mean water consumption)
연간을 통해 송수되는 유량을 365일로 나눈 값.
계획일평균오수량 (計劃日平均汚水量, design mean sewage flow)
연간을 통해 발생하는 오수량을 365일로 나눈 값.
고가교 (高架橋, overpass, viaduct)
교차로 등에서 평면교차를 피하기 위하여 교차하는 도로면보다 높이 설치한 구조물.
고가수조 (高架水槽, elevated tank)
배수량이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높은 지지대위에 설치한 물저류 탱크.
고가철도 (高架鐵道, elevated / aerial / overhead railway)
고가식으로 부설된 철도로 구조에 의하여 분류하면 축제식(築堤式), 구조물식(構造物式), 현수식(懸垂式)이 있음.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의 일환으로서 특히 도시에서는 도로 또는 시가지 이용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하여 고가철도를 건설하는 경우가 많음.
고강도콘크리트 (高强度 - , high-strength concrete)
재령 28일의 압축강도가 560kg/cm2(55MPa)를 넘는 콘크리트.
고결작용 (固結作用, cementation)
간극 가운데 녹아 존재하고 있는 물질과 현탁(縣濁)물질이 토립자 사이의 작은 간극과 접촉면 사이에 오랜 세월에 걸쳐 부착되어 토립자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작용.
고고조 (高高潮, higher high water)
1일 2회 조석에서 일조부등(日潮不等)시 진폭이 서로 다른 고조가 반복 발생할 때 진폭이 큰 쪽의 고조를 가리킴.
고글 ( - , safety goggle)
아크, 가스불꽃 염으로 절단이나 용접을 할 때, 적외선 자외선을 흡수함과 동시에 분진 등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는 안경의 일종. 1안형과 2안형이 있음. 보안경이라고도 함.
고농도 아스팔트유제 (高濃度 - 乳劑, asphalt emulsion of high asphalt content)
아스팔트 함유량이 80 % 이상되는 유제로 점성이 매우 큰 특징이 있음.
고도 (高度, altitude)
① 수평면으로부터 어떤 점까지의 연직각거리. → 고저각.
② 평균해수면으로 부터의 어느 지점까지의 높이. → 표고.
고도처리 (高度處理, advanced treatment)
재래식 폐수처리시 제거되지 않는 영양염류와 난분해성 유기물을 제거하는 공정 또는 용수처리시 염분, 경도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공정. 폐수처리시 질소는 암모니아의 탈기 또는 질산화 및 탈질공정으로, 인은 침전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함. 난분해성 유기물은 활성탄, 막여과 등의 공법을 사용함. 용수처리시에는 전기투석, 역삼투법, 이온교환 등의 공정을 사용함.
고동펌프 (鼓動 - , pulsometer pump)
밀폐한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보내어 증기의 응축에 의하여 생긴 진공을 이용하여 물을 빨아올린 뒤 재차 용기 내에 증기를 보내 그 압력에 의하여 물을 배출하는 방식의 펌프.
고랑관개 ( - 灌漑, furrow irrigation)
밭 관개의 한 방법. 여러 줄의 이랑을 나란히 만들고 이랑 사이에 관개용수를 흐르게 하여 이랑의 옆쪽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
고력볼트 (高力 - , high strength bolt)
→ 고장력볼트.
고로 (高爐, blast furnace)
철광석을 용해해서 선철을 제조하는 노, 철광석을 코크스 석회석 등과 함께 고로에 넣어 하부로부터 열풍을 보내어 연소시켜, 약 1500 ℃로 가열하면 광석은 용해되어 노의 하부에 고임. 이것을 꺼내어 주괴로 한 것이 선철임. 용광로라고도 함.
고로광재 (高爐鑛滓, blast furnace slag)
용광로에서 선철을 만들 때 생기는 비금속성 생성물을 말하며 고로슬래그라고도 함. 공기중에서 서서히 냉각시켜서 인공골재로 쓰기도 하고 수중에서 급냉시켜 고로시멘트의 원료로 쓰기도 함.
고로벽돌 (高爐 - , slag brick)
용광로에서 배출되는 광재를 원료로 하고 이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흑회색의 경량벽돌의 일종.
고로슬래그 (高爐 -, blast furnance slag)
고로 중에서 철과 동시에 용융상태로서 생성되는 칼슘, 기타 기재의 규산염과 알루미나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금속부산물.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高爐 - 骨材, blast-furnace slag coarse aggregate)
고온의 용융상태인 고로슬래그를 공기 속에서 서냉하여 큰 입자로 만든 것을 굵은 골재용 입도로 깬 것. 물로 급냉한 것은 모래 크기로 되므로 수쇄라 하여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와는 다름.
고로슬래그 시멘트 (高爐 - , blast-furnace slag cement)
급냉 분쇄한 고로슬래그와 소량의 석고를 혼합하여 만든 시멘트.
고로슬래그 잔골재 (高爐 - 骨材, blast-furnace slag fine aggregate)
고온의 용융상태인 고로슬래그를 냉수나 찬공기 등으로 급냉하여 작은 모래크기로 만든 것. 수쇄라고도 함.
고로시멘트 (高爐 - , blast furnace cement)
고로의 수쇄(水碎)슬래그(약 30 %)와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로 된 혼합시멘트.
고리형 유량환산곡선 ( - 流量換算曲線, loop rating curve)
동일한 수위에 대하여 다른 두개의 유량값을 나타내도록 그려진 유량곡선. 홍수때 하천유량은 하천수위가 증가할 때가 감소할 때 보다 같은 수위에 대한 유량이 크게 나타냄.
그림
고립파 (孤立波, solitary wave)
크노이드파(cnoidal wave)에서 파장이 무한대인 극한의 경우에 유일한 파봉(波峰)을 갖고 이동하는 파랑.
고망간강 크로싱 (高 - 鋼 - , high manganese steel crossing)
보통레일로 된 크로싱은 노즈레일 선단부에 차륜이 격돌하여 심한 마모로 수명이 단축되므로 보통레일 보다 망간성분을 높여 수명 연장을 강구한 크로싱임. 내마모성이 강하여 보통레일로 만든 크로싱보다 수명이 5배 정도 됨. 균열의 진행은 극히 느리며 대부분의 균열은 용접수리가 가능함. 주강의 단일체이므로 차량동요가 적고 보수 노력이 절약되고 내구년한이 길어 중요선에 사용됨.
고무받침 ( - , rubber bearing)
경질 고무에 의한 탄성받침.
고무벨트 ( - , rubber belt)
돛베(帆布)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을 고무로 피복한 벨트. 벨트컨베이어에 사용함.
고무 아스팔트 ( - , rubberized asphalt)
고무를 아스팔트에 혼합용해 한 것. 고무는 분말?액상 또는 세편상으로 첨가하여짐. 또한 아스팔트에 미리 첨가하여지는 것과 혼합물을 혼합할 때 골재 등과 동시에 첨가하여지는 것이 있음. 일반적으로 고무화 아스팔트는 감온성이 적고 골재와 접착이 좋은 효과가 있음.
고무접착제 ( - 接着劑, gum paste)
생고무를 벤졸에 녹인 것. 네오브렌, 합성고무액 등을 금속, 콘크리트, 유리 등의 접착제로 쓰임.
고무타이어롤러 ( - , pneumatic tire roller)
→ 타이어롤러.
고무풍선법 ( - 風船法, rubber balloon method)
다져진 흙의 단위중량을 구하기 위해서 파낸 시료의 체적을 현장에서 구하는 시험방법. 하부는 고무막으로 되어 있고 물로 채워져 있는 체적계를 시료를 파낸 구멍 위에 올려 놓고 체적계내의 물에 압력을 가하여 물로 굴착 부분을 채워서 굴착 부분의 체적을 구하는 시험방법. 고무 막법이라고도함.
고무화 아스팔트 ( - , rubberized asphalt)
고무를 아스팔트에 혼합용해한 것. 고무는 분말, 액상 또는 세편상으로 가해짐. 또한 아스팔트에 미리 가하여 놓는 것과 혼합물을 혼합할 때에 골재 등과 동시에 가하는 것이 있음. 일반적으로 고무화 아스팔트는 감온성이 적고 골재와의 접착이 좋은 등의 효과가 있다고 함.
고밀도 입도골재 (高密度 粒度骨材, dense grade aggregate)
다졌을 때 공극이 작고 중량이 최대로 되는 입도상태의 골재.
고밀도 콘크리트 (高密度 - , high density concrete)
특히 단위중량을 크게 한 콘크리트. 일반적으로 중량골재를 사용해서 만들며 방사능차폐용에 사용됨.
고분자응집제 (高分子凝集劑, polymer coagulant)
→ 고분자전해질.
고분자전해질 (高分子電解質, polyelectrolyte)
분자량이 큰 유기성 합성체 또는 천연고분자로서 물에 용해시 고도로 이온화되는 물질임. 콜로이드의 제거를 위한 응집시 고분자전해질은 콜로이드의 전하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콜로이드간의 가교작용을 통하여 콜로이드의 응결을 촉진시킴.
고속국도 (高速國道, national expressway)
고속국도법에 의하여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을 지정하고 건설교통부 장관이 관리하는 자동차의 고속교통을 위한 국가기간 도로망을 이루는 고속도로.
고속국도법 (高速國道法, national expressway law)
도로법에 규정한 것으로 고속국도에 관하여 도로법에 규정한 것 외에 그 노선의 지정, 도로의 구조관리 및 보전관리 등에 관한사항을 정한 법률.
고속도로 (高速道路, freeway, expressway, motorway)
완전히 출입제한을 한 자동차 전용도로로서 미국에서는 부분적으로 출입제한한, 자동차 전용도로를 포함함. 완전히 출입제한 한 자동차 전용도로를 freeway라고도 함.
고속도로 기본(단위)구간 (高速道路 基本(單位)區間, basic freeway segment / section)
노선중 합류, 분류나 엇갈림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위)구간.
고속살수여상 (高速撒水濾床, high-rate trickling filter)
처리수나 슬러지를 반송하여 폐수를 여상에 두번이상 통과시킴으로써 폐수와 미생물간의 접촉시간 연장 및 유기물 부하의 균등화를 통하여 처리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살수여상법. 2단 여상보다는 1단 여상이 많이 쓰임.
고속소화법 (高速消化法, high-rate digestion process)
소화조의 온도를 55~65 ℃로 유지시키고 슬러지의 연속 투입 및 교반함으로써 소화시간을 단축시킨 공법.
고속응집침전 (高速凝集沈澱, suspended solid contact clarifier)
교반, 응집, 침전의 각 조작을 하나의 반응조에서 행하는 응집침전조로 반응조가 작고 약품사용량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숙련된 조작기술이 필요함.
