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자료/용어사전

토목사전 (ㅂ)

건설+안전 2009. 12. 28. 11:11
반응형

 

바그리즐리 ( - , bar grizzly)
 
크러셔 속에 너무 큰 돌이 들어가지 않게 막는 병렬된 강봉.

바니시 ( - , vanish)
 
수지 또는 건성유를 피막원료로 하고 이것을 휘발유로 용해시킨 투명의 도료. 기름바니시와 휘발성바니시가 있음.

바다모래 (“海砂”, sea sand)
  →
해사.

바다 안개 (“海霧”, sea fog)
 
공기중의 수증기가 엉겨서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해수면 가까이에 연기처럼 끼는 자연현상.

바닥다짐공 ( - , ground sill)
 
하상, 홍수터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를 횡단해서 설치하는 공작물을 설치하는 공법.

바닥보 ( - , floor / cross beam)
 
교량의 바닥틀에서, 주형 또는 주 구조물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보.

바닥보호공 ( - 保護工, groundsill works)
 
하천에 보나 여수로를 설치할 경우 월류수에 의하여 하상이 세굴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하상바닥에 콘크리트나 블록, 사석을 포설하는 것.


그림

 

바닥시스템 ( - , floor system)
  →
바닥틀.

바닥층막쌓기 ( - - , coursed random work)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줄눈이 있게 하고 그 사이는 줄눈을 틀어 쌓는 돌쌓기의 한 방식.

바닥틀 ( - , floor system)
 
바닥을 만들고, 그 받는 하중을 주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조인데 보통 세로보와 가로보로 되어 있음.

바닥판 ( - , floor slab / deck, deck plate)
 
바닥면을 구성하는 나무, , 콘크리트 판.

바라스트 레규레이터 ( - , ballast regulator)
 
도상작업용 보선장비로 자갈정리 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로서 설포한 자갈을 스스로 달리면서 고르게 밀어 표준 도상단면의 형상을 정리하는데 필요에 따라 도상이 부족한 곳에는 도상표면의 많은 개소의 자갈을 밀어 소운반도 가능하며 브러쉬로 레일저부, 체결부, 침목상면의 청소까지 시행하는 장비.

바라스트 콤팩터 ( - , ballast compactor)
 
침목과 침목사이 및 도상어깨의 표면 다지기를 하여 침목을 도상내에 고정시키고 도상저항력을 증대케 하는 장비로 작업시 침목 상면의 청소까지 함.

바라스트 크리너 ( - , ballast cleaner)
 
도상작업용 보선장비로 자갈치기 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장비로서 궤도상을 천천히 달리면서 침목하면을 통하여 연결시킨 스크레이퍼 체인을 회전하면서 긁어올린 자갈을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과 선별된 자갈을 따로 반출하는 2종의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30240 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자갈을 쳐서 교환함.

바라스트 탱크 ( - , ballast tank)
 
선체에 적재한 양이 적은 경우 선체의 동요방지 또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저하적용의 탱크.

바라이트 ( - , barite)
 
황산바륨, 주로 고밀도차폐용 콘크리트에 쓰이는 골재로서 순수 또는 불순물의 형상으로 사용됨.

바람장미 ( - 薔微, wind rose)
 
바람의 분포를 하나의 원형 그림으로 나타낸 것. 풍향은 16개 방향, 풍속은 4개 정도의 범위로 분석하여 가장 빈번히 관측되는 풍향과 측풍의 정도를 파악하여 활주로 방향이나 항만설계에 사용됨.

바렐연마 ( - 鍊磨, barrel polishing)
 
주조품
단조품 또는 금형품의 소형제품과 반제품을 연마보조재와 규소 등의 연마제와 함께 용기에 넣어 회전 또는 진동시켜, 돌기와 피막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는 것. 회전연마 또는 덤블링이라고도 함.

바매트 ( - , bar mat)
 
용접 또는 결속선에 의해 연결된 서로 교차하는 2개 이상의 철근으로 조립된 것.

바솔리스 ( - , batholis)
 
규모가 대단히 큰 심성암의 암체.

바스킷형 커터헤드 ( - , basket type cutter head)
 
펌프준설선에서 수저의 토사를 끌어 일으키는 커터의 머리가 바스킷 모양으로 된 것.

바심질 ( - , trimming timber preparation)
 
목재, 석재 등을 치수금에 맞추어 깍고 다듬는 일.

바우 기호법 ( - 記號法, bow’s notation)
 
트러스의 부재 내력을 도해법으로 구하려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호.

바우싱거 효과 ( - 效果, Bauschinger effect)
 
재료의 탄성한계를 초과한 인장력을 가한 후에 압축력을 가하면 인장에 대한 탄성한계보다 낮은 응력상태에서 재료가 항복하게 되는 현상.

바이러스 ( - , virus)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살아있는 세포 밖에서는 독립적으로 증식과 대사를 할 수 없고 항상 숙주생물에 기생하여야만 증식할 수 있음.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 ( - , vibrofloatation method)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바이브로플로우트라 부르는 봉상진동체를 진동을 가하고 물을 분사하면서 지중에 관입시킴. 이 때 지반은 수평다짐이 되고 봉 주위지반에 발생하는 공극에 모래 또는 자갈을 투입하여 다지는 공법.

바이오가스 ( - , biogas)
 
생물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로 주로 메탄을 의미하며 최근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음. 원료로는 도시쓰레기, 하수오니, 유기성폐기물 등을 들 수 있음.

바이오매스 ( - , biomass)
 
특정 생물체의 양을 중량 또는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것으로 개체, 개체군, 군집 등에 대하여 쓰임. 최근에는 주로 발효를 통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의 양을 의미하기도 함.


바이패스 ( - , by-pass highway)
 
어느 지역을 우회시켜 통과교통이 그 지역을 통과하지 않게 하기 위한 도로로 그 지역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하는 지역간 교통을 원활하게 분산시키고 도입하는 역할도 함.

바자 ( - , hurdle)
 
말뚝을 적당한 간격으로 박고 여기에 섶, 철선 등으로 엮은 것.

바지선 ( - , barge)
 
토운선.
 
본선에서 내린 하물을 나르는 소형의 배(반대의 경우도 같음). 보통 50200 ton 정도의 것이 많고 목조와 강재의 2종류가 있음. 자항장치가 있는 것도 있으나 보통은 끌배로 끌게되어 있음.

바체어 ( - , bar chair)
 
콘크리트 설치전 및 설치중에 철근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

바퀴자국 패임 ( - , rutting)
 
가요성 포장에서 아스팔트 노면에 차량의 바퀴가 집중적으로 통과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움푹들어간 것.

바퀴트랙터 ( - , wheel tractor)
 
트랙터의 주행장치에 고무타이어를 가진 트랙터.

바퀴형 듀벨 ( - , ring dowel)
 
철제의 바퀴형을 한 듀벨로서, 목구조의 접합에 이용함.

바탕흠 ( - , micro-streak flow)
 
강의 다듬면에 있어서 그대로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 흠
핀홀공이나 모래등의 비금속 개  재물에 의해 생긴흠으로, 명확하게 기계가공에 의한 흠이나 구열등은 포함되지 않음.

바피더 ( - , bar feeder)
 
아스팔트 휘니샤를 구성하고 있는 부속품으로 홉퍼에 있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뒷쪽으로 보내는 역할을 함.

박락 (剝落, exfoliation)
 
층 사이에 박리가 생겨서 파괴되는 것.

박리 (剝離, spalling)
 
콘크리트 표면이 철근부식 등에 의하여 균열 발생된 후 파손되는 것.

박리방지제 (剝離防止劑, adhesion agent)
 
역청혼합물 중의 결합재가 물에 의하여 골재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역청재료에 첨가하는 것.

박리시험 (剝離試驗, stripping test)
 
친수성의 골재 표면에 부착된 역청재료는 물의 작용에 의하여 골재 표면에서 박리되기 쉬움. 이 박리정도를 구하는 시험으로, 박리된 역청재료의 양을 직접 구하는 방법과 박리에 의한 강도저하에서 간접적으로 구하는 방법이 있음.

박리현상 (剝離現象, separation)
 
유체의 흐름을 구속하는 수로 단면형이 변함으로 인해 벽에서 흐름방향으로 압력이 증가하여(역압력경사, adverse pressure gradient) 흐름이 벽면을 따라가지 않고 벽에서 분리되는 현상.

박막가열시험 (薄膜加熱試驗, thin surfacing test)
 
아스팔트의 침입도, 신도를 알기 위한 시험.

박스거더 ( - , box girder)
 
중공의 닫힌 단면을 갖는 상자형의 단면을 갖는 들보.

박스기둥 ( - , box column)
 
상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

박스모델 ( - , box model)
 
대상 영역내의 오염물질 농도가 균일하게 보여지는 경우에 박스내의 오염물질수지에 근거하여 그 농도를 예측하는 방법. 광역오염이나 고층건물에 둘러쌓인 지역의 농도예측에 사용됨.

박스아우트 ( - , box out)
 
상자와 같은 모양의 거푸집을 사용해서 콘크리트에 개구부 혹은 구멍을 만드는 것.

박스형 스프레더 ( - , box-hopper type spreader)
 
콘크리트 포장기계로서 박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공급이 전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는 박스의 장축을 횡방향으로 장착하고 측면덤프 트럭으로 공급하는 경우는 장축을 전후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음.

박지 (泊地, mooring basin, anchorage)
 
항내나 항외에 각종 선박이 정박대기하거나 수리 및 하역을 할 수 있는 지정된 수면을 박지라 하며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여야 함.

박층구조 (薄層構造, laminated structure)
 
같은 시기에 퇴적된 흙입자가 1장의 얇은( mm1 cm)지층을 이루고, 이와같은 지층이 여려겹으로 쌓여 호층(alternation of strata)을 이루고 있는 것. 엽리구조(葉理構造)라고도함.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 (薄層 - , thin-layer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으로 실리카겔, 알루미나 등의 흡착제와 석고를 사용하여 얇은 막을 만들고 그 표면에 용매를 이동층으로 이용하여 시료를 전개함. 조작이 간편하고, 분리능력이 뛰어나며, 검출속도가 빨라 부식성시료 및 유기, 무기물질의 분석에 사용됨.

박층토 (薄層土, laminated soil)
 
3 cm 이하의 얇은 층으로 이루어진 흙.

박층포장 (薄層鋪裝, carpetcoat thin surfacing)
 
표면처리의 일종으로 통상 가열아스팔트혼합물을 두께 2.5 cm 이하로 포장한 것.

박테리아 ( - , bacteria)
 
미생물의 한 종류로서 원핵생물의 하나로 세균이라고도 함. 단세포의 생물로 크기는 0.110um 정도이며 종류가 대단히 많고 공기, 토양, 수중에 존재함.

박판 구조물 (薄板 構造物, thin walled structure)
 
강 상자형 들보와 같이 부재의 각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 요소가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물.

반감기 (半減期, half-life)
 
안정상태가 아닌 입자의 수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자수가 1/2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냄.

반감응신호 (半感應信號, semi-actuated signal)
 
교차로에서 일부 방향(주로 부방향)만 감응식으로 운영되는 신호운영 방식.

반경 방향 변위 (半徑 方向 變位, radial displacement)
 
원통 좌표 및 극좌표상에서 구조해석을 수행할 경우 반지름 방향으로 발생한 변위.

반경 방향 변형도 (半徑 方向 變形度, radial strain)
 
원통 좌표 및 극좌표상에서 구조해석을 수행할 경우 반지름 방향으로 발생한 변형도.

반 길어깨 (半 路 - ”, partial shoulder)
 
1.251.75 m로 차량의 주행에 있어 큰 지장을 주지 않는 측방여유폭을 확보하고 승용차의 정차가 가능한 길 어깨.

반단면 굴착 (半斷面 掘鑿, half space excavation)
 
터널굴착시에 지반의 자립시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담면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 상부반단면을 선굴착하고 보강한 후에 하부 반단면을 굴착하는 터널굴착방법임.

반동수차 (反動水車, reaction turbine)
 
압력이 높은 유입부의 물이 유출될때 생기는 압력반동에 의하여 런너를 회전시키는 형태의 수차를 말하며, 낙차가 큰곳에 주로 사용하는 프란시스수차, 유량이 크고 낙차가 작은 경우에 적합한 프로펠러수차가 이에 속함.

반려암 (斑礪岩, gabbro)
 
조암광물이 주로 사장석, 휘석으로 구성된 완정질의 염기성 심성암.

반력 (反力, reaction)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지점에서 구속된 변위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

반력벽 (反力壁, abutment test wall)
 
대형구조물 시험에서 수평가력시 반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있는 벽.

반류 (反流, counter current)
 
연안에서 주로 지형의 영향에 따라 생기는 연안의 주요한 흐름과 반대 방향을 갖는 흐름.

반발률 (反撥率, rebound rate)
 
뿜어붙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벽에 접착되지 않고 바닥에 떨어지는 물량의 전체물량에 대한 무게비를 말함.

반복법 (反復法, iterative method)
 
비선형 방정식의 해법 등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일정한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해를 구하는 방식.

반복변수 (反復變數, repeating variables)
  Buckingham
π정리에 의하여 무차원량을 구할 때 반복하여 사용되는 변수들.

반복 응력 (反復 應力, repeated stress)
 
반복하중에 의해서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

반복전단시험 (反復剪斷試驗, cyclic shear test)
 
사질토의 액상화에 대한 저항평가나 흙의 동적 응력-변위관계를 구하기 위하여 흙에 전단응력을 반복적으로 가하는 시험으로, 진동삼축시험, 진동링전단시험, 진동원통시험 등의 시험방법이 있음.

반복 하중 (反復 荷重, repeated load)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반사검층 (反射檢層, reflection logging)
 
시추공 내에 삽입된 송수신기(送受振器)로부터 발사된 단파장(短波長)의 음파가 공내에 있는 물을 매체로하여 공벽과 송수진기 사이에서 다중반사(多重反射, multiple reflection)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검층방법.

반사식도로 (反射式道路, reflector button)
 
아스팔트 포장에 노면을 밝게 하기 위하여 명색골재를 사용해 포장한 도로.

반사식 실체경 (反射式實體鏡, mirror stereoscope)
  →
반사식입체경.

반사식 입체경 (反射式立體鏡, mirror stereoscope)
 
거울을 이용하여 한쌍의 입체사진으로부터 입체모형을 볼 수 있도록 한 장비임.

반사파 (反射波, reflected wave)
 
다른 종류의 매질의 경계면에 진행파가 입사하면 그 중 일부는 경계면을 지나 그 매질속으로 굴절해 들어가고, 나머지는 본래의 매질속으로 반사함. 반사하여 방향을 바꿔나가는 파동을 반사파라 함.

반송률 (返送率, recycle ratio)
 
반응조내의 농도를 원하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출부로부터 흐름의 일부를 유입부측으로 다시 보내며, 이때 다시 보내는 유량과 유입되는 유량의 비율.

반송수 (返送水, return water)
 
수처리시설로 되돌려 보내지는 물로 슬러지의 각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조 상등액, 소화조 상등액, 세정액 그리고 탈리액 등을 들 수 있음.

반송 슬러지 (返送 - , return sludge)
 
활성슬러지법에서 폭기조의 MLSS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2차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중에 폭기조로 반송하여 순환 사용하는 활성슬러지.

반수 치사농도 (半數致死濃度, lethal concentration 50)
  →
반수치사량.

반수 치사량 (半數致死量, lethal dose 50)
 
한 무리의 실험동물 50 %를 사망시키는 독성물질의 양 또는 방사선의 양. 독성물질의 경우 체중 1 kg에 대한 독성물질의 양으로 나타내며, 동물의 종류나 독물경로(구강, 경피)에 따라 치사량이 변하므로 이를 명기함.

반심성암 (半深成岩, hypabyssal rock)
 
화산암과 심성암의 중간의 조직을 나타내는 화성암. 세립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기질(基質)중에 큰 결정(반정)이 산재하며, 완정질의 반상조직이 특징임. 반심성암으로는 반암, 휘록암, 조립현무암 등이 있음.

반아치댐 ( - , semi-arch dam)
 
아치댐의 일종으로서 하폭이 다소 넓을 때 아치댐을 축조할 때 하천중간에 중력식댐을 연결하여 축조하는 댐의 형식.

반암 (斑岩, porphyrute)
 
사장석, 휘석의 반정(斑晶)을 주로 하는 반상(斑狀)조직의 대표적인 반심성암(半深成岩).

반원 아치 (半圓 - , semi circular arch)
 
리브의 형상이 반원형인 아치 .

반원형갈고리 (半圓形 - , 180°hook)
 
철근의 정착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갈고리의 일종으로서, 갈고리의 모양을 반원형으로 하며, 정착길이를 4 d 이상 또는 6 cm 이상으로 함.

반위 (反位, reverse position)
 
포인트는 임의의 방향으로 진로를 개통시킬 수 있으나 상시 개통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로 개통되어 있는 것.

반응성골재 (反應性骨材, reactive aggregate)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 속의 포틀랜트 시멘트의 용해생성물 또는 수화생성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물질을 함유한 골재.

반응시간 (反應時間, reaction time)
 
운전자가 장애물을 발견한 후 브레이크를 밟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시간(1.5)과 판단하고 나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까지의 동작시간(1.0)으로 약 2.5초 정도.

반일주조 (半日週潮, semidiurnal tide)
 
하루에 두번씩 고조와 저조가 반복되는 조석으로 주기는 대략 12시간 25분임.

반일주조력 (半日週潮力, semidiurnal force)
 
반일주조를 일으키는 주된 외력으로 태양과 달의 상대위치에 따라 결정됨.

반자동 신호기 (半自動 信號機, semi-automatic signal)
 
자동폐색 구간에서는 출발이나 장내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기.

반자동 아크용접 (半自動 - 鎔接, semi-automatic arc welding)
 
용접와이어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며, 용접 토치의 조작은 손으로 하는 아크용접.

반전식 수차 (反轉式水車, reversible turbine)
 
회전방향에 따라 양수기 또는 수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수력기계. 양수발전에 쓰이며, 전력수요가 적은 시간에는 양수기로 작동하여 물을 아래의 저수지에서 위로 끌어올리고 전력수요가 많은 시간에는 위의 저수지의 물을 아래로 흘려 발전을 하게 됨.

반죽질기 ( - , consistency)
 
주로 수량의 다소에 따르는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반죽질기미터 ( - , consistometer)
 
반죽질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

반죽질기실험 ( - 實驗, consistency test)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

반중력식 옹벽 (半重力式 擁壁, semi-gravity retaining wall)
 
중력식옹벽과 T-형옹벽의 중간 형태로서 벽체가 비교적 두터우나 배면 일부에 인장응력이 작용하므로 이를 철근으로 보강한 옹벽임. 높은 지반지지력이 예상되는 곳에 적용함.

반투막 (半透膜, semi-permeable membrane)
 
셀로판막, 콜로디온막, 동물의 방광막과 같이 콜로이드 입자와 같은 고분자 물질은 통하지 않지만 물이나 저분자 이온 등의 성분은 통과시키는 막.

반트호프법칙 ( - , Van’t Hoff rule)
 
생화학반응시 제한된 온도내에서 온도가 10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반응속도가 약 2배로 증가한다는 법칙.

반향곡선 (反向曲線, reverse curve)
 
곡선의 방향이 서로 다른 두개의 인접한 곡선을 말하며 곡선의 방향이 급변하여 차량의 원활한 운행을 기하기 어려우므로 양 곡선사이에는 상당 길이의 직선을 삽입하여야 함.

받침 ( - , bearing support)
 
구조물과 평면 또는 곡면으로 접촉하여 연직력을 지지하는 부분.

받침기둥 ( - , post support)
 
거푸집을 수직으로 받쳐 지지하는 가설기둥.

받침대 ( - , pedestal)
 
연직 또는 연직에 가까운 철근콘크리트 압축재로 그 높이가 폭의 3배 미만의 것.

받침판 ( - , bed plate)
 
교량의 받침부에서 반력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교위나 교각의 위에 놓는 판.
 
분기기에 사용하는 절제의 판으로 일반 궤도의 til-plate에 상당하는 것을 말함.

발광분광법 (發光分光法, emission spectroscopy)
 
, 전기, 빛 등의 에너지에 의하여 여기된 시료에서 방사되는 빛을 분광하여 스펙트럼의 유무, 강도, 분포상태 등에 의해 시료중의 원소를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로 금속원소의 분석에 사용함.

발라스트 도상 ( - 道床, ballast bed)
 
부순돌 또는 자갈을 사용한 도로바닥.

발뢰신호 (發雷信號, detonating signal)
 
천후상태로 정지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예기치 않는 지점에 열차를 정차시키는 경우 뇌관의 폭음으로서 현시하는 정지신호를 말함.

발수성시멘트 (撥水性 - , water repellent cement)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의 물의 흡수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조공정중에 발화성 재료를 첨가한 수경성 재료를 첨가한 시멘트.

발암성 물질 (發癌性 物質, carcinogen)
 
동물이나 사람에게 암을 발생시키는 천연 및 합성화학물질. 천연물질로는 식물기원의 물질, 곰팡이의 독, 불완전연소물 등이 있으며, 합성물질로는 식품 첨가물, 향료, 의약품, 농약, 공업화학물질 등이 있음.

발열량 (發熱量, calorific value)
 
단위질량의 물질이 완전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함.

발열반응 (發熱反應, exothermic reaction)
 
열의 방출을 수반하는 반응.

발염신호 (發炎信號, fusee signal)
 
예고치 않는 지점에 열차를 정차시키는 경우 신호염관의 적색화염으로 현시하는 정지신호.

발전기 (發電機, generator)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기구.

발전소 (發電所, power station)
 
발전을 위한 수차와 발전기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

발주자 (發注者, owner)
 
공사를 도급계약하는 주문자 또는 직영공사를 행하는 자.

발착선 (發着線, departure and arrival track)
 
열차의 발착에 사용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본선.

발파 (發破, blasting)
 
광산, 탄광, 토목공사 등에서 하는 폭파작업을 말하며, 콘크리트 등 구조물의 발파도 있으나 암석을 파괴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발파가 가장 많고 규모도 큼. 암석 발파에서는 암석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폭약을 장전해서 발파하는 것이 보통임.

발파공 (發破孔, blasting hole)
 
발파시에 화약을 장진하기 위해서 굴착하는 구멍을 말하며, 발파작업의 효과 및 발파 계획상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것은 시험발파에서 구한 암석계수로 공경과 공심을 구함.

발파기 (發破器, blasting machine, exploder)
 
폭약에 점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파장치로 점화기라고도 함. 현재에는 수동식에서 콘덴서식으로 바뀌어 출력이 일정해졌음. 메탄가스나 탄진에 대해 안전한 방폭구조를 가진 1종과 그렇지 않은 2종이 있으며 폭파회로에 있어서의 제발조건(齊發條件)은 발파기의 콘덴서 용량, 방전 전압, 부하저항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충족됨.

발파 분쇄대 (發破 粉碎帶, - )
 
발파시에 화약의 폭발에너지에 의하여 암반이 분쇄되는 일정한 영역을 말함.

발파 충격대 (發破 衝擊帶, blasting influence zone)
 
발파시에 화약의 폭발에너지에 의하여 분쇄가 될 정도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나 충격을 받은 영역을 말함.

발판용로프 ( - , footbridge rope)
 
케이블을 가설할 때에 바로 아래에 설치하는 적업용 발판을 지지해주는 로프로서 일반적으로 스트랜드로프를 사용하여 때로는 행거로프를 발판용로프로서 겸용하기도 함.

발포수지재료 (發泡樹脂材料, plastic foam)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를 발포시킨 재료.

발포제 (發包劑, gas foaming agent)
 
시멘트풀 속의 알칼리와 작용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하게 하는 혼화제. 보통 알루미늄 분말이 사용되고 기포제라고도 함.

발효 (醱酵, fermentation)
 
미생물이 산소분자가 없는 상태에서 당분을 분해하는 것으로 호흡과 함께 생물체가 유기물에서 에너지를 얻는 방식중의 하나임. 생성물로는 알콜, 지방산, 메탄 등이 있으며, 주류나 알콜, 발효식품, 항생물질, 균체의 생산 등에 이용됨.

방류 (放流, effluent)
 
원래 호수, 저수지에서 물을 이용함이 없이 내보내는것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함이 없이 유입된 상태로 그냥 흘려보내는 것을 일컫는 말이나, 단순히 하류로 물을 방출시키는 것을 말하기도 함.

방류공 (放流工, outlet works)
 
댐이나 발전소에서 홍수조절, 수력발전, 용수공급, 발전용 냉각수등 이수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제 시설을 말하며 취수시설, 여수로, 방수로 및 방류관 등이 포함됨.

방류구 (放流口, outlet)
 
방출되는 물을 흘려보내는 관이나 수로에서의 끝부분 시설을 통털어 말함.

방류수 (放流水, effluent)
 
공공하수도에서 하천이나 그 밖의 공공수역 또는 해역으로 흘려보내는 물. 방류수의 수질기준은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하여 규제됨.

방류수 수질기준 (放流水 水質基準, effluent standards)
 
수질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의한 하수, 폐수 및 분뇨종말처리장과 같은 종말처리 시설에서 처리수 방류시 적용되는 기준.

방류수역 (放流水域, receiving body of water)
 
종말처리시설에서 처리수가 방류되는 수역.

방류처분 (放流處分, effluent disposal)
 
종말처리시설에서 처리수를 방류수역에 유출시키는 행위.

방부제 (防腐劑, preservate)
 
목재 등이 부패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목재 표면에 칠하거나 목재 내부에 침투시키는 액체.

방부침목 (防腐沈木, treated sleeper)
 
목침목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주약 가공시킨 침목.

방사능 (放射能, radioactivity)
 
방사성 핵종이 붕괴되어 방사선을 방출하는 성질 또는 그 현상.