고속철도 (高速鐵道, high speed railway rapid transit railway)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 km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 고시하는 철도.
고속탈출 유도로 (高速脫出 誘導路, high-speed exit taxiway)
활주로에 착륙한 항공기가 완전 감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활주로를 이탈하게 하는 유도로. 활주로 점유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활주로 용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며 대부분 평행유도로와 연결됨.
고속퇴비화 (高速堆肥化, high-rate composting)
폐기물의 파쇄, 기계적 교반 및 송풍에 의하여 발효시간을 단축시킨 퇴비화 공법. 발효는 보통 2~4일에 완료되며 약 2~3주간 양생후 퇴비로 사용할 수 있음. 개발된 방법으로는 Metro법, 다노법, 에바라법 등 여러가지가 있음.
고수 (高水, high water, flood)
홍수기 또는 저수지 조작중에 도달하는 가장 높은 조위. 또는 수위가 높이 올라갔을 때 조석의 상태.
고수공사 (高水工事, high water / flood protection works)
홍수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공사. 제방의 축조, 유수단면적 증대, 흐름장애물의 제거 등을 포함.
고수위 (高水位, high water level, flood stage)
1년에 한번이나 두번 일어날 정도의 수위, 또는 장기간의 관측에 의한 수위자료중 평균수위 보다 높은 수위.
고싸이클 피로 (高 - 疲勞, high cycle fatigue)
피로 현상중, 주로 105~107회 또는 그 이상의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의 피로 현상. 10~104회 정도의 저싸이클 피로와 구분해서 쓰여짐.
고압관 (高壓管, high-pressure pipe)
물이나 증기를 고압으로 보내는데 사용하여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관.
고압산화법 (高壓酸化法, high pressure oxidation process)
수중에 포함된 유기물을 고온, 고압하에서 공기로 산화시키는 방식.
고압솥 (高壓 - , autoclave)
고온, 고압에서 반응을 시키기 위한 용기. 미생물의 멸균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됨.
고압 증기 양생 (高壓 蒸氣 養生, high pressure vapored curing)
약 10기압의 증기압에서 금방 탈거한 콘크리트나 공기양생된 콘크리트 또는 모래-석회벽돌을 10~20시간동안 양생하는 것.
고압타이어 (高壓 - , high pressure chord tire)
노면과 단위접촉면적당 많은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타이어로서 보통 5~6 kg/cm²정도의 축하중을 받을 수 있음.
고엽제 (枯葉劑, defolicant)
식물고살용 화학제. 베트남전쟁에서 미국이 베트남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사용한 화학병기로 식물의 정상적인 대사를 저해하여 죽게하는 화이트제 및 오렌지제, 탈수성화합물로 인하여 식물을 고사시키는 블루제 등이 있음. 동물에 발암성, 기형아 출산, 유산, 사산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고온균열 (高溫龜裂, hot cracking)
용접할 때 550 ℃이상에서 생기는 균열. 일반적으로 이음부 부근의 온도경사가 클때 발생함.
고온기하중 (高溫期荷重, maximum temperature loading)
여름부터 가을에 걸친 계절(고온기)에 송전용지지물에 가해지는 하중.
고온성균 (高溫性菌, thermophilic bacteria)
45 ℃ 이상에서 잘 자라는 균. 고온소화는 55~65 ℃에서 잘 자라는 고온성균을 이용하며 처리효율이 높아 부하량 증가 및 소화일수 단축이 가능하지만 가온 및 처리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고위발열량 (高位發熱量, higher heating value / calorific value)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수증기가 냉각될 때 발생하는 잠열을 포함한 발열량.
고유이방성 (固有異方性, inherent anisotropy)
흙의 강도, 변형특성이 등방적(isotropic)이지 않고, 하중의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이방성이라 하며, 이 원인으로는 퇴적시 이방적인 토립자의 배열과 이방적인 응력변형율 이력(履歷)의 2가지가 있음. 전자에 기인한 것을 고유이방성이라 부르고, 후자를 유도이방성(誘導異方性)이라 함. → 이방성.
고유주기 (固有週期, natural period)
① 탄성물체가 외력 없이 그 물체안의 고유한 힘에 의하여 진동할 경우, 그 진동의 주기. 물체의 질량 및 강성에 의하여 결정됨.
② 만, 항만 또는 부유체의 고유현상에 따른 주기로 장주기 파랑 등의 주기적인 외력을 받을 경우 공진을 일으키는 주기.
고유진동 (固有振動, natural oscillation)
고유주기에 따른 진동.
고유진동수 (固有振動數, natural frequency)
진동계의 질량과 탄성적인 성질로부터 결정된 일정한 진동수. 다질점(多質点) 진동계에서는 자유도의 수만큼 존재하고, 낮은 차수부터 각각 1차, 2차, 3차, 고유진동수라고 함.
고유치 (固有値, eigenvalue)
주어진 입력에 대한 어떤 시스템의 응답이 주어진 입력의 형태에 상수를 곱한 형태로 표시될 때 이 상수를 지칭함. 대표적인 예로서 진동 문제에서 주파수나 좌굴 문제에서 임계하중이 고유치로 표시됨.
고유투수계수 (固有透水係數, intrinsic permeabililty)
중력과 압력의 결합작용하에서 액체와 기체의 운동을 허용하는 다공성 매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계수.
고율폭기법 (高率曝氣法, high-rate aeration process)
활성슬러지 공법의 변형으로 높은 유기물 부하에서 충분한 산소공급을 통하여 짧은 폭기시간에서 처리하는 방법. 미생물은 감소성장 또는 대수성장단계에 있어 침전성이 나빠질 수 있음.
고율활성슬러지법 (高率活性 - 法, high-rate activated sludge process)
→ 고율폭기법.
고장력강 (高張力鋼, high tensile strength steels)
교량 선박 차량 기타 구조물용 및 압력용기용으로서 통상 인장 강도 50 kg/mm2 이상이며 용접성, 노치 인성 및 가공성을 중시해서 제조된 강재.
고장력 볼트 (高張力 - , high tension bolt)
고장력강을 써서 만든 볼트로서 볼트에 압연나사를 만들어 토크렌치(torgue wrench)로 강하게 조여 재편(材片)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재편을 서로 연결시키는 볼트, 고력 볼트라고도 함.
고저각 (高低角, vertical angle)
수직면 내에 있어서 수평면과 어떤 측선이 이루는 각. 수평면으로부터 상방향의 각을 상향각 [앙각(+)], 하방향의 각을 하향각[부각 또는 복각(-)]이라고 구별함.
고저기준점 (高低基準點, bench mark)
→ 수준점.
고저조 (高低潮, higher low water)
1일 2회 조석에서 일조부등(日潮不等)시 진폭이 서로 다른 저조가 반복 발생할 때 진폭이 작은 쪽의 저조를 가리킴.
고저측량 (高低測量, leveling)
지표면에 있는 제 점의 고저차를 관측하여, 그 점들의 고저(표고)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함. 지도 제작, 공사의 계획,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고저(표고)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측량임. → 수준측량.
고저측량망 (高低測量網, leveling network)
→ 수준망.
고저측량환 (高低測量環, leveling circuit)
→ 수준환.
고정기중기 (固定起重機, fixed crane)
일정한 위치에 설치한 기중기.
고정나사 (固定螺絲, clamp screw)
측량기계의 가동 부분을 고정시키는 나사. 트랜싯에서는 수평, 연직고정나사와 복축형(複軸型)에서 상?하 고정나사가 있음.
고정단 (固定端, fixed end)
모든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이 구속된 지점.
고정단 단순보 (固定端 單純 - , propped cantilever beam)
부재의 한 단은 고정단이고, 다른 단은 힌지로 지지된 보.
고정단력 (固定端力, fixed end force)
구조물의 모든 자유도를 구속했을 때 각 부재의 재단에서 외부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
고정단 모멘트 (固定端 - , fixed end moment)
구조물의 모든 자유도를 구속했을 때 각 부재의 재단에서 외부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멘트.
고정(콘크리트)도상 (固定 - 道床, fixed concrete ballast)
콘크리트 도상이라 불리기도 하며 철도 궤도의 도상에 있어서 도상자갈 또는 쇄석을 이용하지 않고 노반 상에 직접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의 고정 도상.
고정성고형물 (固定性固形物, fixed solid)
증발잔류물 중에서 550 ℃정도로 가열한 다음에 남는 물질을 강열잔류고형물질이라고 함. 즉, 증발잔류물질에서 휘발성고형물질을 뺀 나머지를 말함.
고정시간 신호 (固定時間 信號, fixed-time signal)
현재 교통수요의 변동에 대한 고려가 없이 고정된 신호시간 계획에 위해 운영되는 신호.
고정식크레인 (固定式 - , derrick crane)
뼈대, 기둥 및 그것으로 지지하는 스테이로 이루어진 고정크레인. 하중의 상하 및 어느범위내의 선회를 할 수 있음. 데릭크레인이라고도 함.
고정웨어 (固定 - , fixed weir / dam)
수면을 높일 목적으로 하도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가동부분이 포함되지 않은 공작물. 가동 웨어와 대비됨.
고정지체 (固定遲滯, fixed delay)
교통량이나 운영지체와 상관없이 교통제어설비에 의해 야기되는 지체의 한 부분.
고정축간거리 (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둘 이상의 차축을 갖는 불요성 대차에 장치된 일군(一群)의 고정축중 최전위의 것과 최후위의 것과의 차축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 축간거리”는 일반적으로 궤간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국철에서는 4.75 m 이하로 규정하고 있음.
고정축거 (固定軸距, rigid wheel base)
→ 고정 축간거리.
고정 크로싱 (固定 - , rigid frog, rigid crossing)
구조에 따른 크로싱의 한 종류로 크로싱 각부가 고정되어 철도차량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하던지 결선부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차량의 진동과 소음이 크고 승차감이 좋지 않음.
고조 (高潮, high tide / water)
조석의 승강작용중 수위가 가장 높을 때로 만조(滿潮)라고도 함.
고조위 (高潮位, high water level)
조석의 승강작용중 고조 발생시의 수위.
고주파소음 (高周波騷音, high frequency noise)
소음의 주파수성분중에서 저음역보다 고주파부분의 성분이 많은 소음이며 제트기의 소음이나 공사현장의 리벳 타입음, 프레스음 등이며 회화가 방해되고 가장 좋지 않은 소음.
고주파유도용접 (高周波誘導鎔接, high frequency inducting welding)
용접 이음부를 가압하면서 고주파유도가열을 이용하여 하는 용접.