방사능검층 (放射能檢層, radioactive logging)
 
시추공의 자연방사능 또는 인공방사선원(人工放射線源)에 의한 방사능을 측정하므로써 토질을 조사하는 방법. RI 측정법(radio isotope)이라고도 함.

방사능 오염 (放射能 汚染, radioactive contamination)
 
방사성 물질에 의한 주변환경의 오염.

방사방향응력 (方射方向應力, radial stress)
 
축대칭상태에서 축방향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말함.

방사법 (放射法, method of radiation)
 
시준에 장애물이 없는 소지역의 측량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판측량의 한 방법으로서, 평판의 설치작업이 가장 간단하나 오차를 검사할 방법이 없음.

방사선 장해 (放射線 障害, radiation hazard)
 
생체가 방사선을 받아 발생되는 장해를 말하며, 노출 방사선량에 따라 급성 또는 만성의 증상이 일어남.

방사선 투과검사 (放射線透過檢査, radiograph test)
  X
선 이나 γ선 등의 방사선을 투과시켜 투과후의 방사선의 강도의 변형상태, 즉 투과 상태에 따라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는 검사.

방사성 동위원소 (放射性 同位元素, radioactive isotope)
 
방사능을 가진 동위원소.

방사성 물질 (放射性 物質, radioactive substance)
 
방사능을 가진 물질.

방사성 지시약 (放射性 指示藥, radioactive indicator)
  →
방사성 추적자.

방사성 추적자 (放射性 追跡者, radioactive tracer)
 
트레이서로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말함. 방사능에 의하여 물질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오염경로의 해명 등 분석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음.

방사성 폐수 (放射性 廢水, radioactive wastewater)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폐수로 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연구소 및 병원 등에서 주로 발생됨.

방사제 (防砂堤, groin, groyne)
 
하천이나 해안에서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토사의 퇴적을 유도하며 해안에서는 연안표사가 항내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안이나 해안으로부터 하천이나 바다쪽으로 돌출시킨 구조물.

방설림 (防雪林, snow drift prevention forest)
 
눈보라를 막기위하여 조성한 삼림.

방설설비 (防雪設備, defensive structure against show)
 
선로는 적설, 눈사태, 눈날림 등으로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 및 설비.

방설책 (防雪柵, snow fence)
 
방설을 목적으로 만든 울타리. 취지식과 취발식의 2종이 있음.

방수공사 (防水工事, waterproofing work)
 
건물의 지하실, 옥상, 물탱크 등에 물의 침입을 막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공사. 방수공에는 방수물질을 혼합수에 넣어 수밀콘크리트로 만드는 방법, 방수제를 표면에 칠하는 방법, 아스팔트, 콜타르, 핏치 등을 칠한 종이나 천으로 여러층의 방수막을 만드는 방법 등이 있음.

방수관 (放水管, sluiceway)
 
댐이나 저수지의 물을 하류로 보내기 위하여 제체내
외에 설치하는 수문이 설치된 수로를 말하며, 콘크리트댐에서는 제체내에 두어도 좋으나 사력댐의 경우에는 관을 따라 흐르는 침윤때문에 제체외에 두는 것이 좋음.

방수구 (放水口, outlet)
  →
방류구.

방수로 (放水路, tailrace)
 
수력발전용 수차에서 물이 방출되는 관의 끝 지점부터 하류 본하천에 이르기까지의 수로.

방수로터널 (放水路 - , ailrace tunnel)
 
용수의 확보와 홍수방지를 위하여 만든 수로를 말하며 특히 하구에 가까운 지구의 배수 계획에서는 하천에 직접 배수하는 것보다 다소 길어져도 하천을 따라 방수로를 만들어 직접 바다 또는 호수에 배수함.

방수막 (防水膜, water proof sheet)
 
방수를 위하여 구조물이나 물의 침투가 예상되는 곳에 형성시키는 막을 말하며 합성수지나 금속 등이 이용됨.

방수시멘트 (防水 - , waterproofed cement)
 
스테아린산 칼슘과 같이 물을 반발하는 재료를 혼화한 시멘트.

방수위 (放水位, tailwater level)
 
수력발전소에서 발전에 사용된 물을 방류할 때 하류 하천지점에서의 수위를 말함.

방수제 (防水劑, water-proofed agent)
 
모르터나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방수성을 증대시키는 혼화제의 일종.

방수지 (防水紙, waterproofed paper)
 
방수성이 있게 펠트에 아스팔트를 침투한 것 또는 방수용으로 만든 합성수지 천 등, 아스팔트 펠트, 아스팔트 루핑, 망형 루핑, 펄프대신 마포나 면포 또는 유리섬유, 구리망 등에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것도 있음.

방수 콘크리트 (防水 - , water proof concrete)
 
콘크리트 구조의 지붕 또는 벽체에서 물이 한면으로부터 다른면 또는 다른면에 접하는 공간에 실용적으로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그 침투를 방지하는 성능을 가지는 콘크리트임.

방수포 (防水布, water proof cloth)
 
방수 처리한 천으로 제작방법과 사용되는 방수제에 따라서 배킨토시, 오일 클로스, 콜탈 방수포등이 있음.

방습공 (防濕工, dampproofing)
 
모세관현상으로 습기가 콘크리트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법. 방습공은 본질적으로 방수공과 동일 하지만 방수공 보다 간략히 시공됨.

방식 (防蝕, corrosion protection)
 
강재의 표면에 도료를 칠하거나 화학적 전기적 처리를 통하여 강재의 표면에 녹이 생기는 것을 막는 것.

방식전류 (防蝕電流, anti-corrosive current)
 
전기방식법에서 부식을 막기 위하여 흘리는 전류.

방식피복철근 (防蝕被覆鐵筋, anti-corrosion coating bar)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의한 부식의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에폭시수지 등의 방식처리를 한 철근.

방오도료 (防汚塗料, antifouling paint)
 
구조물에 유해한 생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성질을 갖는 도료.

방위 (方位, azimuth)
 
어느 측선이 자오선과 이루는 0°~ 90°의 각으로 표현하므로 측선의 방향에 따라 부호를 붙여줌으로서 몇 상한의 각인가를 알수 있음.

방위각 (方位角, azimuthal angle)
 
자오선을 기준으로 어느 측선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수평각을 방위각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자오선의 북쪽(N)을 기준으로 하지만 남반구에서는 자오선의 남쪽(S)을 기준으로 함.

방위각법 (方位角法, azimuth method, full circle method)
 
각 측선이 진북(자오선)방향과 이루는 각을 우회로 관측하는 방법으로 다각측량에서의 각관측의 한 방법으로 노선측량이나 지형측량에 널리 이용됨.

방음식목 (防音植木, sound proof planting)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로변 등에 나무를 심는것.

방조게이트 (防潮 - , tide gate)
 
고조시에 바닷물의 침입을 막는 게이트.  → 방조수문.

방조보 (防潮洑, tidal barrage)
 
하구 또는 감조하도 구간에 설치하여 조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유수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로 하구둑은 이에 속함. 취수와 조수에 의한 염분의 침입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는 다목적 보 임.

방조 수문 (防潮 水門, tide gate)
 
조류가 어떤 한 방향으로 흐를 때는 열려서 해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지만 조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자동적으로 닫혀서 해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수문.

방조제 (防潮堤, dike, seawall)
 
해일 발생시 바닷물이 육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안을 따라서 설치하는 제방. 해안제방의 일종으로 간척제방(干拓堤防)은 그 대표적인 예임.

방진고무 (防振 - , rubber vibration isolator)
 
차량·기계·구조물 등에 붙여서 진동의 전달방지 또는 완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제품 또는  그를 포함하는 복합제품.

방진벽 (防塵壁, vibration isolation wall barrier)
 
건설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책.

방진재료 (防振材料, vibration absorber)
 
진동의 방지에 사용되는 재료, 주 된 방진재료는 고무, 금속스프링, 펠트, 코르크, 공기스프링, 오일템퍼 등이 있음.

방진지지 (防振支持, flexible mounting, elastic suspension, vibro-isolating support)
 
기계의 진동을 구조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고무나 스프링을 이용하여 기계를 지지하는 것.

방진처리 (防塵處理, dust laying)
 
기체내 분진을 중력, 관성력, 원심력, 전기력 등을 이용한 집진장치로 처리하는 것.
 
자갈길에 먼지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면에 역청재료나 화학약품 등을 살포하는 것.

방출계수 (放出係數, emission factor)
 
생산량과 공정 등에 따라 배출계수를 정함으로써 공장에서의 배기가스 유출량을 규제하는데 이용.

방출로 (放出路, escape)
 
비교적 소규모인 댐 또는 저수지에 안전을 위하여 댐측면을 따라 파놓은 수로로서 평상시에는 관개수로로 이용되기도 함.

방출수 (放出水, escapage)
 
방출로를 통하여 관개용수로 사용될 목적 또는 댐수위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방류되는 물을 총칭함.

방충재 (防衝材, fender)
 
선박의 충격에너지를 일부 흡수, 감소시킴으로써 선박과 접안시설을 보호할 목적으로 접안시설 등에 설치하는 시설.

방치균열 (放置龜裂, season crack)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는 사이에, 내부변형 등에 의해, 스스로 균열이 생기는 것.

방파벽 (防波壁, wave wall)
 
해안선 부근에서 파랑에 의한 월파 및 지반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체로 해일 방어의 목적도 겸하는 경우가 많음.

방파설비 (防波設備, defensive structure against wave)
 
해안 및 호안등에서 파도 또는 해일 등에 의한 선로나 철도 시설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임.

방파제 (防波堤, breakwater)
 
항내의 정온도를 유지하여 항내에서 선박이 안정되게 정박하여 하역하고, 항내의 수역 및 육지에 있는 모든 항만시설물을 파랑과 표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항만 외곽시설의 일부.

방파제 부두 (防波堤 埠頭, pier lead)
 
방파제를 따라 항내측에 간단한 접안시설을 설치한 부두.

방풍패드 (防風 - , blast pad)
 
이륙하고자 하는 제트기의 후류나 프로펠라 항공기의 바람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활주로 말단에 접속시켜 포장한 구역. 설계 항공기에 따라 그 폭 및 길이가 다르게 됨.

방해석 (方解石, calcite)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암광물로서, 석회암의 주성분광물이며 화성암에서는 부성분광물의 하나임. 통상 무색이나 투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염산에 쉽게 녹음. 암석의 경도는 모스경도로 3 정도로 비교적 무른편임.

방향각 (方向角, direction angle)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수평각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방위각도 방향각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음.

방향각법 (方向角法, method of direction)
 
관측방향이 많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어느 한 점으로 부터 주위의 점들을 순차적으로 관측하여 각 관측값의 차로서 구하는 방법임. 많은 각을 단시간에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정밀을 요하는 삼각측량이나 천문측량에서 많이 사용함.

방향 맞추기 (方向 - , plane-orientation)
 
평판상의 방위 또는 평판상에 전개되는 방향을 일정한 점에 고정시키는 작업임. 평판측량에서 표정이라고도 함.

방향별 분별배선 (方向別分別配線, classification by direction arrangement of lines track layout)
 
화차의 선행지가 여러방향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 이들을 분별하여 각 방향별로 정리하기 위하여 배치한 선로.

방향별 설계시간 교통량 (方向別設計時間交通量, directional design hourly volume)
 
양 방향을 기준으로 한 설계시간교통량에 방향별 분포비율을 고려하여 결정한 시간 교통량.

방향 여현 (方向 餘弦, directional cosine)
 
단면의 수직 벡터가 좌표축과 형성하는 각의 cosine .

방향족 탄화수소 (芳香族 炭化水素, aromatic hydrocarbon)
 
방향족 화합물중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화합물을 말하며, 벤젠 외에 나프탈렌, 크실렌, 안트라센 등이 있으며 수중에 잔류하여 어패류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음.

방형철탑 (方形鐵塔, rectangular steel tower)
  →
구형철탑.

방호벽 (防護壁, guard fence)
 
암반발파시에 떨어져 나오는 암석파편으로부터 시설이나 장비, 사람, 가축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벽을 말함.

방호시설 (防護施設, protector)
 
낙석, 붕괴, 파랑 등에 의하여 교통에 지장을 주고 또한 도로의 구조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는 곳에 이들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낙석 붕괴 방지시설과 파랑시설 등이 있음.

방호울타리 (“防護柵”, guard / safety fence)
 
주로 주행 중에 진행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길 밖으로 반대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도에 따라 설치하는 시설로 가드레일, 가드케이블, 가드파이프 등이 있음.

방화도료 (防火塗料, fire retardant paint)
 
불에 타기 어려운 도막형성 요소를 사용하거나 가열을 한 경우에 도막이 거품을 일으켜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만든 도료.

배각법 (倍角法, method of repetition)
 
한 각을 수회 반복관측하여 누적된 합을 반복회수로 나누어 정밀한 각을 얻는 방법임.

배각차 (倍角差, double angle difference)
 
분도원의 위치가 다른 관측간에, 또는 일련의 관측간에서 생기는 각 배각의 차이를 말함. 배각차의 크고 작음으로 관측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며, 여기에는 시준오차와 눈금읽기오차가 포함됨.

배관 (配管, plumbing)
 
급수 및 배수를 목적으로 건물내에 설치된 관이나 기타 설비.
 
위에 언급된 시설을 설치하는 것.

배관거 (配管渠, pipe duct)
 
많은 관을 매설할 때, 하나의 콘크리트시설물에 넣어서 배관하기도 하는데 이 시설물을 말함.

배관공 (配管工, plumber)
 
관로의 매설을 하는 기능자.

배관도 (配管圖, piping drawing)
 
급수, 배수, 급탕 및 난방 등을 위한 배관계통을 나타낸 도면. 관의 굵기, 길이, 위치, 펌프, 판의 위치를 나타냄.

배근 (配筋, arrangement of bar)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철근을 배치하는 것.

배근도 (配筋圖, bending schedule)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자가 도면으로써 제작하는 배근표로서 모든 철근의 모양과 치수 및 필요한 철근의 개수를 나타낸 것.

배기가스 (排氣 - , exhaust gas)
 
대기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배력철근 (配力鐵筋, distribution bar)
 
응력을 분포시킬 목적으로 주철근 또는 부철근과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배사구조 (背斜構造, anticline)
 
습곡구조에서 위로 불룩한 부분을 배사구조라 함. 이런 지역에 터널이나 댐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구조물의 설치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지중응력분포가 다양하며, 풍화대의 발달조건, 불연속면의 방향에 따른 기초지지력문제, 지하수문제(용수 및 침투압) 등에 대한 각별한 고려가 필요함.

배설시설 (排雪施設, snow melter facilities)
 
노면에 쌓인 눈을 녹이는 시설로 제운시설이라고도 함.

배수 1) (背水, backwater)
 
하천이나 개수로의 하류부에 댐이나 교각과 같은 장애물을 설치함으로써 하류수위의 영향이 상류로 전파되어 수위가 상승되는 현상.

배수 2) (排水, drainage, dewatering)
 
) 하천을 따라 자연상태에서 유역내의 물을 제거하는 것. ) 건축물이나 부지내에서 과잉의 물이나 오수, 폐수 등을 외부로 제거하는 것. )
배수공 등을 이용하여 과잉지표수나 지중수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
 
수중펌프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수직갱이나 케이슨속의 물을 제거하는 것.
 
지중의 과잉간극수가 수두차에 따라 낮은 수두지역으로 이동하여 수두평형을 이루는 것.

배수 3) (配水, water distribution)
 
배수지, 배수탑 또는 배수펌프장으로부터 급수구역으로 물을 보내는 것. 배수되는 물은 깨끗한 물이므로 충분히 보호하여 오염을 방지해야 하며 필요한 압력 하에서 보내져야 함.

배수곡선 (背水曲線, backwater curve)
 
배수의 영향으로 상승된 수위를 거리에 대하여 나타낸 수면곡선.

배수공 (排水孔, weep / drain / drainage hole, weep drain)
 
옹벽, 석축 등에서 배후의 지반 또는 성토층의 물을 빼기 위하여 벽의 표면까지 설치하는 작은 구멍.

배수공법 (排水工法, drain method)
 
지하수를 배제하거나 지하수위를 저하하는 공법을 총칭함. 배수공법에는 중력배수법과 강제배수법이 있으며, 전자는 자유수면을 갖는 우물에서 양수하는 것이고, 후자는 피압대수 혹은 진공배수공법임.

배수관 (排水管, drain pipe)
 
빗물이나 오수 등을 배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관을 말함.

배수관망 (配水管網, distribution network)
 
상수도 배수지나 배수탑 등으로부터 급수시설까지 정수를 운송할때 사용되는 배수관(配水管)이 격자형으로 설치된 형태를 말함. 배수관은 구경 400 mm이상의 배수본관과 그 이하인 배수소관으로 구별되고, 배수본관은 배수구역내 다수의 배수소관에 배수하는 간선이 됨.

배수구 (排水口, outlets)
 
불필요한 물이 빠지거나 물을 빼내는 곳.

배수구역 (排水區域, drainage district)
 
공공하수도에 의하여 하수를 배수할 수 있는 지역.

배수로 (排水路, drainage)
 
배수하기 위해 설치한 수로이며 수두차에 의하여 배수가 이루어짐.

배수면적 (排水面積, drainage area)
 
일반적으로는 배수구역내 면적을 말하며, 엄밀하게는 하수의 유출이 동반되지 않는 하천이나 호소 등이 차지하는 면적은 제외됨

배수불량 (排水不良, poor drainage)
 
건축물이나 부지내에서 생기는 우수, 오수, 폐수 등이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는 것.

배수설비 (排水設備, drainage facilities)
 
구조물 내외의 각 분야에서 나오는 오수, 잡폐수, 빗물 등을 밖으로 배제하여 하수 본관으로 이끌기 까지의 설비를 총칭함.

배수장 (排水長, length of drain path)
 
투수성이 높은 지층을 배수층이라 하며 압밀시 이 배수층까지의 거리를 배수장이라 함. 배수층이 양면에 있으면 배수장은 점토층 두께의 반으로 보며 점토층 하부에 투수성이 낮은 잔류토나 암반이 있는 경우, 배수는 상부층으로만 되므로 단면배수이고 배수장은 점토층의 두께로 봄.

배수장치 (排水裝置, drain facilities)
  →
배수설비.

배수전단시험 (排水剪斷試驗, drained shear test)
 
압밀배수전단시험을 약칭한 것임. 전단중에 흙 속에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하는 전단시험.

배수제 (背水堤, back levee)
  →
역류제.

배수조건 (排水條件, drain condition)
 
전단시험에서 공시체에 간극수의 출입을 제어하는 조건임. 물의 출입을 허용하면 배수조건이고 불허하면 비배수조건임. 전자의 시험에서 얻어지는 전단강도는 유효응력해석에 사용되며, 후자는 전응력해석에 사용함. 후자의 경우라도 간극수압을 측정하면 유효응력해석에 사용할 수 있음.

배수지 (配水池, distribution reservior)
 
시간적으로 변동되는 급수량과 1일 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처리되어 송수되는 정수량과의 시간변동에 따른 차이를 조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치된 대용량 저수지를 말하며, 유효용량은 계획 1일최대급수량의 8-12시간분을 표준으로 함.

배수탑 (配水塔, water tower)
 
배수구역내에 자연유하에 의한 배수를 가능하게 하는 배수지를 설치할 적당한 고지가 없는 경우나 배수구역 말단의 급수불량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시설중 하나.

배수터널 (排水 - , drainage tunnel)
 
배수용 터널굴착에 있어서 용수량이 특히 많은 경우에 본갱과는 별도로 배수나 수위저하를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임.

배압 (背壓, back pressure)
 
삼축압축시험에서 공시체 내부에 수압을 가하는 것을 배압이라 함. 이 때 배압과 같은 크기의 측압을 가하므로 공시체의 유효응력을 일정하게 유지함. 이로써 시료의 포화 및 간극수내의 기포를 액화시킴으로써 배수관의 air clogging을 방지할 수 있음.

배양 (培養, culture)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기르거나 조직의 한부분을 떼내어 기름.

배연탈황 (排煙脫黃, exhaust flue gas desulfurization)
 
연료가 연소될 때 아황산가스등과 같은 황산화물이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되며, 배연중에서 이를 제거하는 것을 말함. 습식과 건식의 두가지 방법이 있음.

배차 (配車, vehicle dispatching)
 
교통수단의 운영 용어로서 사람 또는 승객 또는 화물주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과 담당운전자를 배정하는 것.

배쳐 ( - , batcher)
 
콘크리트 재료를 계량하는 장치.

배출계수 (排出係數, emission factor)
 
도로상에서 공용되는 차량의 대기오염 배출계수로 각 대기오염물질별로 차종에 따라 시간당 배출량으로 나타내는 계수.

배출허용기준 (排出許容基準, effluent quality standard)
 
수질, 대기 등과 관련된 오염물질이 개별 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허용한계기준.

배치 ( - , batch)
 
콘크리트의 1회 비빔량.

배치믹서 ( - , batch mixer)
 
콘크리트 재료를 1회분씩 혼합하는 믹서.

배치플랜트 ( - , batch plant)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 또는 계량비비기를 하는 설비로서 각각 배처 또는 배처와 믹서를 가지고 있음. 비비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믹싱프랜트라고 함.

배터 ( - , batter)
 
수직 또는 수평으로부터의 경사.

배토말뚝 (排土 - , displacement pile)
 
말뚝을 지반에 타입하면 말뚝의 체적만큼 주변지반의 흙을 밀어내게 되는 말뚝을 배토말뚝이라 함.

배트 ( - , bat)
 
깨진 벽돌 또는 그 파편.

배합 (配合, mix proportion)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만들 때의 각 재료 (시멘트, , 골재 및 혼화재료)의 비율.

배합강도 (配合强度, target strength)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할 때에 목표로 하는 압축강도품질의 변동 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강도를 일정비율로 늘린 것이며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함.

배합설계 (配合設計, mix design)
 
구조물에 따라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워커빌리티 등을 가지는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가능한 재료로서 가장 경제적인 배합을 정하는 것.

배합시간 (配合時間, mixing time)
 
콘크리트용 재료를 믹서에 투입한후 믹서를 회전시켜서 비비는 시간.

배합주기 (配合週期, mixing cycle)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재료를 혼입하는 순서 및 시간.

배향곡선 (背向曲線, reverse curve)
 
접속점에 공통의 접선을 가지고 서로 반대방향인 2개의 곡선으로 구성된 곡선. 통상적으로 S자곡선이라 함.

배향구조 (配向構造, oriented structure)
 
점토구조의 한 형태. 흙입자가 특정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형태의 구조로, 담수중에 카오리나이트(kaolinite)와 같이 활성이 낮은 점토입자가 퇴적될 때 형성됨.

배향분기기 (背向分岐器, trailing turnout)
 
주행하는 열차가 분기기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진행할 때 배향이라 하며 운전상 안전도로서 배향분기기는 대향분기기 보다 안전하고 위험도가 적음.

배횡거법 (倍橫距法, double meridian distance method)
 
횡거[측선의 중앙으로부터 기준선(자오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 2배인 배횡거를 이용하여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각 측선들의 배횡거와 위거의 곱을 누적하면 배면적(면적의 2)이 계산됨.

백게이지 ( - , back gauge)
 
크로싱의 노즈레일과 가드레일의 플랜지웨이 간의 간격을 말하며 노즈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과의 접점에서 측정한 거리.

백그라운드 농도 ( - 農度, background concentration)
 
배출가스에 의한 오염도를 비교할 때 쓰이고 인공오염전 천연상태일때의 농도를 말함.

백삼십오도 갈고리 (百三十五度 - , 135°hook)
 
표준갈고리의 일종으로 예각갈고리라고도 하며, 갈고리의 내각이 135°를 이루고 있음.

백색시멘트 (白色 - , white cement)
 
보통 회색의 포틀랜드시멘트를 시멘트라고 부름에 반하여 산화철의 양을 적게한(0.61 %) 포틀랜드시멘트를 말함.

백색포틀랜드시멘트 (白色- , white portland cement)
  →
백색시멘트.

백 스테이 ( - , back stay)
 
주체의 경사를 가능한 한 적게하기 위하여 설계하는 지선 또는 지주.

백악기 (白堊紀, Cretaceous period)
 
지구의 역사를 동물화석의 변화에 의하여 구분할 때, 중생대에 속하는 1.41.6억년전의 기간.

백운암 (白雲岩, dolomite)
 
탄산염물질이 자생적으로 생성 집적된 침전암. 방해석의 칼슘이온의 일부가 마그네슘이온으로 치환되어 생성됨(CaMg(CO3)2.

백태 (白苔, efflorescence)
 
비바람에 바랜 콘크리트면에 자주 생기는 백색의 결정. 표층 콘크리트 중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이 물에 녹아 침출되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합한 것.
 
벽돌의 표면에 나타난 흰 가루. 백화라고도 함.

백필터 ( - , bag filter)
 
여과집진장치의 일종으로서, 글라스섬유, 합성섬유, 석면 등과 같이 짬이 미세한 자루 모양의 여재에 의해 분진기류를 걸름.

백호로더 ( - , backhoe loader)
  4
륜식 트랙터 전면에는 셔블로더가 붙어있고 그 후면에는 백호가 달려있어서 두 목적을 겸할 수 있는 굴착용 기계.

백화 (白花, efflorescence)
  →
백태.

밴드 ( - , band)
 
주철근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가는 봉강 또는 철선으로 띠 철근의 일종.

밴드레벨 ( - , bend level)
 
소음을 주파수로 분석하였을 때에 각 주파수대역을 통과한 그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분의 강도를 나타낸 것.

밴풀 ( - , vanpool)
  →
소형승합차 같이타기.

밸런스드 아치 ( - , balanced arch)
 
아치를 주구조로 하여, 그 양측을 지점을 넘어 확장한 구조. 확장한 부분의 선단을 지지시킨 구조로서, 그것을 켄틸레버로 하고 또한 현수교로 하는 경우도 있음.