고주파저항용접 (高周波抵抗鎔接, high frequency resistance welding)
용접이음부를 가압하면서, 고주파 전류를 직접 모재에 공급하여 실시하는 저항 용접.
고체전파음 (固體傳播音, solid borne sound)
기계의 진동, 수격작용 등과 같은 충격이나 진동이 벽면, 천정 등을 진동시켜 반사되는 소리.
고탄소강 (高炭素鋼, high carbon steel)
철과 탄소의 합금강으로서 탄소 함유량이 0.6 % 이상인 강.
고탄소강레일 (高炭素鋼 - , high-carbon steel rail)
탄소강 레일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탄소의 함유량을 늘여 제작한 레일로 보통레일의 탄소함유량이 0.60~0.75 %이나 고탄소강 레일은 0.85 % 정도까지 쓰여지고 있음.
고피로강도 앵커케이블 (高疲勞强度 - , high fatigue strength anchor cable)
케이블의 내단이 높은 응력진폭에 견딜 수 있도록 특수한 소켓에 정착되어 있는 케이블, 주로 사 장교 또는 매단지붕의 사장케이블용으로 개발된 것. 소켓의 구조, 방식구조의 차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음. 예 : HiAm앵커 케이블, DINA앵커케이블, New PWS, A-PS앵커 케이블.
고형물 (固形物, solids)
액체속에 들어 있는 고형물질. 용존성고형물과 부유성고형물, 휘발성고형물과 강열잔류고형물 등으로 나눌 수 있음.
고형물 체류시간 (固形物 滯留時間, solid retention time)
생물학적 처리조에서 반응조내의 미생물량을 반응조에서 폐기되는 미생물량으로 나눈 값. SRT라고도 하며 처리효율, 처리의 안정성, 독성물질의 영향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하나임.
고형화 (固形化, solidification)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기물 중간처리 방안의 하나로 유해성분의 용출방지 또는 무해화를 위하여 폐기물과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고형화시키는 방법. 콘크리트 고형화라고도 하며 고형화된 것은 매립 또는 해양투기됨.
고황산염 시멘트 (高黃酸鹽 - , super sulfated cement)
수경시멘트의 일종으로서 입상고로슬래그와 석고, 소량의 석회, 시멘트 또는 시멘트크링커의 혼합물을 잘 혼합, 분쇄해서 만든 것. 포틀랜드고로시멘트에 비하여 황산염을 상당히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이와같이 이름이 붙여진 것임.
곡률계(노면) (曲率計(路面), curvature meter)
노면의 평탄성 정도를 측정하는 기기로써 3 m직선 정규자로 횡방향 요철을 측정하고, 3 m 혹은 7.6 m측정기에 의한 종방향 측정시 사용 노면(路面)에 재하했을때 처진면의 곡률을 측정하는 간단한 측정기.
곡률계수 (曲率係數, coefficient of curvature)
곡률계수 는 다음식으로 정의됨. 여기서 은 입도분포곡선에서 통과중량 백분율이 각각 10, 30, 60 %의 입경. 통일분류법에서는 사질토의 입도분포가 좋고 나쁨을 균등계수와 곡률계수로 판단함.
곡률도 (曲率度, degree of curve)
평면곡선의 곡선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의 하나로서 곡선으로 100피트 움직이는데 1°의 중심각 변화가 일어나는 곡선을 1곡률도로 함.
곡률마찰 (曲率摩擦, curvature friction)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곡선부에서의 마찰.
곡물 부두 (穀物 埠頭, grain wharf)
주로 곡물을 취급하는 부두.
곡선교 (曲線橋, curved bridge)
곡선의 도로. 선로 등을 통과하기 위해 주형이 평면의 위에서 곡선형으로 되어있는 다리.
곡선내방분기기 (曲線內方分岐器, double curve turnout in same direction, turnout on inside of a curve)
곡선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 내측으로 분기시킨 분기기.
곡선 들보 (曲線 - , curved beam)
수평면 내에서 들보의 중심심 선이 곡선을 이루고 있는 들보를 지칭함.
곡선 반경 (曲線 半徑, radius of curvature)
곡선의 중심으로부터 원호까지의 직선 거리.
곡선보정 (曲線補正, curve compensation)
선로의 구배중에 곡선이 있을 때에는 열차의 저항은 구배저항이 가산되므로 이 경우에는 곡선저항과 동등한 구배량만큼 최급구배를 완화시켜야 함. 이 경우 곡선을 구배로 환산하여 구배의 보정을 하는 것을 곡선보정이라 함. 이보정은 선로의 상태 차량의 구조, 열차의 편성과 속도 등에 따라 다름. 일반적으로 GC = 600/R식이 이용되고 있음. 여기서 GC : 보정량(%), R : 곡선반경(M).
곡선부 확대 (曲線部 擴大, increment of width at curves)
철도차량은 자동차와 달리 2개 또는 3개의 차축을 대차에 강결시킨 고정 차축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것이 곡선을 통과할 때 전후차축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 할 뿐 더러 차륜내는 플랜지(flange)가 있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함. 그러므로 곡선부 궤도에서는 직선보다 궤간을 확대 시켜야 하는데 이를 곡선부 확대라 하며 슬랙(slack)이라고도 하고 곡선의 내측 레일을 궤간 외측으로 확대함.
곡선 분기기 (曲線 分岐器, curved turnout)
궤도의 분기기의 일종으로 기준선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함. 분기선이 곡선의 어느 쪽으로 분기하느냐에 따라 내방분기기, 외방분기기로 나누어짐.
곡선설치법 (曲線設置法, curve setting)
도로, 하천 등의 측량을 노선측량이라고 하고, 특히 도로 등의 곡선부 설치를 위한 특별한 측량의 방법을 곡선설치법이라고 함.
곡선외방분기기 (曲線外方分岐器, double curve turnout in opposite direction, turnout on outside of a curve)
곡선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외방으로 분기시킨 분기기.
곡선장 (曲線長, curve length)
곡선의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길이.
곡선저항 (曲線抵抗, curve resistance)
열차가 곡선부를 통과할 때 원심력에 의하여 차륜과 레일간에 마찰저항 및 내?외궤의 레일길이의 차이로 인한 마찰 등이 생기는데 이들 저항을 총칭하여 곡선저항이라 함. 곡선저항은 곡선 반경 cant, slack, 대차의 구조, 특히 고정축간거리, 레일의 마찰 및 운전속도 등에 따라 다름.
곡선정규법 (曲線定規法, curve ruler method)
압밀계수 cv를 구하는 방법의 하나. 어떤 압밀하중에서 수직축에 압축량 d를, 수평축에 t의 대수(對數)를 그리고 측정결과를 반대수지 위에 그림. 동일한 반대수지 위에 압밀도 U와 시간계수 T의 이론적인 관계를 압밀도 스케일을 변화시켜 다수 그린다(곡선정규). 곡선정규와 측정결과의 d-logt 곡선의 초기 부분의 일치성으로부터 필요한 값을 구해 압밀계수 cv를 계산.
곡선정정계산기 (曲線整正計算機, curve lining calculator)
궤도 곡선부의 선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산기.
곡선표 (曲線標, curve post)
차량이 곡선부 궤도를 주행할 때 기관사가 곡선 반경에 규정된 속도로 운전할 수 있도록 궤도의 곡선 시종점에 세우는 표지의 일종임. 표면에 곡선반경을 표시하며 이면에 cant 및 slack 을 기입함.
곡선 형상 요소 (曲線 形狀 要素, curvilinear element)
유한요소법에 사용되는 요소로 요소의 경계가 곡선의 형상을 갖음.
곡현트러스 (曲弦 - , curved chord truss)
상현, 하현의 한쪽 또는 양쪽이 직선이 아니고 다각형을 이루는 트러스.
곧은결 ( - , straight grain)
나이테의 접선과 직각으로 제재한 재면에 나이테가 곧게 나타난 나무결.
골 ( - , corrugation)
역청포장의 표층이 포장온도가 높을 때에 유동하여 노면이 파상으로 되는 현상.
골강관 ( - 鋼管, corrugated steel pipe)
파형으로 주름잡힌 엷은 강판으로 만든 조립식관. 이것은 간단한 암거나 준설매립공에 있어서 가체절공으로 사용됨.
골격(흙) (骨格, skeleton)
토립자를 구성하는 흙의 골조.
골리엇기중기 ( - 起重機, goliath crane)
문형구대위에 윈치를 가지고 중량물을 달아서 이동할 수 있는 기중기.
골재 (骨材, aggregate)
모르터, 콘크리트 또는 역청질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결합재와 같이 뭉쳐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모래, 바순모래, 자갈, 부순자갈, 부순 돌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재료를 말함. 즉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나누어짐.
골재간극률 (骨材間隙率, voids in the mineral aggregate)
골재 전체의 용적에 대한 공극용적의 백분율로 콘크리트용 골재에서 주로 사용.
골재건조기 (骨材乾燥機, aggregate drier)
아스팔트플랜트에서 골재를 가열 건조하는 장치. 약간 경사진 원통상단에서 골재를 투입하여 원통의 회전으로 골재가 하단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버너(bunner)로 가열함.
골재계량기 (骨材計量機, aggregate batcher)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골재를 중량으로 계량하는 장치.
골재공극률 (骨材空隙率, porosity of aggregate)
골재의 단위용적속에 있는 공극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골재공급기 (骨材供給機, aggregate feeder)
아스팔트플랜트에서 골재를 건조기에 균일하고 정확하게 공급하는 기계.
골재노출마무리 (骨材露出 - , exposed aggregate finish)
콘크리트가 아직 충분히 굳지 않았을 때에 표면의 모르터를 제거해서 굵은 골재가 튀어나오도록 하는 콘크리트의 표면마무리.
골재마모시험 (骨材摩耗試驗, aggregate abrasion test)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마모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시험. 골재를 강구(鋼球)와 함께 드럼 속에서 회전시켜 그 마모량을 본래의 양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냄.
골재비중 (骨材比重, specific gravity of aggregate)
골재의 비중은 진비중, 절대건조상태 비중, 표면건조포화상태 비중 등의 3가지가 있으나 표면건조포화상태 비중을 기준으로 함.
골재살포기 (骨材撒布機, aggregate spreader)
트럭 후미에 장치되어 포장용 골재를 고르게 살포하는 기계.
골재-시멘트비 (骨材 - 比, aggregate-cement ratio)
콘크리트에서 시멘트 중량에 대한 골재의 중량을 나타낸 비.
골재의 마른다짐 (骨材 - , dry rodding)
굵은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준상태에서 캐리브레이션된 용기속에 건조한 재료를 봉에의해 다져젛는 방법.
골재의 맞물림 (骨材 - , aggregate interlock)
콘크리트 중의 균열 또는 조인트 면에 있어서 골재입자가 그들 파단면의 양측에 걸쳐 있는 상태. 압축 및 전단하중의 전달거동 및 상호위치 확보에 효과가 있음.
골재의 실적률 (骨材 - 實積率, solid volume percentage of aggregate)
용기에 채운 골재의 절대용적의 그 용기의 용적에 대한 백분율. 실적률(d) = (W/g)100 (%). 여기서, W = 단위용적중량(kg/l), g = 골재의 비중.
골재의 알칼리반응성 (骨材 - 反應性,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
알칼리골재반응에 대한 골재의 반응정도.
골재의 유효흡수량 (骨材 - 有效吸水量, effective absorption of aggregate)
공기건조상태의 골재로부터 표면건조포화상태까지의 골재내부에 흡수된 수량.
골재의 유효흡수율 (骨材 - 有效吸水率, effective absorption ratio of aggregate)
24시간 침수에 의해 공기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된 수량으로 절대건조상태에 대한 골재 중량의 백분율로 나타냄.
골재의 입도 (骨材 - 粒度, grading of aggregate)
골재의 대소알이 혼합되어 있는 정도.
골재의 절건비중 (骨材 - 絶乾比重, absolute surface dried specific gravity of aggregate)
절대건조상태에서의 골재의 비중.
골재의 절대건조상태 (骨材 - 絶對乾燥狀態, absolute dry condition of aggregate)
골재 내부의 빈 틈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전부 제거된 상태.
골재의 절대용적 (骨材 - 絶對容積, absolute volume of aggregate)
골재의 무게(kg)를 골재의 비중으로 나누고 1,000을 곱한 값.
골재의 침강 (骨材 - 沈降, settlement of aggregate)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속의 골재분이 타설후 응결시점까지 사이에 침강하는 것.
골재의 표건비중 (骨材 - 表乾比重, surface dried specific gravity of aggregate)
표면건조포화상태에 있는 골재의 비중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골재의 비중은 이를 의미함.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 (骨材 - 表面乾燥飽和狀態, surface dry saturated condition of aggregate)
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골재 속의 빈 틈이 물로 차 있는 상태.
골재의 표면수 (骨材 - 表面水, surface moisture of aggregate)
골재의 표면에 붙어 있는 물을 말하며 골재가 가지고 있는 물의 전량에서 골재 속에 흡수되어 있는 물을 뺀 나머지 물.
골재의 표면수율 (骨材 - 表面水率, surface water-content ratio of aggregate)
골재표면에 묻어 있는 수량을 표면건조포화상태에서의 골재중량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
골재의 함수량 (骨材 - 含水量, water content of aggregate)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함수량.
골재의 함수율 (骨材 - 含水率, water content ratio of aggregate)
골재에 함유된 물의 무게에 대한 그 골재의 전중량과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골재의 흡수율 (骨材 - 吸收率, absorption ratio of aggregate)
24시간 침수에 의해 절대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때까지 흡수된 수량으로 절대건조상태에 대한 골재 중량의 백분율로 나타냄.
골재저장소 (骨材貯藏所, stock yard)
콘크리트 및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해 입도별로 골재를 저장한 장소.
골재 조립률 (骨材組粒率, fineness modulus of aggregate)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80 mm, 40 mm, 19 mm, 10 mm, No.4, No.8, No.16, No.30, No.50, No.100의 10개의 체를 1조로 체가름 시험을 하였을때 각체에 남아있는 전체량의 전 시료에 대한 중량백분율의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
골재플랜트 (骨材 - , aggregate plant)
원석을 분쇄시키고 또는 천연골재의 일부를 파쇄 선별해서 적당하게 나눈 콘크리트용 골재를 제조하는 설비.
골재피막시험 (骨材被膜試驗, aggregate coating test)
물이 있는 곳에서 골재에 피복된 엷은 막의 보유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이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박리현상을 막기 위해 시행.
곰덫웨어 ( - , bear trap weir)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판을 설치하여 삼각형을 만들고 삼각형 내부에 수압을 가하거나 감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는 방죽의 일종.
그림
곰보 ( - , honey comb)
단위수량, 단위굵은 골재량,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등이 크거나 또는 다지기가 부족했을 때, 굵은 골재와 모르터가 분리하여 굵은골재의 둘레에 모르터가 충분히 돌지 못하여 콘크리트 표면이 벌집모양으로된 부분.
곰팡이 ( - , fungi)
직경 5 μm 정도의 사상성 종속영양 미생물로 균사의 덩어리인 균사체를 형성함.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됨.
공간 구조물 (空間 構造物, space structure)
구조물의 3차원 거동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구조물.
공간측량 (空間測量, space / extra-terrain surveying)
공간상에 있는 항성, 기기, 관측점 등에 의한 측량으로 천문측량, 인공위성측량(GPS, SPOT 등), 초장기선간섭계(VLBI)측량, 레이저측량, 사진측량 등을 말함.
공간평균속도 (空間平均速度, space average speed)
어떤 순간에 있어서 도로상의 어떤 구간 내에 존재하는 자동차 속도의 평균값. 이 값은 교통량을 밀도로 나눈 값과 같음.
공개경쟁입찰 (公開競爭入札, open competitive bid)
입찰자를 공개 모집하여 집행하는 입찰.
공개입찰 (公開入札, open bidding)
도급공사의 경우, 도급인이 그 공사의 입찰을 하는 것. 경쟁입찰이라고도 함.
공공교통 (公共交通, public transportation)
승객의 이동성과 비용-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보완적이며 상호작용하는 교통수단이 혼재된 시스템.
공공사업 (公共事業, public project)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등에 의해 시행되는 도로, 공원, 항만, 교량, 철도, 학교, 병원, 주택, 상하수도 등과 같은 공공시설 공급 및 보수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업.
공공서비스설비 (公共 - 設備, public utilities)
전기, 전화, 상하수도 등과 같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비.
공공용수 (公共用水, water for public)
일반관공서, 학교, 병원, 병영의 급수, 도로의 분수, 살수, 하수세척용수, 소화용수 등에 사용되는 용수.
공공책임 (公共責任, public liability)
공적기능을 가진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공공단체 등의 사회적, 경제적 책임.
공공측량 (公共測量, public surveying)
공공이해에 관계가 있는 측량으로서, 기본측량 이외의 측량 중 대통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건교부장관이 지정하는 측량을 제외한 측량을 말함.
공공하수도 (公共下水道, public sewerage)
하수도법에 의하여 정해지는 하수도로서 공공하수도 관리청이 설치 또는 관리하는 하수도.
공구강 (工具鋼, tool steel)
강의 한 종류로서 공구를 만들 때 사용되는 강. 탄소함유량 0.6~2.5 %의 것이 보통 많이쓰임.
공극률 (空隙率, percentage air void, porosity)
→ 간극률.
공극비 (空隙比, void ratio)
→ 간극비.
공극수유속 (空隙水流速, interstitial velocity)
다공성 매질 내에서 한 공극에서 다른 공극으로 또는 한 공극 내에서 움직이는 물의 운동 속도. 간극수유속이라고도 함.
공극시멘트비 (空隙 - 比, void cement ratio)
콘크리트 중에 있는 물과 공기의 절대용적의 합과 시멘트의 절대용적과의 비. 공극시멘트비라고도 함.
공기간극률 (空氣間隙率, air content by volume)
흙의 부피 가운데 공기 및 기타의 가스가 점하고 있는 부피를 흙의 전체부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함. 공기율이라고도 함.
공기갑(공기실) (空氣閘(空氣室), air lock)
공기케이슨에 사용하는 기구의 일종으로 출입구에 설치하여 외기압과 작업공기압의 조정을 하는 것. 록에 들어갈 때에는 록의 아랫문을 닫아 압축공기를 차단하고 윗문을 열고 들어감. 다음에 윗문을 닫고 록내에 압축공기를 넣어 작업실내와 같은 기압이된 뒤 아랫문을 염. 나올 때에는 이와 반대로 함. 기갑이라고도 함.
공기건조 (空氣乾燥, air dry)
시료를 공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것.
공기고형물비 (空氣固形物比, airsolid ratio)
슬러지의 부상농축시 공급된 공기량중 유효하게 사용되는 공기량과 처리된 고형물량의 비율로서 이 비율이 클 수록 농축슬러지의 농도는 높아지지만 너무 높아도 동력비에 비하여 농축효과는 높아지지 않음.
공기냉각기 (空氣冷却器, air condenser)
일반적으로 가열된 증기 또는 가스를 공기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장치로 정유공장 등에서 다량의 냉각용수를 절약할 목적으로 종래의 용수냉각기의 70 %를 공기냉각기로 바꾼 예가 있다고 함.
공기량 (空氣量, air content)
쳐넣은 직후의 콘크리트 속에 포함하는 공기의 량. 콘크리트에 대한 용적백분율로 나타냄.
공기량 시험 (空氣量 試驗, air content test)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을 구하는 시험으로서 공기실압력법 또는 중량방법 등이 있음.
공기리베터 (空氣 - , air riveter)
압축공기로 타입하는 리벳타설기.
공기 방파제 (空氣 防波堤, pneumatic breakwater)
압축공기에 의하여 파랑을 제어(制御)하고자 하는 방파제.
공기밸브 (空氣 - , air release valve)
펌프시설 혹은 관로내에 축적된 공기를 뽑기 위하여 설치하는 밸브.
공기버커 (空氣 - , air bucker)
리벳 타설에서 그 밑받침대가 압축공기의 피스톤에 의하여 강력하게 압축되는 것.
공기불기 (空氣噴射, air blow)
공기를 분출시키는 것. 케이슨의 끝 또는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서 침하를 용이하게 함.
공기선별기 (空氣選別機, air elutriator)
송풍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대소를 선별하는 기계.
공기세정기 (空氣洗淨機, air washer)
냉수나 온수를 분무, 공기와 접촉시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
공기쏘기 (空氣 - , air jet)
압축공기를 우물통주변에 쏴서 우물통 표면에 에어포킷(air pocket)을 만들고 흙과 우물통사이에 공기를 존재시켜 마찰저항을 감소하고 우물통의 침하를 쉽게하는 시공법. 일명분기시공법이라고도 함.