밸런스박스 ( - , balance box)
 
크레인에서 균형을 잡는데 쓰이는 박스.

밸런스웨이트 ( - , balance / counter weight)
 
하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와 대항하도록 설계된 추밸런스 추라고도 함.

버니어 ( - , vernier)
 
프랑스의 버니어가 고안한 것으로, 분도원에 새겨진 최소 눈금의 이하를 읽기 위해 어미자(주척)에 부착한 자. 아들자 또는 유표라고도 함.

버드 ( - , berth)
 
각종 선박 1척이 점유하는 수역 또는 그것에 필요한 부두의 길이를 말함. 선좌라고도 함.

버력 ( - , muck, rock waste, mining / tunneling spoil)
 
터널굴착현장이나 광산 등지에서 갱도굴진, 채광, 선광 등의 과정에서 선별되어 나오는 무가치한 암석덩어리, 암석조각, 슬라임 등의 총칭으로 폐석이라고도 함.

버력싣는기계 ( - 機械, mucking loader)
 
터널의 굴착공사에서 버력을 버킷으로 버력차에 싣는 기계. 동력은 디젤, 전기, 압축공기 등을 사용함.

버력 운반 ( - 運搬, hauling)
 
터널굴착에서 발생되는 버력을 외부로 반출하는 이동행위.

버력차 ( - , mucking car)
 
갱내에 생긴 버력을 사토장으로 반출하는 운반차.

버력처리 ( - , mucking)
 
터널내에서 생긴 버력을 외부로 옮기는 작업으로 터널내에서 임시로 적재하거나 처리하기도 하며 사용갱도의 종류와 사용기계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음.

버스로케이션 시스템 ( - , bus location system)
 
노선버스의 운송효율과 서비스향상을 꾀하기 위해, 버스의 위치검지기를 설치하여 중앙콘트롤 센터에서 각 버스의 현재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버스의 출발간격을 조정하거나, 승격에게 버스도착  시각을 알려주거나 하는 시스템.

버스우선차선 ( - 優先車線, bus priority lane)
 
구간과 시간을 정하여 버스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는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버스가 우선하여 사용하도록 지정되어 있는 차선.

버스우선체계 ( - 優先體系, bus priority system)
 
도로 이용시 노선버스 등이 차선, 신호등 등을 타차량에 우선하여 사용할 수 체계.

버스전용차선 ( - 專用車線, exclusive bus lane)
 
한줄로 선 자동차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주행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띠모양의 도로부분으로서 전용으로 버스를 주행하는 차선교통관리 시스템의 하나로 대중교통인 버스만 전용으로 주행하는 차선.

버스정차대 ( - 停車帶, bus bay)
 
버스승객의 승강을 위하여 도로본선에서 분리하여 전용으로 설치하는 시설.

버스차선 ( - 車線, bus lane)
 
차선수가 여러 개중에 버스만 주행하는 차선.

버커 ( - , bucker)
 
리벳치기를 할 때 미리 형성된 리벳머리를 받쳐주는 공구. 인력보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공기커버가 있음.

버킷 ( - , bucket)
 
굴착, 적재, 운반용 기계에 있어 토사나 기타 재료를 싣게하거나 집어넣는 부분.
 
중력댐의 일류식여수로에서 댐하류에 연한 급경사 수로와 물받침 사이를 접속하는 수로구간.

버터링 ( - , buttering)
 
맞대기용접을 하는 경우에 모재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면에 더돋기를 하는것. 라메라티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

버터플라이 밸브 ( - , butterfly valve)
 
원관내에 1개의 원반이 있고 흐름과 직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열리고 닫힘. 직경이 큰 관의 밸브가 제조되어 발전소의 수압관에 많이 이용됨.

버트 심 용접 ( - 鎔接, butt seam welding)
 
맞댄 면의 일부를 가압하면서 전류를 공급하여 가열하고, 이것을 연속적 용접하는 저항용접주로 관을 제조할 때 사용됨.

버팀대 ( - , strut, bracing)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이나 수압 등의 외력을 직접 받는 벽체나 띠장을 지지하는 수평부재.

버팀목 ( - , blocking timber)
 
굴착공간을 지보하기 위해 사용하며 평보와 기둥을 일체로 연결하여 수평력을 버티는 부재를 말함.

버팀판 ( - , anchor plate)
 
널말뚝식 안벽에서 하부는 그 근입깊이로 버티고 상부를 버팀대로 배후의 흙속의 판에 고정하여 버틸 때, 이 판을 말함.

버페팅 ( - , buffeting)
 
유체중의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차량
항공기 등)의 후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주기적 혹은 불규칙적인 진동.

-커트 ( - , burn cut, Michigan-cut)
 
암발파공법의 일종으로, 발파공에 인접하여 화약이 장진(裝塡)되지 않은 나공(裸孔)을 발파공과 평행으로 천공하여 이를 자유면으로 이용하는 발파공법. 터널공사의 center cut 등에 흔히 적용됨.

벌개제근 (伐開際根, clearing and grubbing)
 
토공의 굴착 또는 성토의 시공에 앞서 절취부, 토취부, 성토부에서 풀이나 나무뿌리를 제거하는 표상깍기 및 이들의 처리를 말함.

벌브평형강 (球平形鋼, bulb flats / plates)
 
평강의 한쪽 끝에 돌기를 붙인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형강. 벌브플레이트라고도 함.

벌집구조 ( - 構造, honeycomb structure)
 
흙구조의 일종으로 비교적 느슨한 벌집모양의 흙입자 구조.

벌크시멘트 ( - , bulk cement)
 
포장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포대에 담지않고 그대로 출하하는 시멘트. 수송은 특별한 시멘트 전용 화차 또는 트럭을 사용함.

벌킹 ( - , bulking)
 
모래나 비소성질 실트는 56% 부근의 함수비에서는 입자표면수막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벌집(蜂巢)구조와 같은 성근 구조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부피가 크고 건조밀도가 최소로 됨. 이 때 겉보기(擬似)점착력을 보이며 다짐이 되지 않음. 그러나 함수비가 증가하면 표면장력이 작아지거나 소멸되고 단위중량도 증가함.
 
활성오니의 용적이 극도로 증대되고 밀도가 작은 플록이 발생되며, 침강성과 압축성이 저하되어 고액분리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 상태.  → 팽화.

벌킹슬러지 ( - , bulking sludge)
 
폭기조내의 DO, pH, 영양분의 불균형 등으로 인하여 벌킹이 일어나, 2차침전지에서 침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슬러지.

범람 (汎濫, flooding)
 
홍수시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서 자연 또는 인공제방의 뒷편으로 물이 넘치는 현상.

범람구역 (汎濫區域, flooding periphery)
 
높은 수위로 인하여 하천유량이 범람하는 영역으로서 재현기간별 홍수량에 따라 범람구역을 예측하여 지도에 표시한 침수예상지도도 있음.

범세계위치결정체계 (汎世界位置決定體系,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한 전천후 3차원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지구위치결정체계로서 미 국방성에서 1973년 이래 개발되어 가는 항법 및 위치 결정체계로서 고도 20,183 km 상공에 6개 궤도의 26개 위성(1995년 현재)으로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 후처리용 소프트웨어와 이용자 부분으로 구성됨. 위성신호측량이라고도 함약어 : GPS.

법선 (法線, normal line)
 
곡면상의 한 점에서 곡면에 접하는 직선에 수직한 직선.

법선 반력 (法線 反力, normal reaction)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반력 성분.

베나 콘트랙터 ( - , vena contracta)
 
단면이 급축소되는 관수로 또는 오리피스에서 분출되는 제트류에서 유선의 급격한 굴곡으로 압력이 정압력과 다른 분포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맥이 수축되는데 이때 단면이 최소가 되는 단면.

베노토굴착기 ( - 掘鑿機, Benoto excavator)
 
프랑스 베노토회사에서 개발한 베노토공법에서 현장치기 콘크리트말뚝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구멍파는 굴착기.

베노토말뚝 ( - , Benoto pile)
 
전 근입심도에 걸쳐 케이싱을 설치하는 모든 케이싱(all casing)공법의 일종임. 케이싱(casing)을 항타나 진동을 가하여 소정 심도까지 압입한 후 케이싱내부를 함마그라브를 써서 속파기한 다음 철근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함.

베니어 ( - , veneer)
 
통나무나 각재를 얇게 켜서 만든 나무판. 합판(plywood)을 만드는데 쓰임. 단판이라고도 하며 단판의 제조방법에는 로타리컷베니어, 슬라이스베니어 및 소드베니어 방법 등이 있음.

베니어합판 ( - 合板, plywood)
 
베니어를 몇 장 겹쳐서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합판.

베르누이정리 ( - 定理, Bernoulli’s theorem)
 
비점성, 비회전유체 또는 동일유선상에 있는 비점성, 비압축성 유체에 대한 Navier - Stokes식을 적분하여 얻어진 이론식으로서 위치에너지, 압력에너지 및 운동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는 정리임.

베르린넨 ( - , berlinen)
 
크고 작은 대리석의 파편을 사용한 테라조마무리칠의 일종.

베벨 ( - , bevel)
 
맞댄용접에 있어서 마구리를 V자형으로 넓힌 부분.

베벨각 ( - , bevel angle)
  V
형홈, H형홈 등에 있어서 부재의 가공면과 부재의 표면에 수직한 면 사이의 각도를 말함.

베벨각 절단 ( - 角切斷, bevel cut)
 
베벨각도를 이루도록 절단하는 것.

베쎌타원체 ( - 楕圓體, Bessel spheroid)
  1841
년 베쎌이 제창한 지구타원체로서, 장반경 a = 6377397.155, 편평률 f = 1/299.152813 을 취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측량법에는 측량의 기준으로 하는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베쎌값으로 규정하고 있음.

베이스 스크리드 ( - , base screed)
 
유공의 플랜지가 달린 금속제의 버이드(bead)로서 플라스터 바르기의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재료와의 경계를 만드는데 사용됨.

베이스 페이버 ( - , base paver)
 
기층재료의 부설에 사용되는 기계의 일종. 입도조정재료나 시멘트 안정처리를 시행한 흙 등을 홉퍼에 넣어 스크류스프레다에 의하여 소정 의 두께와 폭으로 부설하고 스크리드로 다짐을 실시함.

베이스 플레이트 ( - , base plate)
 
기둥 아래부분에 붙이는 두꺼운 강판으로 일반적으로 앵커 볼트에 의해 기초와 연결됨. 저판이라고도 함.

베인전단시험 ( - 剪斷試驗, vane shear test)
 
(+)자형의 저항날개(vane)를 지중에 관입, 회전저항치를 측정하여 전단강도를 추정하는 것으로 직접전단시험의 일종임. 원위치 점토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를 구하는 시험을 통상적인 베인시험(vane test)이라하며, 채취된 시료에 대하여는 토 베인(toe vane)시험이 있음.

베일러 ( - , bailer)
 
보링을 할 때 구멍 안의 붕괴한 토사 등을 끌어내는 기구.

베티 정리 ( - 定理, Betti’s theorem)
 
온도변화와 지점침하가 없는 임의의 선형탄성 구조물에 한 역계 A가 작용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사이에 다른 역계 B가 하는 외적 가상일은 역계 B가 작용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사이에 역계 A가 하는 외적가상일과 같다는 정리로서 1872년에 Betti 에 의하여 증명되었음.

벡터 (線追跡, vector)
 
크기와 그의 방향으로 결정되는 양
 
도형자료의 표현에서 선을 짧은 선분의 열로 표시하는 방법.

벤츄리 메터 ( - , venturi meter)
 
관수로에서 단면을 축소시킴으로서 발생하는 압력차를 액주계로 측정하여 관내의 유량을 알 수 있도록 고안된 유량측정기구.

벤츄리세척기 ( - 洗滌器, venturi scrubber)
 
세정 집진장치의 일종으로서, 벤츄리관의 슬로트부에서 세정액이 분사되어 미세한 미립자가 되며 그 표면에 오염공기중의 분진이 포집됨. 분진이 포집된 미세한 미립자는 사이클론으로 보내져 공기가 분리됨으로써 정화됨.

벤츄리플륨 ( - , venturi flume)
 
개수로에서 단면을 축소시켜

축소부에서 한계류(critical flow)가 형성되도록 설계된 수로로서 단구수로(段丘水路)라고도 하며 한계수심과 유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로를 흐르는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벤치 ( - , bench)
 
벤치커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

벤치식 굴착공법 ( - 掘鑿工法, bench cut method)
 
암반을 상부에서 평탄하게 여러 단의 bench를 만들어 위에서 대개 하향연직으로 천공하여 발파하는 공법으로 bench를 만들어 발파하면 상부면과 전면에 2개의 자유면이 있어 발파 효율이 좋고 천공 및 장약작업과 발생한 파쇄암의 처리에 장비의 투입이 용이함.

벤치커트 ( - , bench cut)
 
경사면에 성토할 경우 수평면을 만들기 위하여 경사면을계단식으로 절취하는 것. 층따기라고도함.
 