공기압축기 (空氣壓縮機, air compressor)
공기를 밀폐한 용기내에 동력으로 압축하여 용기내의 압력을 높이는 기계. 왕복식, 회전식, 원심식이 있음. 왕복식은 피스톤과 실린더를 사용하며, 회전식은 다익의 편심회전자를 실린더내에서 회전시키거나 또는 2개의 회전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사이의 공기를 밀어내며, 원심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런너의 원심력을 이용함.
공기양생 (空氣養生, air curing)
콘크리트를 습윤상태로 양생하는 것이 아니고 공기중에서 그대로 방치하여 두는 것.
공기 연행제 (空氣 連行劑, air entraining agent)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1 mm 또는 그 이하 직경의 작은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이를 콘크리트 속에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혼화제. 이 공기방울은 물이나 모래함량을 감소시키고 워커빌리티를 증가시킴.
공기작업실 (空氣作業室, air chamber)
공기케이슨의 밑부분이며 압축공기로 물의 침입을 막고 그 속에서 근로자가 굴착작업을 하는 작업실.
공기저장기 (空氣貯藏器, air reservoir)
압축공기기의 공기를 내보내는 쪽에 있는 압축공기를 넣는 용기.
공기저항 (空氣抵抗, air resistance)
열차가 주행할 때 전면에는 공기와 마찰하고 후부에는 진공을 생기게 하면서 운행하게 되는데 이 공기로 인하여 열차에 저항을 주는 것을 공기저항이라 함.
공기정화기 (空氣淨化機, air cleaner)
공기중의 먼지(dust) 유해가스, 세균 및 기름(oil)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풍기의 임펠러의 마모, 산기장치의 눈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함. 습식과 건식이 있음.
공기조화 (空氣調和, air conditioning)
실내 또는 특정장소에서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맞도록 적당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
공기중 양생 (空氣中 養生, air curing)
콘크리트를 습윤상태로 양생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중에 그대로 방치하여 양생하는 것.
공기착암기 (空氣鑿岩機, pneumatic drill)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착암기.
공기케이슨 (空氣 - , pneumatic caisson)
케이슨 기초 형식의 하나. 처음에 날 가장자리(cutting edge)를 따라 1.8~2.0 m 높이에 천공 슬래브를 설치하고, 케이싱 선단부를 작업실로 함. 작업실내로 압축공기를 보내어 작업실의 물을 배수시키고 인력 혹은 기계로 기초저면의 토사를 굴착, 제거할 수 있도록 함. 공기케이슨이 지지층에 도달한 후, 작업실내에서 재하실험을 행하여 지지력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구조물의 기초로 널리 쓰임.
공기케이슨공법 (空氣 - 工法, pneumatic caisson method)
→ 공기케이슨.
공기케이슨기초 (空氣 - 基礎, pneumatic caisson foundation)
공기케이슨을 사용하여 케이슨을 침하시켜 설치한 기초.
공기타이탬퍼 (空氣 - , pneumatic tie tamper)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타이탬퍼.
공기함유율 (空氣含有率, air content)
흙의 간극 중에 존재하는 공기 혹은 기체의 체적을 간극의 체적으로 나눈값.
공기해머 (空氣 - , pneumatic hammer)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말뚝해머.
공기혼입콘크리트 (空氣混入 - , aerated concrete)
AE공기를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또는 AE제를 사용해서 비빈 콘크리트.
공내경사계 (孔內傾斜計, borehole inclinometer)
보링(boring) 구멍에 전용측정관을 만들어 넣고, 임의의 측정관의 경사를 계측하는 계기. 삽입식은 지중에 설치된 측정관에 삽입식 경사계를 넣는 것이 가능함. 고정식은 경사계를 깊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
공내재하시험 (孔內載荷試驗, borehole load test)
보링(boring) 구멍의 공벽(孔壁)과 구멍바닥에서 행하는 재하시험. 공벽의 재하시험은 횡방향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고, 공벽에 압력을 가하여 횡방향 지반반력계수, 변형계수 등을 구할 수 있음. 구멍 바닥 재하시험은 심층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며 깊은기초의 지지력을 구함.
공내재하시험기 (孔內載荷試驗器, pressuremeter)
프랑스 사람 Menard에 의하여 개발된 시험기로 시추공 내에 고무튜브로 된 탐봉(探棒)을 삽입하고, 압축된 공기압에 의하여 탐봉 튜브속으로 수압이 작용하도록 함. 이 때 공벽의 변화량을 탐봉 튜브속으로 유입된 물의 양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시험기구임. → 공내재하시험.
공내탄성파 시험 (孔內彈性波試驗, cross hole test)
한개의 시추공을 기진공(起振孔), 다른 한개 또는 복수의 시추공을 수진공(受振孔)으로 사용해서 시추공 사이의 지반을 전파하는 파동을 관측하는 방법.
공냉고로슬래그 (空冷高爐 - , air cooled blast furnace slag)
용융슬래그를 대기중에서 냉각시켜 응고시킨 물질.
공냉조작 (空冷操作, air cooling)
내연기관에서 실린더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냉판을 설치하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냉각하는 것.
공동구 (共同溝, utility tunnel)
도로의 노면굴착을 수반하는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하는 터널로서 경제성 뿐만 아니라 도시의 미관, 도로 구조물의 보전과 원활한 교통소통 등의 잇점이 있음.
공동도급 (共同都給, joint venture)
① 공동기업은 보통 협동도급이라 함. 2명 이상의 도급업자가 특정의 단일공사에 협정을 체결하여 도급하는 방법으로 공사에 책임이 있음.
② 하나의 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둘이상의 시공자가 공동으로 그 공사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여 임시의 기업체를 결정하고 공사 완성후에는 해산을 하는 공동경영의 한 방식이며 주로 미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음.
③ 큰 공사를 단 하나의 회사로서는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때 이용됨.
공동지수 (空洞指數, cavitation index)
펌프에서의 공동현상을 방지하도록 펌프의 설치표고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수.
공동현상 (空洞現象, cavitation)
펌프의 고속회전시에 유체 흐름에서 국지적인 부압으로 공동이 발생하는 것. 수력기계의 터어빈이나 펌프의 날개에 심한 손상을 입히기도 함.
공면조건 (共面條件, coplanarity condition)
한쌍의 중복사진에 있어서 그 두 사진의 투영중심과 대응되는 상(像)이 동일평면내에 있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말함.
공분산 (共分散, covariance)
두 변량의 각각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일차 모멘트의 곱.
공사감독자 (工事監督者, superintendent)
공사현장에서 설계도서대로 공사의 진행여부를 살피고 직공, 근로자 등을 지휘, 감독하는 기술자.
공사시공자 (工事施工者, constructor)
→ 건설업자.
공사실시 (工事實施, execution of work)
공사를 실시하는 것.
공사열차 (工事列車, work train)
철도선로 또는 이것에 부수되는 시설물의 수리, 개축, 건설을 할 때 또는 사고복구를 위하여 필요한 재료를 수송할 목적으로 운전하는 철도 자체의 업무용 임시 열차.
공사용도로 (工事用道路, construction road)
공사를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 재료, 기계 등을 현장에 운반하기 위하여 건설함.
공사측량 (工事測量, construction surveying)
→ 건설측량.
공생 (共生, symbiosis)
2종류 혹은 그 이상의 생물이 상호 도움이 되면서 살아가는 관계. 서로 이익을 얻는 경우를 상리공생(mutualism), 한쪽이 이익을 얻고 다른쪽은 무해한 경우를 편리공생(commensalism)이라고 함. 산화지에서 박테리아와 조류의 관계, 개미와 진디물의 관계가 대표적인 예임.
공석점 (共析点, eutectoidal / eutectic point)
하나의 고용체로 부터, 2개이상의 고상이 촘촘이 혼합된 조직으로 변태하는 경계점. 예를 들면 F-C합금의 상태도에서 723 ℃, 0.8 %점이 변태점임. 오스테나이트(γ철과 C와의 고용체)를 냉각 하면 C〉0.8 %에서는 세멘타이트(Fe3C)를, 또한 C〈0.8 %에서는 훼라이트(α철)를 석출함. 그리고, 723 ℃의 상태가 계속되는 사이, 잔존고용체로부터 양결정의 혼합물인 파라이트가 석출됨.
공선조건 (共線條件, collinearity condition)
공간상의 임의의 점(또는 대상물 : )과 그에 대응하는 사진상의 점(또는 상점 : x, y) 및 사진기의 투영중심점( )이 동일 직선상에 있어야 하는 조건.
공시체 (供試體, test piece, specimen)
재질의 역학적인 시험(압축시험, 인장시험, 휨시험, 전단시험, 크리프시험 등)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KS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 시험용으로 성형한 시료.
공식 (孔蝕, pitting corrosion)
국부 부식이 금속내부로 향해서 공상으로 진행하는 부식.
공심로프 (共心 - , independent wire strand core rope)
로프의 중심부에 섬유심 대신에 스트랜드를 넣은 것. 7×7, 7×19 등이 있으며, 주로 교량용으로 사용되고 있음. 로프의 기호는 (로프의 중심의 스트랜드의 수)×(스트랜드속의 선의 수)로 나타남.
공액 들보 (共? - , conjugate beam)
공액 들보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원래 주어진 들보의 지지 조건을 다른 지지조건으로 치환한 들보. 원래 들보의 자유단, 고정단, 중간 지점, 활절을 고정단, 자유단, 활절, 중간 지점으로 각각 치환하며, 회전단과 이동단은 그대로 사용함.
공액 들보법 (共? - 法, conjugate-beam method)
모멘트와 외부하중과의 관계와 처짐과 탄성하중과의 관계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보의 처짐과 처짐각을 구하는 방법. 공액 들보에 탄성 하중을 재하하여 그 때의 모멘트와 전단력을 구하면, 이는 각각 외부 하중에 의한 원래 들보의 처짐과 처짐각이 됨.
공액수심 ( - , conjugate depth)
개수로 흐름에서 일정한 비력(比力)을 가지고 흐를 수 있는 수심이 두 개가 있음. 이때 하나의 수심과 동일한 비력으로 흐를 수 있는 나머지 수심을 공액수심이라 함.
공액 에너지 (共? - , complementary energy)
구조물의 처짐을 하중에 대하여 적분한 물리량.
공업수리학 (工業水理學, engineering hydraulics)
수공구조물의 계획과 설계에 공학적 적용을 위한 수리학의 분야.
공업수문학 (工業水文學, engineering hydrology)
공학적 수단과 구조물의 계획, 설계, 운영과 관리 등 공학적 응용을 위하여 수문학적 정보를 다루는 응용수문학의 한 분야.
공업항 (工業港, industrial port)
공장에서 소요되는 원료 및 생산제품의 수송을 주로 취급하는 항만.
공용 (共用, conjunctive use)
지표수 및 지하수의 결합용도. 또는 두가지 이상의 결합된 용도 또는 용도에 의한 사용.
공용용량 (共用容量, joint storage)
홍수조절과 이수 목적을 위하여 연계되어 활용되는 저수지용량. 보통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제한수위에 의해 설정됨.
공용지수 (供用指數, performance service index)
어느 시점에서 도로포장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적 손상 즉, 요철, 균열, 팻칭 정도의 크기. 약어 : PSI.
공용차선 (共用車線, shared lane)
좌회전?직진, 좌회전?직진?우회전, 직진?우회전 등 둘 이상의 이동류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되는 차선.
공유통행권 (共有通行權, shared right-of-way)
전용통행권(exclusive right-of-way)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노면전차의 궤도부분을 버스와 승용차 등이 이용하는 것과같이 교통수단간에 통행로를 공유하는 형태를 말함.
공작도 (工作圖, shop drawing)
설계도를 기본으로 하여 공작에 필요한 구조물 각부를 도면화한 것.
공장도장 (工場塗裝, shop coating)
강주조물을 현장에서 가설한 후 조장할 수 없는 부분을 공장에서 미리 도장(대개는 초벌녹방지도장)하는 것.
공장리벳 (工場 - , shop rivet)
철골구조물을 제작할 때에 공장안에서 치는 리벳.
공장선로 (工場線路, industrial track)
공장내에서 화차 및 차량을 운행할 목적으로 공장 부지내에 건설된 선로를 말함.
공장용접 (工場鎔接, shop welding)
공장에서 하는 용접.
공장이음 (??工場接合??, shop splice)
공장 내에서 시공하는 이음.
공장 인입선 (工場引入線, industrial line)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건이나 원자재를 화차로 수송하기 위하여 기존선로에서 공장까지 선로를 건설하여 차량을 운행할 목적으로 건설된 선로를 말함.
공장조립 (工場組立, shop assembly)
강구조물 등을 제작할때 공장에서 조립하는 것.
공전 (空轉, slipping)
기관차 또는 동력차가 상구배 혹은 평탄선 운전시 속력이 과다하거나 노면이 강우, 강설 등으로 미끄러워 견인력이 점착력보다 커졌을 때 동력차의 동륜이 진행하지 않고 동일한 장소에서 헛도는 현상, 공전을 하게 되면 레일면에 공전홈이 생겨 레일의 수명을 단축하게함.
공전홈 (空轉 - , wheel burn)
동력차가 상구배 운전중 또는 평할선 운전 및 출발시 중량이 과다 하거나 레일면이 수분 강설 등으로 미끄러워 동륜이 레일위 제자리에서 헛바퀴가 돌아 생긴 레일표면의 흠.
공정 (工程, stage of work execution)
전체공사의 계획에서 각 공사의 단계에 대하여 역일(歷日)에 대한 공사의 진도를 나타내는 것.
공정능력도 (工程能力圖, process capability chart)
관리도의 일종으로 규모가 작은 공사나 또는 공사 초기에 있어서 Data수가 적은 경우에 규격한계선에 따라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
공정도 (工程圖, network)
망과 망을 연결하는 분기(branch)에 의해 표현되는 일종의 망상조직.
공정수 (工程水, process water)
제조공정중 원료, 반제품 또는 제품과 접촉하는 물.
공정표 (工程表, time schedule of works)
공사의 진행순서와 작업방법 및 작업일정을 종합한 공사의 진도를 나타내는 표. 이 공정표에 의하여 공사의 실시, 검토, 조정을 하여야 함. 공정의 표시법에는 막대공정표, 그래프식공정표, 네트워크에 의한 공정표 등이 있음.
공진 (共振, resonance)
어떤 진동계가 고유진동수 에 가까이 혹은 일치하는 주기적인 외력을 받게 될 때, 반응량(response)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 공명(共鳴)이라고 함.
공진주시험 (共振柱試驗, resonant column test)
일차원 파동 방정식을 기초로하여, 점성 감쇠(viscous damping)를 가정한 후, 일차 모드 공진 진동수를 측정하여 흙의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고, 자유진동감쇠곡선 또는 진동수 반응곡선의 폭으로부터 재료의 감쇠 특성을 구하는 시험. 시험장치는 일단고정 타단자유 시스템으로 코일과 자석을 이용하여 시료의 상부에 비틂을 가하거나 축방향 진동을 가하도록 되어 있음.
공차 (公差, tolerance)
재는 도기에 대하여 공인된 오차 또는 규정된 최대치와 규정된 최소치와의 차. 보기를 들면, 끼워맞춤방식에서의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와의 차.
공침 (共沈, coprecipitation)
어떤 물질이 단독으로 존재하면 침전하지 않지만 성질이 비슷한 다른 물질이 침전할 경우 함께 침전하는 현상. Mg의 경우 수산염으로 침전되지 않으나 Ca를 소량 첨가하면 Ca의 수산염에 다량의 Mg가 포함되어 침전함.
공칭강도 (公稱强度, nominal strength)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강도.
공칭 단면적 (公稱 斷面積, nominal section area of deformed bar)
강재의 비중을 7.85로 보고 계산한 이형철근의 겉보기 단면적. 즉, 공칭단면적 (cm) = [단위길이의 이형철근의 중량(g/cm)] / [7.85(g/cm3)].
공칭 둘레 (公稱 - , nominal perimeter of deformed bar)
이형철근의 단면을 원으로 가정하고, 그 공칭단면적으로부터 산출한 둘레.
공칭 모멘트 강도 (公稱 - 强度, nominal moment strength)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모멘트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모멘트 강도.
공칭응력 (公稱應力, nominal stress)
단면적의 변화를 무시하고, 변형전의 단면적을 사용하여 계산상으로 구한응력. 변형후의 단면적을 사용한 경우를 참응력이라 함.
공칭입경 (公稱粒經, nominal particle diameter)
주어진 입자와 같은 부피를 갖는 구의 직경.
공칭 전단 강도 (公稱 剪斷 强度, nominal shear strength)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전단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전단강도.
공칭치수 (公稱 - , nominal dimension)
어떤 재료의 실치수를 부르기가 어려울 때 편의상 알기 쉽도록 부르는 설계상의 치수.
① 굵은 체의 호칭치수는 101.6, 50.8 mm …… 등이나 공칭치수는 100, 50 mm로 함.
② 이형철근에서 공칭직경, 공칭단면적, 공칭둘레 등.
③ 굵은골재에 대하여도 굵은 체와 마찬가지로 공칭치수를 사용함.
공칭 하중 (公稱 荷重, nominal load)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면의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강도.
공항 (空港, airport)
항공 운송에 이용되는 공공용(公共用) 비행장으로서 항공기의 이착륙 및 여객, 화물의 운송을 위한 시설과 그 부대 시설 및 지원 시설을 갖춘 육상 또는 수상(水上)의 일정 구역.
공항감시레이다 (空港監視 - , airport surveillance radar)
공항에 설치되는 항공보안무선시설 (航空保安無線施設)의 일종으로서 공항을 중심으로 반경 60 ~ 80 마일의 유효 범위내에서 항공기를 탐지하는 레이다임. 약어 : ASR.
공항개발 기본계획 (空港開發 基本計劃, airport master plan)
항공 교통 수요를 충족하고 환경, 지역사회의 개발과 여타 수송 수단에 상응하는 미래공항 개발의 지침을 제공코자 작성되는 공항과 그 주변의 관련 지역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발 계획. 항공수요 예측, 재정 및 타당성 분석, 환경문제, 제반시설의 배치, 토지 이용계획 및 공항 접근 계획 등이 포함됨.
공항개발 중장기 기본 계획 (空港開發 中長期 基本 計劃, long and middle term airport master plan)
우리나라 항공법에서 정한 공항 개발 기본 계획 내용에 포함 하여야 할 사항중의 하나. 1994년 국내 처음 작성이 시도되었으며 민간 여객기가 운항하는 모든 국내 공항에 대한 중장기 개발 계획을 제시함.
공항관리지역 (空港管理地域, airport administration area)
공항관리 사무소, 항공회사, 공항 임차인(賃借人)의 관리 및 경영을 위해 준비된 모든 지상 지역 및 시설이 있는 지역.
공항구역 (空港 區域, airport area, airport zone)
공항으로 사용되는 지역과 공항의 확장 또는 신설을 목적으로 도시 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 시설 구역으로 결정되거나 국토 이용 관리법에 의한 공항 시설 구역으로 입지 승인을 얻어 주무 장관이 공항 개발 예정 구역으로 고시한 구역.
공항내 여객 수송 시스템 (空港內 旅客 輸送 - , intra airport transit system)
터미널 건물이 분산된 대규모 공항에서 항공기를 갈아타거나 탑승 또는 짐을 찾는 경우 등 여객이 같은 공항 내에서 이동할 때 이용하는 교통 수단. 약어 : IAT.
공항면탐지레이다 (空港面探知 - ,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
공항에 설치되는 항공보안무선시설의 하나로 비행장 표면의 제반 시설물, 항공기 등을 스코프에 나타내는 레이다임. 항공기가 비행장 위를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정보 수집에 사용됨. 약어 : ASDE.
공항 배후지원 단지 (空港 背後 支援 團地, community area)
주로 공항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공항 인근에 조성된 주거, 상업, 업무, 유통, 레저시설 및 공공시설 등이 들어서는 단지.
공항 시설 (空港 施設, airport facilities)
항공기의 이륙·착륙 및 여객·화물의 운송을 위한 시설과 그 부대시설 및 지원 시설. 항공법상으로는 공항 구역 안에 있는 시설과 공항구역 밖에 있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로서 주로 장관이 지정한 시설.
공항 실용용량 (空港 實用容量, airport practical capacity)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항공기 평균 지체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일정기간 안에 처리할 수 있는 항공기의 운항 횟수. FAA 지침서에는 1983년까지 PHOCAP(Practical hourly capacity), PANCAP(practical annual capacity) 로 구분하여 사용한 바 있음.
공항 연간 서비스량 (空港 年間 - , airport annual service volume)
공항에서 연간 수용할 수 있는 항공기의 합리적인 추정 운항횟수.
공항 용량 (空港 容量, airport capacity)
공항 또는 공항 관련 시설에 따라 결정되는 항공기의 시간당 최대 운항횟수. 활주로용량, 유도로 용량, 탑승구 용량의 영향을 받으며 활주로 용량의 영향이 가장 큼.
공항 포장 (空港 鋪裝, airport pavement)
공항의 활주로, 유도로 또는 계류장의 포장을 총괄하는 말. 포항공장은 포장의 기능에 따라 강성포장과 연성포장을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함. 설계법으로는 CBR법, FAA법, PCA법, COE법 및 shell 등이 있음.