터널굴착과 같은 암절취공사에 있어 상부단면을 선진 굴착하여 수평면을 조성한 다음 하부  단면을 절취하는 공법.

벤켈만 빔 ( - , benkelman beam)
  Benkelman
이 고안한 포장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 알미늄빔의 전단을 일정한 윤하중을 가진 차량의 복륜간에 삽입하고 차량을 전진시켰을때의 포장표면의 복원량을 다이얼게이지로 읽어 내는 것.

벤켈만빔 변형량 ( - , Benkelman beam deflection)
 
벤켈만빔에 의해 측정한 노상 및 포장 각층면상(各層面上)의 변형량을 다이얼 게이지의 읽음에 서 최대의 변형량을 구함.

벤토나이트 ( - , bentonite)
 
점토의 일종으로 Na-montmonillonite가 주성분으로 약간의 석영, 장석 등을 포함한 것이 많음. 발견지인 미국 와이오밍주의 지층(포트벤토층)에 연유함. 백색, 회색, 담록색, 담갈색을 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함.

벤티드포움 ( - , vented foam)
 
된비빔 콘크리트의 물이나 공기를 추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

벨로우즈 신축관 이음 ( - 伸縮管 - , bellows expansion joint)
 
열팽창 및 축방향 변위 등을 파형상으로 가공한 관의 신축 굴곡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관이음.

벨앤드스피것이음 ( - , bell and spigot joint)
 
관의 이음을 코크(calk)나 주물로 잇는 형식으로 지름 150 mm 부터 1200 mm 사이의 주철관의 연결에 사용됨.

벨트 마무리 ( - , belt finishing)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에서 벨트를 이용하여 표면을 마무리하는 공법으로서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벨트콘베이어 ( - , belt conveyor)
 
벨트를 순환시켜 벨트에 얹은 물품을 운반하는 연속운반장치.

벨트트러스 ( - , belt truss)
 
고층 라멘구조의 중간층 부분에 설치하는 트러스 들보.

벨트프레서 ( - , belt pressor)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에서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보조기층을 주행하는 덤프트럭에서 콘크리트를 받아 벨트 콘베이어 등으로타설장소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기계.

벽개 (劈開, cleavage)
 
물질이나 결정조직이 파괴하기 쉬운 면을 따라서 깨지는 것. 암석에서는 특정한 결정면에 대하여 쪼개진 구조를 지칭하며, 쪼개진 면의 성질이 모암과 동일함.

벽개파면 (劈開破面, cleavage fracture)
 
재료가 취성으로 파괴될 때에 그 파괴면이 회백색으로 광택이 나는 파면을 말함.

벽돌 ( - , brick)
 
점토와 모래를 혼합해서 틀에 박아서 구워 만들거나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해서 틀에 박아 만든 제품. 토목, 건축공사에 많이 쓰임.

벽돌공 ( - , brick layer)
 
벽돌을 쌓는 기능자. 조적공이라고도 함.

벽돌쌓기 (煉瓦積, brick masonry)
 
벽돌을 겹쳐서 쌓는 공사.

벽돌포장 ( - 鋪裝, brick pavement)
 
벽돌을 도로표층에 사용한 포장.

벽면 경사계 (壁面 傾斜計, tiltmeter)
 
구조물의 하부굴착시에 지반내 응력변화에 의하여 구조물의 기울어지는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구조물의 벽이나 옥상에 설치하는 기울기 측정기임.

벽면마찰 (壁面摩擦, wall friction)
 
옹벽 배면이나 구조물과 흙과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

벽식구조 (壁式構造, bearing wall type structure)
 
보나 기둥을 두지않고 모든 하중을 슬래브와 벽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구조.

벽케이슨 ( - , wall caisson)
 
많은 케이슨을 연속하여 흙막이로 쓰는 경우를 말함. 케이슨은 흙막이로 쓰인뒤 구조물의 일부로도 이용됨.

벽확대기초 (壁擴大基礎, wall footing)
 
건물의 주변둘레의 연속적인 콘크리트벽이나 석공벽으로부터 오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띠 모양의 확대기초.

변곡점 (變曲點, inflection point)
 
휨 부재에서 처짐곡선의 곡률의 부호가 바뀌는 곳으로서 이 점에서 휨모멘트는 영이 됨.

변단면 부재 (變斷面 部材, nonprismatic member)
 
단면이 재축을 따라 변화하는 일차원 부재.

변반경아아치댐 (變半徑 - , variable center arch dam)
 
아아치댐의 일종으로 댐의 곡률반경이 댐 마루에서 제일 크고 기초부로 갈수록 감소되어, 댐 높이 전체에 걸쳐서 아치 작용의 효과가 최대로 되도록 내각을 거의 일정하게 설계된 것을 말함.

변성암 (變成岩, metamorphic rock)
 
변성작용을 받은 암석의 총칭으로 기존의 암석이 어떤 원인으로 생성시보다 큰 온도와 압력을 받으면 조암광물이 반응하여 새로운 광물이 만들어지며, 암석의 조직도 변함. 광물의 조성과 조직이 변화하여 이루어진 암석을 변성암이라 함.

변속구간 (變速區間, speed change section)
 
통과교통에 합류하든가 통과교통에서 이탈할 때에 필요한 속도까지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는 통과차선에 인접한 부가차선 구간.

변속차선 (變速車線, speed-change lane)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본선 교통류 속으로 들어가거나 그 속에서 빠져 나오려 할 때 본선의 교통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가속 또는 감속하기 위해 설치하는 차선으로 앞의 것을 가속차선, 뒤의 것을 감속차선이라 함.

변수위투수시험 (變水位透水試驗, falling head permeability test)
 
공시체에 물이 유입되는 쪽에 대롱을 세워, 수위의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공시체의 투수계수를 구하는 투수시험이나, 시추공을 이용한 현장투수시험에서 공내수위의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여 케이싱 선단부 지반의 투수계수를 구하는 시험.

변위 (變位, displacement)
 
외력 등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구조물내의 각 질점의 위치 변화.

변위도 (變位圖, displacement diagram)
 
외력 등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부재 또는 절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그림.

변위법 (變位法, displacement method)
 
구조물의 해석 방법의 일종. 구조물의 변위를 기본 미지수로하여 먼저 적합조건을 적용하고 최종적으로 힘의 평형조건을 적용하여 미지수를 구하는 방법.

변위제어 (變位制御, strain control)
 
역학시험이나 재하시험에 있어 하중재하점의 변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통상 변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재하방식변형율제어와 같은 의미로 쓰임. 변형율제어하기도함.

변위측정계 (變位測定計, extensometer)
 
터널의 굴착시 지하 내부의 정확한 관측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시공중 변위를 측정하여 터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기로 천단침하, 내공변위, 지중변위 관측에 이용됨.

변이온도 (變移溫度, transition temperature)
 
재료가 어떤 온도를 넘어서면 파괴의 양상이 급히 변하는 온도.

변장비 ( - , aspect ratio)
 
사각형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와 가장 작은 변과의 비.

변조건 (邊條件, side condition)
 
삼각망에서 어떤 한 변이 삼각형의 해법에 의해 순차 계산될 때, 계산순서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임.

변조전달함수 (變調傳達函數,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대상물의 농담을 영상으로 변환할 때의 대조 또는 진폭의 비이며, 해상력보다 정보량에 의해 영상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임약어 : MFF.

변질지수 (變質指數, alteration index)
 
암석의 포화함수율. 산출상이 같은 종류의 암석이 간극내에 흡수하는 량은 풍화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포화함수율을 변질지수라 함.

변태점 (變態點, transformation temperature)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켰을 경우에 어느 상이 다른 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변태라 하며,   태를 생성하는 점을 변태점이라 함. 철강에는 많은 상이 있어, 온도와 탄소 함유량에 대응하여  여러가지 변태점을 가짐.

변형 (變形, deformation)
 
외력 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부재 또는 구조물의 모양이 변하는 것.

변형 경화 (變形 硬化, strain hardening)
 
재료내에 발생한 소성변형에 의하여 재료의 소성 상태를 나타내는 항복 함수가 확장하는 현상등방성 경화(isotropic strain hardening), 일 경화(work strain hardening), 이동성 경화(kinematic strain hardening) 등이 있음.

변형계수 (變形係數, deformation modulus)
 
등방탄성체의 측면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할 경우 응력-변형률은 비례관계에 있으며 이때의 비례정수를 변형계수라 함.

변형도 (變形度, strain)
 
물체가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서 수직 변형도와 전단 변형도가 있으며, 변위의 공간 좌표계에 대한 미분항으로 표시됨. 수직 변형도는 단위 길이당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며, 전단 변형도는 찌그러짐의 정도를 나타냄.

변형도의 주축 (變形 - 主軸, principal axes of strain)
 
주 변형도(principal strain)가 발생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축.

변형도 타원 (變形度 楕圓, strain ellipse)
 
변형도의 크기 및 방향을 표시하는 타원.

변형속도 (變形速度, strain rate)
 
변형률의 시간적 변화량. 소성이나 점성을 갖는 흙의 응력-변형율 관계는 전단시 변형률속도에 영향을 받음.

변형 에너지 (變形 - , strain energy)
 
구조물에 발생한 변형에 의하여 구조물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

변형연화 (變形軟化, strain softening)
 
소성변형량이 증가하는 경우 재료의 항복응력이 감소하는 재료의 물성임.

변형 일치의 방법 (變形 一致 - 方法, method of consistent deformation)
 
응력법의 일종. 임의의 부정정 구조에서 부정정력을 제거한 정정구조의 외력에 의한 제거된 부정정력에 대응하는 변위는 부정정력을 정정구조물에 가했을 때 부정정력 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부정정력을 구하는 방법.

변형측량 (變形測量, deformation surveying)
 
사진측량이나 측지측량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변형과 안전성을 관측하여 진단하는 측량임.

변화류 (變化流, varied flow)
  →
부등류.

변환가치 (變換價値, transformed value)
 
교통시간의 가치를 화폐단위로 전환한 가치.

병렬단속필렛용접 (竝列斷續 - 鎔接, chain intermittent fillet welding)
  T
형 용접이음의 양면으로부터 단속 필렛용접을 하는 경우, 각각의 비드를 병렬로 두는 용접.

병렬용접 (竝列鎔接, chain welding)
 
인접하는 두열의 용접선에 따라 단속으로 용접할 때 상호간의 위치가 서로 나란하게 되도록한 용접.

병렬 터널 (竝列 - , twin tunnel)
 
터널굴착시 불필요한 굴착공간을 줄이고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한개의 대단면 터널 대신에 2개 이상의 소단면 터널을 병렬로 만든 터널.

병목 ( - , bottleneck)
 
도로망 또는 도로구간 중 교통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지점 혹은 구간으로서 교통체증과 교통혼잡이 심하게 일어나는 구간.

(, barrage)
 
각종 용수의 취수, 배수 및 주운 등을 위하여 일정 수심을 유지시키거나 조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시설물로서 목적에 따라 취수보, 분류보, 방조보로 구분됨.

보간 (補間, interpolation)
 
유한한 개수의 함수값과 기준함수를 이용하여 미지의 함수를 근사하는 기법.

보강재 (補剛材, stiffener)
 
외력에 의해 부재의 부분적인 변형으로 인한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보조적인 부재.

보강토공법 (補强土工法, earth reinforcement)
 
성토제방이나 벽체의 배면 또는 성토사면에 금속이나 합성섬유, 천 등의 보강재를 부설 또는 삽입하므로써 흙과 보강재가 일체가 되어 전단에 저항하도록 조성하는 공법임토압의 저감, 사면안정, 지지력 증대, 변형이나 침하억제에 사용됨.

보강트러스 (補剛 - , stiffening truss)
 
현수교
랭거교 등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트러스.

보강형 (補剛桁, stiffening girder)
 
현수교
랭거교 등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거더.

보관창고 (保管倉庫, storage house)
 
화물설비의 일종으로 화물을 보관하는 창고.

-기둥 ( - , beam-column)
 
축방향 하중과  휨 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

보기차 ( - , bogie car)
 
철도차량의 주행장치의 일종. 한 틀이 2축 이상으로 1조의 대차를 구성한 주행장치를 가진 차량. 보기대차는 차체중량을 각바퀴축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차체 접속부에서 중심핀을 통하여 차축회전이 가능하여 주행이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음. 2, 3, 4축 보기차 등이 있음.

보도 (步道, sidewalk, walkway)
 
차량의 통행과 분리하여 보행자(소아차 및 신체장애자용 의자차 포함)의 통행에 사용하기 위하여 연석, 울타리, 노면표시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별하여 설치되는 도로의 부분.

보도교 (步道橋, pedestrian bridge)
  →
인도교.

보도 브래키트 (步道 - , side walk bracket)
 
보도를 지지하기 위해 주형으로부터 옆으로 나온 캔틸레버형식의 구조부분.

보드버트조인트 ( - , board butt joint)
 
뿜어붙이기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경사를 붙여서 뿜어붙여 단부에서 두께 약 2.5 cm 정도로 수평이 되게 한 접합부.