공항포장 길어깨 (??空港鋪裝路肩??, airport pavement shoulder)
항공기 엔진에 이물(異物)이 흡입되어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활주로 유도로 및 계류장 포장 표면의 청결 유지와 항공기가 포장 밖으로 이탈할 경우 큰 손상을 예방하도록 처리한 포장의 접속부분.
공항 포화용량 (空港 飽和容量, airport ultimate capacity)
비행장의 용량을 나타내는 방법의 한가지로 항공기가 항상 이륙, 착륙준비를 하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일정시간동안의 항공기 최대운항횟수.
공해 (公海, open sea)
해양법적인 견해에서 해양은 공해(公海), 영해(領海) 및 내수(內水)의 3종으로 나누어지는데, 그중 공해는 어느 나라의 지배도 받지않고 각국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수역으로서 최근에는 어획제한(漁獲制限) 등 부분적인 제한은 두고 있지만 선박운항의 자유는 확보되고 있음.
공해 (公害, public nuisance, pollution)
인간이나 동물의 활동에 의하여 대기, 물, 토양 등 환경이 오염되어 동식물 및 인간의 생활, 건강, 생명에 피해를 주는 것.
공해공정시험법 (公害公定試驗法, KS method of examination for pollution control)
오염물질의 시험판정을 위한 방법을 기술한 법규로 폐기물, 수질오염, 대기오염 공정시험법 등으로 세분화 되어있음.
과고감 (過高感, vertical exaggeration)
한 쌍의 사진을 입체시 할 때 대상물의 실제 기복보다 입체시된 모형(model)에서는 기복이 더 심하게 보이는 현상을 말함.
과급기 (過給機, supercharger)
엔진이 흡입하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불어넣는 장치.
과냉수 (過冷水, supercooled water)
고체화 또는 결정의 형성이 없이 동결온도 이하로 냉각된 물.
과다짐 (??過轉壓??, overcompaction)
함수비가 높은 점토의 다짐에 있어서 다짐에너지가 과대하여 역으로 강도가 저하하는 현상. 화산회질(火山灰質) 점성토를 무거운 롤라로 전압(轉壓)시킬 때 잘 볼 수 있음. 오버콤팩션이라고도 함.
과다철근 보 (過多鐵筋 - , over-reinforced beam)
철근을 허용 최대철근비보다 많이 배근한 철근콘크리트 보로서, 취성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시방서에서는 이러한 보의 설계를 금하고 있음.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過 - 酸 - 消費量, potassium permanganate consumption)
음용수 수질기준중 심미적 영향물질의 기준의 하나로 그 기준은 10mg/L 이하임.
과보강 보 (過補强 - , over-reinforced beam)
→ 과다철근보.
과산화물 (過酸化物, peroxide)
O22-를 갖는 금속의 산화물로 물이나 산에 녹으면서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과선교 (跨線橋, overbridge, overpass, over-line bridge)
철도선로를 건널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교량으로 교면의 높이는 교량의 접속 부분의 종단 선형에 의하여 결정됨. 종류에는 과선도로교, 과선선로교, 과선인도교 등이 있음.
과소철근 보 (過小鐵筋 - , under-reinforced beam)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철근의 항복에 의한 파괴를 보증하기 위해 철근비를 평형철근비의 0.75배를 넘지않게 설계한 보.
과압밀 (過壓密, overconsolidation)
선행압밀응력보다도 낮은 유효응력상태에 있는 것. 흙이 과압밀상태에 있는 원인으로는 두가지가 있음. 첫째, 과거 현재에 받고 있는 유효응력보다도 큰 선행압밀응력으로 압밀되어졌다는 응력이력(履歷)이고, 또 하나는 고결작용 등의 효과임.
과압밀비 (過壓密比, overconsolidation ratio)
선행압밀응력 와 현재 받고 있는 유효압밀응력 와의 비. /=1의 상태가 정규압밀, / >1 의 상태가 과압밀임.
과압밀상태 (過壓密狀態, overconsolidation condition)
현재 받고 있는 유효압밀응력 보다 선행압밀응력 가 더 큰 상태. 즉 / >1 의 상태. 여기서, : 선행압밀응력, : 유효압밀응력.
과압밀점토 (過壓密粘土, overconsolidated clay)
선행압밀응력보다도 낮은 유효응력을 받고 있는 상태의 점토. 과압밀점토는 증가응력에 대하여 탄성적 즉, 가역적인 압밀을 하고 정규압밀점토에 비하여 압축성은 낮음.
과잉간극수압 (過剩間隙水壓, excess pore water pressure)
포화된 점토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생기는 간극수압. 과잉간극수압이 시간적 지체를 동반하며 소산되어 압축되는 현상을 압밀이라함.
과잉공기 (過剩空氣, excess air)
연료, 기타 가연물의 연소에 요하는 이론공기량보다도 실제에는 완전연소를 위하여 여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과잉공기는 기체연료가 가장 적고, 액체연료가 그 다음이며, 기체연료가 가장 많이 필요함.
과잉공기율 (過剩空氣率, excess air)
연소시 공급되는 공기량에서 이론적 공기요구량을 뺀 값을 이론적 공기요구량으로 나눈 값. 너무 작으면 불완전 연소 및 슬래그생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너무 큰 경우에는 열손실이 커짐. 보통 고체연료의 경우 40~100 %가 적정값임.
과잉양수 (過剩揚水, overdraft, excessive pumping)
지하수를 적합한 정도 이상으로 양수하는 것. 장기간의 과잉양수는 대수층 일대의 지하수위의 급격한 저하와 모래 배출을 초래하기도 하며, 충적층의 지반침하의 주된원인이 되기도 함.
과잉염소처리 (過剩鹽素處理, super-chlorination)
악취나 소독효과를 확실하게하기 위하여 과량의 염소를 주입하여 처리하는 방법. 소독후 과잉염소는 아황산가스 또는 아황산소다 등의 탈염소제나 활성탄에 의해 제거함.
과잉정수압 (過剩靜水壓, hydrostatic excess pressure)
간극수압이 정수압보다 큰 수압.
과잉취수량 (過剩取水量, over exploitation)
적절한 양을 초과하여 수자원 체계로부터 취하는 물의 양.
과좌식 모노레일 (跨座式 - , straddled type monorail)
궤도보에 매달려서, 동력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형식의 교통 시스템.
과주로 (過走路, over run)
항공기가 이착륙 실패시 큰 손상없이 정지하도록 활주로 양쪽 말단에서 바깥방향으로 마련된 긴 직사각형의 포장 구역. 시점부에 항공기 초과를 막는 저지그물망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음.
과포화 (過飽和, super saturation)
대기중의 수증기압이 포화증기압보다 커진 상태. 대기중에 응결핵이 거의 없거나 고른 크기의 작은 물방울 또는 수증기가 공존할 때 발생.
관 (管, pipe)
금속, 시멘트, 합성수지, 기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모양이 길고 속이 텅빈 물건. 기체나 액체 등의 수송 또는 유도에 사용됨.
관개 (灌漑, irrigation)
농업생산력을 높이기 위하여 농경지에 물을 인공적으로 배분하는 것.
관개농업 (灌漑農業, irrigation farming)
인공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관개에 의해 유지되는 농업.
관개면적 (灌漑面積, irrigation / irrigated area)
어떤 수원 또는 취수장에서 공급한 물에 의해 관개되는 경지의 면적.
관개용수 (灌漑用水, irrigation water)
관개에 사용되는 물. 용수원으로서 하천, 호수, 저수지, 지하수 등이 있음.
관개용수량 (灌漑用水量, irrigation requirement)
적절한 작물재배를 위하여 소요되는 물의 양. 강수량을 제외한 양.
관개효율 (灌漑效率, irrigation efficiency)
관개를 위해 사용된 물의 양에 대한 작물에 유효하게 사용된 수량의 비율.
관거접합 (管渠接合, pipe connection)
관거의 지름, 기울기, 방향이 변하는 장소 및 관거가 합류하는 곳에 맨홀을 이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하는 것.
관공작용 (貫孔作用, piping)
흙 구조물의 본체 및 기초지반속으로 침투수가 흘러서 침투수의 압력이 흙입자의 운동에 대한 저항보다 커질 경우에 흙입자가 움직여 내부의 흙이 세굴되고 그 결과로 지반 중에 구멍(물이 흐르는 통로)이 생겨 흙입자가 외부로 빠져 나오게 하는 작용. 이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이프런(apron)의 길이를 고려하거나, 널말뚝을 깊게 타설하는 등 침투수를 억제하는 방법을 강구하기도 함.
관광철도 (觀光鐵道, scenic railway)
주로 관광 목적을 갖는 이용자에게 교통을 제공하는 철도.
관능기 (官能基, functional group)
유기화합물에서 화학적 성질을 주는 원자 또는 원자단. 알콜의 성질은 수산기(OH-), 알데히드의 성질은 CHO기 등에 의해 나타나며, 그 밖에도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등이 있음.
관로 (管路, pipe line)
→ 관수로.
관로식냉각 (管路式冷却, pipe cooling)
댐콘크리트 타설 후에 미리 매몰한 얇은 철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댐콘크리트를 냉각시키는 공법.
관리비 (管理費, overhead cost)
건설기계를 보유하는데 소요되는 기계의 이동, 보관 및 격납비용 등 우리나라에서 건설기계구입가격의 금리보관겹립비용?제세 등을 말하며 이때의 가격은 평균가격으로 하고 있음.
관망 (管網, pipe network, line net)
그물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로. 어느 한부분이 막혀도 다른 관로를 통하여 물이 흐르므로 단수의 우려가 없는 것이 그 특징.
관성력 (慣性力, inertia force)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으로, 크기가 질량에 가속도를 곱한 것과 같고 방향이 가속도와 반대되는 힘.
관성 모멘트 (慣性 - , moment of inertia)
한 물체에서 각 구성 부분의 질량에 그 부분부터 어느 기준 축까지의 거리의 제곱을 곱하여 그 물체 전체에 걸쳐서 적분한 물리량.
관성집진장치 (慣性集塵裝置, inertial dust separator)
분진처리장치의 하나로 기류를 충돌 또는 반전 등의 방법으로 급격히 방향전환시킬 때 발생하는 입자의 관성력이나 원심력을 이용하여 가스와 입자를 분리시켜 집진하는 장치.
관수로 (管水路, pipe line, channel)
수로단면에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압력차에 의하여 흐르는 수로. 자유수면을 갖지 않으며, 자유수면을 갖고, 중력에 의해 흐르는 개수로와 구별됨.
관암거 (管暗渠, pipe drain)
토관이나 콘크리트관을 사용하여 이것을 땅속에 묻어 지하의 물을 흡수하는 장치로서 요즈음은 PVC관이 많이 쓰이고 있음.
관오리피스 (管 -, orifice meter)
관수로의 유량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기. 동심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통 관의 이음새에 삽입 연결함.
그림
관입시험 (貫入試驗, penetration test)
관(管), 봉(棒) 또는 원추(圓錐) 형태의 관입체를 정적 혹은 동적으로 지반에 관입시킬 때 저항에 따라 지반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을 통칭.
관입시험기 (貫入試驗機, penetrometer)
관입시험에 쓰이는 기계로 표준관입시험기(SPT), 콘관입시험기(CPT) 등이 있음.
관입암 (貫入岩, intrusive rock)
마그마가 지하심부로부터 지각(地殼)으로 상승하여 고결된 암석. 심성암, 반심성암 등이 여기에 속하고, 저반, 암상, 암맥 상태 등 여러가지 산출물의 형태가 있음. 화강암, 섬록암, 많은 종류의 암석이 여기에 속함.
관입전단파괴 (貫入剪斷破壞, punching shear failure)
재하에 의해서 기초가 흙속에 관입될 때 주위가 부풀어 오르지 않고 기초저부의 흙이 가라앉기만 하는 흙의 파괴. 이는 느슨한 모래 또는 연약점토지반에서 자주 일어남. 펀칭전단파괴라고도 함.
관정부식 (管頂腐植, crown corrosion)
하수관거에서 유기물의 혐기성 및 호기성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SO2 및 SO3가 관정부의 물과 결합 황산이 되어 관에 포함된 철, 칼슘, 알루미늄 등을 부식시킴으로써 관이 파괴되는 현상.
관제 (管制, surveillance and control)
교통상황 및 제어시스템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이 되도록 교통운영상의 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
관제구 (管制區, control area)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 m 이상의 높이의 공역 (空域)으로서 항공 교통의 안전을 위해 주무 장관이 지정한 구역. 항공 교통 관제구라고도 칭함. 약어 : CTA.
관제권 (管制圈, control zone)
공항 및 그 부근의 상공에 있어 항공 교통의 안전을 위해 주무 장관이 지정한 공역을 말하며 공항의 표점에서 반경 9 km의 원형으로서 높이는 지표로부터 900 m 까지로 되어 있음. 항공교통 관제권이라고도 칭함. 약어 : CTR .
관제탑 (管制塔, control tower)
비행장 및 주변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이착륙 순서의 지점 및 비행정보를 제공해 주고 항공 기간 분리를 유지시켜 공중 충돌을 방지하며, 공항 특정 지내에 항공기, 차량 및 인원의 이동을 통제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곳.
관측 (觀測, observation)
대상에 대하여 정성 및 정량적으로 헤아림(요소나 현상을 재고 추정)을 말함.
관측기록부 (觀測記錄簿, field note)
현장에서 측량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하는 기록장부를 말하며 야장(野帳)이라고도 함.
관측망 (觀測網, observation network)
특정지역내 특정현상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물과 같이 조직적으로 구성한 다수의 관측소 무리.
관측방정식 (觀測方程式, observation equation)
독립된 미지량과 어떤 관계를 가진 량을 직접 관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지량을 간접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관측값을 미지량의 함수로 표현한 식을 말함.
관측소 (觀測所, observatory gauging, observation station, observation post)
관측용 기기와 관측에 필요한 부지, 기타 관측에 필요한 조건 및 관측 시설을 갖춘 기관이나 장소.
관측시공법 (觀測施工法, observational procedure)
공사중 구조물이나 지반의 거동을 관찰 또는 현장계측하여, 필요한 경우 그것을 기초로 본래의 설계나 시공을 적절하게 수정하며 공사를 진행시키는 방법.
관측오차 (觀測誤差, error of observation)
어떤 량을 관측해서 얻은 값과 그 량의 참값 또는 이상적인 값과의 차를 말함.
관측우물 (“觀測井”, observation well)
→ 관측정.
관측점-기록년법 (觀測點-記錄年法, station-year method)
여러 독립적인 관측소들의 기록을 더하여 한 관측소의 기록과 같이 처리하는 방법. 각 관측소 기록년수의 합 만큼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함.
관측정 (觀測井, observation well)
지하수의 수두를 포함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의 변화 빈도와 크기를 관측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우물.
관측조사 (觀測調査, observation study)
넓은 의미로는 각종 사회현상의 조사가 모두 여기에 포함되나 교통분야에서는 보통 조사원이 직접 눈으로 현상을 관측하여 기록하는 조사기법을 의미함.
관측차 (觀測差, difference of observation)
각, 거리 등의 관측에서 동일대상에 대한 관측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말함.
관통식 정차장 (貫通式停車場, through station)
주로 시종점역의 형태에 의한 분류로서 선로에서 착발 본선이 정차장을 관통한 것으로 주요 건조물은 선로의 측방에 설치됨.
관할구역표 (管轄區域標, territorial jurisdiction boundary post)
관할하는 구역을 알리기 위하여 건식한 표.
광궤 (廣軌, broad gauge)
궤도는 그 궤간에 따라 광궤와 표준 궤간 및 협궤로 구별되고 있음. 궤간이 1,435 mm의 것은 표준궤간이라 하고 이 것보다 넓은 것은 광궤, 좁은 것은 협궤라 함.
광궤철도 (廣軌鐵道, broad gauge railway)
궤도는 그 궤간의 크기에 따라 광궤철도와 표준 궤간철도 및 협궤 철도로 구별됨. 궤간이 1,435 mm의 것을 표준궤간 철도라 하고, 이것보다 넓은 것은 광궤철도, 좁은 것은 협궤철도라 함.
광명단 (光明丹, red lead)
보일드유와 조합하여 녹막이 도료를 만드는 적홍색안료재.
광명단페인트 (光明丹 - , red lead paint)
적색 산화납(Pb3O4)을 안료로 한 방청페인트.
광물 (鑛物, mineral)
지각(地殼)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균질한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물로서 대부분 결정질로 되어 있음.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종류는 약 300종으로 이외에 특수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면 2000종 이상이 됨. 석탄, 석유는 유기물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광물에 속함.
광물조성 (鑛物造成, mineral composition)
흙이나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의 종류와 각각의 양의 비. 광물의 조성에 따라 광물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함.
광물학 (鑛物學, mineralogy)
광물에 관한 학문. 광물의 생인(生因), 산상(産狀), 성질, 형태, 종류, 용도 등을 연구하는 결정학, 열이나 전기 또는 탄성 등에 대한 광물의 물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광물 물리학, 광물 성분의 화학식을 연구하는 광물 화학 등이 이에 속함.
광분해 (光分解, photolysis)
광화학반응의 일종으로 빛이 지닌 에너지에 의해 화학물질이 분해되는 현상.
광산철도 (鑛山鐵道, mining railway)
철도의 수송목적에 의한 분류할 때 주로 광물 수송을 위하여 부설된 철도를 말함.
광산측량 (鑛山測量, mine surveying)
광산에 관한 일체의 측량을 말함.
광산폐수 (鑛山廢水, pit water, mine wastewater)
광산이나 제련소에서 발생되는 폐수로 산이나 알칼리, 중금속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적정하게 처리하지 않는 경우 환경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광석 부두 (鑛石 埠頭, ore terminal)
광석을 하역하는 부두로 대형 하역장비와 저광장(貯鑛場)이 필요함.
광석항 (鑛石港, ore harbor)
광석의 하역을 주목적으로 하는 항구.
광속조정 (光束調整, bundle adjustment)
각 점의 사진(photo)좌표를 기본단위로 사용하여 다수의 광속(bundle)을 공선조건에 따라 절대 좌표로 환산하는 기법임. 각 사진의 6개 외부표정요소()와 미지점의 광속이 공선조건에 의해 동시에 해가 구하여지는 조정방법으로 해석사진측량에 이용됨.
광역수도 (廣域水道, wide area water supply)
2개 이상의 도시에 걸친 수도를 종합적으로 계획 관리하는 수도.
광역오염 (廣域汚染, wide area pollution)
국지오염의 대응용어로 불특정 다수의 발생원에서 배출되어 불특정 다수의 지역에 피해를 미치는 오염현상.
광정웨어 (廣頂 - , broad crested weir)
웨어의 정점부에서 한계 흐름이 발생하도록 정점부의 흐름방향 폭을 길게 만들어 놓은 웨어.
그림
광천 (鑛泉, mineral spring)
상당한 양의 무기질 염기를 포함하는 샘.
광택 (光澤, luster)
빛의 반사에 의하여 물질의 표면이 번쩍이는 현상으로, 광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됨.
광파거리측량기 (光波距離測量機, electro optical distance meter)
측점에 세운 기계로부터 광파를 발사하여 이것이 목표점의 반사경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의 위상과 발사파의 위상차 및 시간차로부터 거리를 구하는 장비임. 광파는 전파와 달라서 구름과 비의 장애에 약하고, 또 관측 가능 거리가 짧지만 측량의 정밀도는 전파거리 측량기보다 높음.
광합성 (光合成, photosynthesis)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를 동화하여 유기물을 형성하는 과정. 주로 엽록소를 가진 식물에 의하여 행하여지나 조류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일부도 광합성작용을 함.
광화학 반응 (光化學 反應, photochemical reaction)
물질이 빛이 지닌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시킨 여기분자, 유리기, 이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해, 합성, 이성화 등의 반응. 대기 중의 질산화물, 탄화수소, 유황산화물은 태양광선에 의하여 여러가지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킴.
광화학 스모그 (光化學 - , photochemical smog)
대기중의 탄화수소, 질산화물과 자외선에 의한 광화학 반응에서 발생되는 산화제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스모그. 로스엔젤리스형 스모그라고도 함.
광화학적 산화제 (光化學的 酸化劑, photochemical oxidants)
→ 옥시던트.
괴상 (塊狀, massive)
층리, 편리, 절리 등이 비교적 적은 암석의 상태.
굄 ( - , chair)
철근콘크리트공사에 있어서 수평철근과 거푸집판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끼우는 것.
'토목자료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획홍수량/홍수위 (Design Flood Level) (0) | 2010.02.12 |
---|---|
경보수위 (0) | 2010.02.12 |
경계홍수위 (Warning Flood Water Level) (0) | 2010.02.03 |
강우레이더 (Rainfall Radar) (0) | 2010.02.03 |
강수량 (0) | 201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