보류 (補流, compensation current)
 
해수가 어떤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경우에 유체의 연속성으로 인해 다른 장소의 해수가 이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흐름을 말함.

보링 (試錐, boring)
  →
시추.

보링기 (試錐機, boring machine)
 
보링에 사용되는 기계

보링로드 ( - , boring rod)
 
보링시 비트 등에 연결하여 중력을 전달하거나 물을 보내는 동관.

보링선 (試錐船, boring ship)
 
해저 보링을 위한 작업선.

보링슬라임 ( - , discharging slime of boring)
 
보링할 때 굴착 누수에 섞어서 배출되는 것토층 판단에 참고가 됨.

보링주상도 ( - 柱狀圖, boring log)
 
보링을 하여 얻어진 지층의 층의 순서, 두께, 종류 등의 지식을 주상의 단면도로서 그린 것.

보상기초 (補償基礎, compensated footing)
 
양질의 지지층이 매우 깊어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 까지 전달하기 어려울 때에 터파기로 감소되는 지중응력을 상재하중에서 감하여 중간지지층에 기초를 설치하는 기초공법.  → 뜬기초.

보선 (保線, maintenance of way)
 
철도선로는 항상 열차하중과 기상조건의 변화로 점차 변상되어 가므로 철도영업상 열차운행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선로를 유지보수 하는 것.

보수 (補修, maintenance, repair)
 
구조물이나 설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점검수리.

보수요원 (補修要員, maintenance member / workman)
 
선로 등을 보수하는 직원을 말하며 보선원 등이 있음

보수용접 (補修鎔接, repair welding)
 
결함부, 치수, 형상 등을 수정하기 위하여 하는 용접.

보수조직 (補修組織, maintenance of organization)
 
선로 등을 보수하기 위한 조직을 말하며 보선사무소, 보선분소, 선로반 등이 있음.

보안장치 (保安裝置, safety device)
 
열차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로서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건널목 경보장치 등의 종류가 있음.

보울 ( - , bowl)
 
스크레이퍼나 불도저에 달린 운반함.

보울믹서 ( - , bowl mixer)
 
모르터를 혼합할 때 사용하는 믹서로서 회전날개를 상하로 움직여 원통형 그릇에 담겨진 모르터를 혼합하는 기구.

보유수 (保有水, retained water)
 
토양이나 암석층내에 존재하는 지하수 중에서 분자인력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분의 지하수를 말하며 중력의 힘으로는 분리되지 않음.

보유수율 (保有水率, specific retention)
 
포화대의 전체적에 대한 보유수가 차지하는 체적의 백분율로서 채수가능율과 대비됨.

보일러 ( - , boiler)
 
불꽃, 연소가스, 그 밖의 고온가스에 의하여 온수 또는 증기가 발생되는 장치로서, 온수를 얻는 것을 온수보일러, 증기를 얻는 것을 증기보일러라 함.

보일러용수 ( - 用水, boiler feed water)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을 말하며,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나 부득이 수질이 부적당한 물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전처리를 통하여 보일러의 부식과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함

보일러청정제 ( - 淸淨劑, boiler cleaning compound)
 
보일러의 부식이나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일러수에 첨가하는 화학약품으로,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타닌 등을 배합한 여러가지가 시판되고 있으므로 목적에 맞는 것을 택할 필요가 있음.

보일러효율 ( - 效率, boiler efficiency)
 
보일러에서 증발하는 증기가 가지고 있는 총열량을 보일러 가열에 이용한 총열량으로 나눈 것.

보장공급수량 (保障供給水量, safe yield)
 
저수지 또는 지하수에서 최악의 조건 즉 가뭄이 극심한 상황에서도 경제성을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량으로서 지하수의 경우 안전채수량이라고도 함.

보전 (保全, maintenance)
 
기계, 장치 등을 사용 또는 운용 가능 상태로 유지하거나 고장 결점 등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하는 모든 처치 및 활동의 총칭.

보정 강성도 (補正 剛性度, modified stiffness)
 
양단이 고정단인 부재의 강성도를 이용하여 한 개의 재단이 활절인 경우의 부재 강성도를 표시한 것.

보정구배 (補正勾配, compensated / compensating grade)
 
구배중에 곡선이 있을 때에는 열차의 저항은 구배저항이 가산되므로 이럴 경우에는 곡선저항과 동등한 구배량 만큼 최급구배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곡선저항을 선로구배로 환산하여 그 값만큼 실제의 구배에서 차인한 구배를 말함.

보정조사 (補正調査, control count)
 
상시 조사지점이 아닌 곳에서 실시하는 교통량 변화 형태를 보정하기 위한 교통량조사.

보조거더 (補助 - , auxiliary girder)
 
주 거더의 보조를 위해 중간 등에 넣는 거더.

보조구배 (補助勾配, assisting grade)
 
보조 기관차 구배, 구배가 급하여 보조 기관차를 사용하여야 하는 구배.

보조기층 (補助基層, sub-base)
 
노상 위에 놓이는 층으로 상부에서 전달되는 교통하중을 분산시켜 노상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

보조기층배수 (補助基層排水, subbase drainage)
 
노상이 불투성인 경우 노면에서 도로의 보조기층 내에서 노면으로부터 침투한 우수나 인접지로부터의 침투수 등을 모아서 배수하는 것.

보조기층의 마찰저항 (補助基層 - 摩擦抵抗, base course restraint)
 
보조기층 골재입자사이의 마찰저항(摩擦抵抗)으로 보조기층 골재의 입경분포 및 공극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음.

보조도상 (補助道床, sub-ballast)
 
수송량이 큰 선로에는 도상의 두께를 크게 해서 압력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또는 연약지반, 습지 등에서 배수를 충분히 하기 위해서 본 도상 하부에 두께 2030 cm 정도의 자갈, 석탄재, 호박돌 등을 깔아 놓은 것을 말함.

보조 비행장등대 (補助 飛行場燈臺 , auxiliary aerodrome beacon)
 
항행 중의 항공기에게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하여 모르스부호로써 켜지고 꺼짐을 반복하는 항공등화의 일종.

보조재 (補助材, secondary member)
  →
이차부재.

보조차선 (補助車線, auxiliary lane)
 
도로의 본선에 인접하여 주차, 변속, 회전, 대기, 엇갈림, 트럭의 오르막 주행 등 직진교통류의  보조통행을 위해 설치되는 차선.

보조철근 (補助鐵筋, auxiliary reinforcement)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싱 강재 이외에 따로 더 넣는 보통철근.

보조표지 (補助標識, supplementary sign)
 
보조표지는 주의, 규제, 지시 또는 안내표시의 주 기능을 보충하여 도로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표지.

보존계 (保存界, conservative system)
 
토탈 포텐셜 에너지가 하중의 작용 경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계.

보측 (步測, pacing, striding)
 
인간의 한 걸음의 보폭을 기준으로 거리를 관측하는 방법으로 먼 거리를 잴 때는 보수계(pecotometer)를 사용함.

보통궤도 (普通軌道, common track)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되며 견고한 노반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여 침목위에 두줄의 레일을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 노면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궤광과 도상을 총칭함.

보통수위계 (普通水位計, manual stage gauge)
 
자기수위계와 더불어 연중 계속하여 수위를 관측하는 수위계로서 기둥을 세우고 여기에 눈금판을 부착하여 고정하거나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등에 눈금판을 색인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만든 시설을 말함.

보통시멘트 (普通 - , normal portland cement)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보통압관 (普通壓管, pressure pipe)
 
최대사용 압력이 7.5 kg/cm2까지인 관. 상수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함.

보통역 (普通驛, ordinary station)
 
여객과 화물을 동시에 취급하는 역으로 운전상의 모든 설비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운전시설이 없는 소규모 역도 있음.

보통우량계 (普通雨量計, manual rain gauge)
 
구리 또는 아연도금된 원통형관 내부에 깔대기모양의 집수기를 넣어 빗물을 받은 다음 이를 눈금이든 유리관에 넣어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서 대개 직경이 20 cm, 60 cm 2종류가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됨.

보통침목 (普通沈木, common tie)
 
보통궤도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침목으로 침목의 기본.

보통침전 (普通沈澱, plain sedimentation)
 
침전지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을 낮추든가 또는 정지시키고,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응집· 침강되도록 하는 것.

보통콘크리트 (普通 - , normal weight concrete)
 
보통중량의 골재를 사용한 단위중량이 2300kg/m3 정도인 콘크리트.

보통포틀랜드시멘트 (普通 - , normal portland cement)
 
조강, 저열 등 특별한 성질을 갖지 않은 포틀랜드시멘트.

보행속도 (步行速度, pedestrian speed)
 
보행자들이 걷는 속도로 보행 용량 산정 및 보행신호시간 결정에 사용됨. 보통 초당 1.2m를 사용함.

보행자교통체계 (步行者交通體系, pedestrian system)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안전과 원활한 통행환경정비를 위하여 보행특성과 주변환경 그리고 그 밖의 교통수단과의 효율적 연계를 목적으로 한 종합적인 체계.

보행자도로 (步行者道路, pedestrian street)
 
보행자가 안심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설정하고 각종 시설물을 설치한 도로.

보행자몰 (步行者 - , pedestrian mall)
 
보행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출입금지 또는 진입금지 등의 교통규제를 행하는 보행자전용공간.

보행자 전용도로 (步行者 轉用道路, pedestrian road)
 
보행자만의 통행에 제공되는 도로. 도심지에서 보행자 교통이 대량 집중되는 장소 및 주택지 등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로.

보행자 조사 (步行者 調査, pedestrian count)
 
어느 일정시간에 어느 지점을 통과하는 보행자수의 조사.

보호 길어깨 (保護 - , soft shoulder)
 
길어깨를 기능상 분류한 것 중의 일종. 보호길어깨는 도로의 가장 바깥쪽에 있으며, 포장구조 및 노체를 보호하기 위한 길어깨의 일부로서 건축한계 내에는 포함되지 않음.

보호판 (保護板, rack bar, guard board)
 
화물 등 짐을 취급할 때 하물 및 벽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판.

복개수로 (覆蓋水路, covered open channel)
  →
복개하천.

복개하천 (覆蓋河川, covered river)
 
도시하천 등에서 도로나 주차장 등 하천에 통수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로의 개방단면을 인공적으로 슬래브 등을 만들어 덮은 하천으로 하천환경관리 측면에서 많은 문제성을 야기시키고 있음.

복공 (覆工, lining)
  →
라이닝.

복공판 (覆工板, lining board)
 
도로 밑을 굴착할 때에 위의 도로면에 나란히 까는 가설재로 사용되는 판.

복단면 차도 (複斷面 車道, double formation road)
 
교통방향에 따라 도로면의 높이를 달리하는 도로.

복동식잭 (複動式 - , double acting jack)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있어 PS강선의 정착방법의 하나인 프레시네공법에 쓰는 특수한 잭. 잭 한대로 PS강선의 긴장 및 정착기능을 가짐.

복동윈치 (複胴 - , double hoist)
 
실린더가 2개로 된 동력윈치. 양정이 세밀하므로 트러스가설에 유용함.

복동항타기 (複動抗打機, double acting pile hammer)
 
램을 끌어올릴 때 뿐만 아니라 낙하시킬 때에도 증기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항타기. 증기 또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램의 자중에 가해져 말뚝에 큰 힘을 줌.

복레이싱 ( - , double lacing)
 
조합부재를 형성하는 요소 부분으로 두 사재를 서로 교차되게 하여 각, 재편의 좌굴을 방지한 것.

복류수 (伏流水, percolated / infiltrated water)
 
지하수의 일종. 하천, 활용수의 저부 또는 측부의 모래층 속을 흐르는 물.

복류수 유출 (伏流水 流出, subsurface flow)
 
강수 등의 일부가 지표토양 속에 침투하여 지표에서 가까운 상부토층을 통해 하천으로 나가는 흐름으로 지하수위 보다 높은 층을 형성하게 됨.

복복선 (複複線, four-track line, quadruple line / track)
  4
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선로.

복부 ( - , web)
 
들보의 복부주로 전단력에 저항하는 목적을 가짐.
 
[]보통, 뼈대의 깊이방향을 구성하는 부분.

복부리브 ( - , web rib)
 
복부판의 보강용으로 설치하는 리브.

복부재 (腹部材, web member)
 
트러스의 사재, 수직재 등의 총칭. 웨브부재라고도 함.

복부철근 (腹部鐵筋, web reinforcement)
 
슬래브 또는 보에서 사인장응력을 받는 수직 또는 경사 철근.

복부판 (腹部板, web plate)
  →
복부플레이트.

복부 프레임 ( - , web frame)
 
선체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대형 프레임. 특설늑골이라고도 함.

복부 플레이트 ( - , web plate)
 
플레이트 거더와 충복기 둥의 복부부분을 형성하는 판.

복 분기기 (複 分岐器, double turnout)
 
하나의 궤도에서 3 또는 2 이상의 궤도로 분기할 수 있도록 설치한 설비.

복 사재 (複斜材, double diagonal member)
 
트러스의 한 격간내에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된 두 개의 사재.

복선 (複線, double track / line)
  2
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선로.

복선교 (複線橋, double-track bridge)
  2
개의 궤도를 병렬로 지지하는 철도교.

복선구간 (複線區間, double track territory)
  2
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각 지역간 구역.

복수공법 (復水工法, recharging method)
 
터파기 공사시 배수에 의하여 주위지반이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수량과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샌드파일(sand pile) 등을 통하여 중력차를 이용하여 물을 충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지하수위를 회복하는 공법임.

복수 활주로 (復數 滑走路, dual-lane runway)
 
두개의 활주로가 좁은 이격 간격을 가진 평행활주로 형태의 일종. 단일 활주로보다 시계비행 방식(VFR)에서는 70 %, 계기비행방식(IFR)에서는 60 % 용량증대 효과가 있음.

복식아크용접기 (複式 - 鎔接機, multiple operator arc welding machine)
  1
대의 용접기로 2인 이상의 용접작업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아크용접기.

복식트러스 (複式 - , multiple truss)
 
휫플트러스 등과 같이 1격간에 2개 이상의 사재를 갖는 트러스.

복 와렌트러스 ( - , double warren truss)
 
복 사재를 설치한 와렌 트러스.

복원력 (復元力, restoring force)
 
변형한 탄성체가 원래의 모양으로 회복하려고 하는 힘.
 
부체가 평형상태에서 벗어났을 때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복원모멘트 (復元 - , restoring moment)
 
물위에 떠있는 부체가 평형상태에서 기울면 부체의 중심은 변하지 않으나 부심은 변하게 되는데 이때 부체를 처음의 평형상태의 위치로 회복시키려는 모멘트를 일컬음.

복잡 트러스 (複雜 - , complex truss)
 
단순 트러스에도 복합 트러스에도 속하지 않는 내적으로 안정한 트러스. 일반적으로 복잡 트러스의 몇 개의 부재를 같은 수의 다른 부재로 적당히 치환하면 단순 트러스나 복합 트러스로 됨.

복전단 (複剪斷, double shear)
  →
이면전단.

복진 (匐進, creeping, rail creepage)
 
열차의 주행과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레일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복진방지장치 (匐進防止裝置, anticreeper)
 
열차의 주행과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레일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로서 레일과 침목간, 침목과 도상간의 마찰저항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음.

복철근 (複鐵筋, double reinforcement)
 
철근콘크리트의 보나 슬래브와 같은 휨부재에서 인장측과 압축측에 모두 철근을 배치한 것.

복축 (複軸, double axes)
 
탠덤롤러의 축이나 트레일러 등의 경우와 같이 바퀴축이 2개이상 인접되어 있는 차축으로서, 탠덤축이라고도 함.

복합곡선 (複合曲線, compound curve)
 
같은 방향으로 굴곡되고 접합점에서 공통접선 또는 완화곡선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다른 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 도로설계에 있어 큰 원과 작은 원과의 반경의 비가 크지 않을 때는 2개의 원곡선을 직접 접속시켜도 좋음.

복합기초 (複合基礎, combined footing)
  2
개 이상의 기둥을 한개의 단위로 묶은 기초임. 독립기초가 매우 근접하여 있던가 큰 편심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적합.

복합단면 (複合斷面, compound cross section)
 
수로단면이 구형, 제형, 원형 등 한가지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하천과 같이 일정한 형태없이 혼합되어 있는 단면으로 이 경우 수위, 유량에 따라 조도계수도 달라짐.

복합레일 (“複合軌條”, compound rail)
 
레일두부에 한하여 내마모성이 큰 특수강을 사용하여 제작한 레일로서 두부에 고탄소, 크롬강을 복부, 저부에는 저 탄소강을 사용한 것으로 내마모 레일은 보통레일의 약 6배의 내구력이 있음.

복합 트러스 (複合 - , compound truss)
  2
개 이상의 단순 트러스를 내적 안정을 유지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연결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여 만든 트러스.

복합판 (複合板, combined type bearing support)
 
한 방향의 접촉면을 평면, 타방향을 원통면 또는 구면으로 한 베어링 플레이트나 슬라이딩 플레이트로 상부 및 하부를 면접촉시킨 받침형식.

복합형준설선 (複合型浚渫船, combined dredger)
 
버킷굴착기로 굴착한 토사를 일단 이창에 넣은뒤 송이관을 거쳐서 배송하는 준설선.

복합활동면 (複合滑動面, compounded slip surface)
 
복수의 원호와 평면이 조합된 전단활동면의 형태로서 지형이나 지층조건에 따라 이런 형태의 활동면을 예상할 수 있음.

본둑 ( - , main levee)
 
유수가 하도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하도의 양안에 축조하는 제방을 말함.

본드 ( - , bond)
 
재료 상호간을 고착시키기 위하여 만든 무기 또는 유기약품.

본드이음매 ( - 繼目, bonded joint)
 
레일을 자동신호기의 전기회로로 사용할 경우 또는 전철구간에 있어서 레일을 전차전류의 귀선으로 이용할 때 보통이음매 구조로는 전기저항이 크므로 레일의 양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히 접합시킨 이음매.

본드플라스터 ( - , bond plaster)
 
일체식(monolithic) 마무리의 콘크리트에 시공할 밑바름용으로 배합된 석고플라스터.

본디드 플럭스 ( - , bonded flux)
 
서브머지 용접용 플럭스의 일종으로 분상원료에 액상고착제를 혼합하여 섞어 키룬 등을 사용하여 입자를 만들고 건조(섭씨 400-600
)시킨 다음 체가름을 하여 입도를 정리한 것

본뜨기 ( - , mould plating)
 
판을 대고 설계된 모양대로 사용재료에 옮겨 그리는 것.

본뜨기판 ( - , mould plate)
 
복잡한 리벳구멍 위치를 자 맞추기 위해 실물을 따로 만들어 그것에 꼭 맞게 구멍을 뚫게 하는 형.

본선 (本線, main line)
 
열차의 운전에 상용할 목적으로 설치한 선로.

본선 이행 (本線 移行, lane shift)
 
평면교차에 있어서 교차점의 교통용량을 높이기 위해 회전차선이나 변속차선을 설치하는 것.

본자노이음매판 ( - 繼目板, bonzano splice plate)
 
앵글 이음매판 중앙에서 앨글하부 플랜지를 다시 연직방향으로 꾸부려 보간한 이음매판으로서 강도는 크나 이음매부 도상작업이 불편함.

본진 (本震, main shock)
 
일반적으로 큰 지진 후에는 이에 이어 작은 지진이 빈발함. 전자를 본진이라 하고, 후자를 본진에 대하여 여진(余震,after shock)이라 함.

볼관입시험 ( - 貫入試驗, ball test)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시험방법의 하나이며 반구상의 선단을 가진 매입봉의 매입량으로 측정함.

볼록 곡선 ( - 曲線, crest curve)
 
볼록한 형태의 종단곡선.

볼록부 ( - , crest hump)
  2
개의 경사부의 접속에 의하여 생기는 부푼 부분.

볼밀 ( - , ball mill)
 
분쇄능력이 큰 수평원통모양의 회전분쇄기.

볼조인트 ( - , ball joint)
 
관류의 접합부가 구상을 이루고 있어 입체적으로 힌지역할을 하는 접합.

볼텍 ( - , VORTAC)
 
초단파 전방향 무선 표지시설 (超短波 全方向 無線 標識施設, VOR)과 전술항법장비 (戰術航法裝備, TACAN)을 병용 (倂用)한 시설의 약어(略語).

볼트 ( - , bolt)
 
철골이나 목구조에서 부재를 서로 연결할때 쓰이는 나사가 달린 연결용 기구임. 모양은 단면이 원형이고 두부를 갖고 있으며 두부의 모양은 6각 기타 4, 원형및 접시형이 있음.

볼트 보수 ( - 補修, bolt repair)
 
풀린 볼트를 다시 조이거나 수선하는 작업.

볼트 연결 ( - 連結, bolted connection)
  2
개의 부재를 볼트로 결합한 연결.

볼트 이음 ( - , bolt joint)
 
볼트
너트의 세트를 사용한 접합부를 말함. 접합에는 지압전단접합, 마찰접합, 인장접합 등의 방법이 있음.

볼트 축력 ( - 軸力, bolt axial force)
 
고장력볼트 등에 도입되는 축방향의 힘.

볼트 축력계 ( - 軸力計, axial force meter)
 
소정의 볼트 도입축력을 얻기 위해서 임팩트 렌치 등에 의해 가해지는 토오크의 양을 얼마로 하여야 하는 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캘리브레이터로서 사용하는 기기.

볼트형 스터드 ( - , headed stud)
 
강 콘크리트 합성구조에서, 밀림 방지 또는 콘크리트의 앵커로서 강부재와 콘크리트를 결합시키기 위해, 스터드 용접에 의해 강부재에 설치되는 강제볼트 형상의 부품.

봉강 (棒鋼, steel bar)
 
압연에 의해 막대 모양으로 만든 강재. 환강
각강육각강팔각강평강반환강 등과 이형봉강이 있음.

봉경 (棒徑, core diameter)
 
용접봉의 직경피복 아크용접봉에서는 심선의 직경을 말함.

봉다지기 ( - , hand tamping)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인력으로 다지는 것.

봉다짐 ( - , rodding)
 
거푸집에 부어넣은 콘크리트를 치밀하게 하기 위해 다짐막대로 다지는 것.

봉소구조 (蜂巢構造, honeycomb structure)
  →
벌집구조.

봉함제 (封緘劑, sealing compound)
 
콘크리트의 혼합수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표면도포하는 피복재료, 아스팔트 유제, 비닐유제 등의 막이 형성되는 재료로서 흑색, 회색, 백색의 것이 있고, 흑색의 경우 일광의 직사를 받지 않는 경우에 사용함.

봉합용접 (封合鎔接, seal welding)
 
유체의 누출을 막기 위한 용접.

부가 차선 (附加 車線, added lane, auxiliary lane)
 
도로의 본선에 붙어 있는 회전차선(우회전차선, 좌회전차선), 변속차선(감속차선, 가속차선)을 말함. 교통용량의 증가 또는 사고감소를 목적으로 설치함.

부교 (浮橋, pontoon bridge)
 
부체구조의 교량.

부단파 (負段波, negative surge)
 
갑문이나 방조수문 등을 갑자기 개방했을 경우 상류측으로 전달되어 가는 계단형 파.

부대공사 (附帶工事, appurtenant work)
 
본공사에 부대되는 공사.

부도 (副道, frontage / service road)
 
일반적으로 측면도로와 같은 뜻임. 출입제한이 없는 도로에서 입체교차에 설치하는 연결로 가운데 교차 또는 접속하는 도로 상호를 연결하는 교통처리 외에 해당 연결로에 직면하는 가옥에 대해서 직접 서비스를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주차장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연결로를 말함.

부동구간 (不動區間, unmovable section)
 
장대레일의 온도에 의한 신축은 양단부의 약 100 m 정도를 제외하고는 중앙부에서는 거의 신축하지 않고 축력만이 변화하는 부분을 말함.

부두 (埠頭, terminal facility)
 
선박을 접안시켜 여객과 화물을 싣고 내리는 제반시설을 갖춘 구역.

부두 법선 (埠頭 法線, pierhead line)
 
부두의 길이 방향을 따른 선.

부두크레인 (埠頭 - , wharf crane)
 
부두상에 설치된 하역용 크레인.

부등류 (不等流, non-uniform / varied flow)
 
거리에 따라 유량, 수심, 유속, 단면적, 밀도 등 흐름의 제요소가 바뀌는 흐름으로서, 짧은 구간에서 변화가 심한 급변류(rapid varied flow), 긴 구간에 걸쳐 서서히 변하는 점변류(gradually varied flow)로 나누어짐.

부등류함수 (不等流 函數, varied flow function)
  Chow
가 부등류에 대한 수면곡선식을 해석하기 위하여 유도한 함수.

부등변ㄱ형강 (不等邊 - 型鋼, unequal angle)
 
ㄱ형강에서 2변의 다리 길이가 서로 다른 것. 같은 것은 등변ㄱ형강이라고 함.

부등침하 (不等沈下, differential settlement)
 
지반의 불균질성이나 기초의 강성과 지중응력 분포의 차에 의하여 기초지반에 발생하는 침하가 균등하지 않을 때 이를 부등침하라 함. 일반적으로 총침하량보다 이 부등침하가 상부구조물의 안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침.

부력 (浮力, buoyancy, buoyant force)
 
유체속에 잠겨있는 물체 또는 유체위에 떠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연직분력은 유체에 잠겨있는 부분이 차지하는 물체부피의 유체무게와 같으므로 이만큼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음이처럼 물체표면에 작용하는 연직분력의 합을 부력이라 함.

부력제트 (浮力 - , buoyant jet)
 
주변의 물과 비교하여 크거나 작은 밀도를 가지는 제트유로서, 유출시의 부피와 운동량에 따라 제트 또는 플륨의 특성을 갖음.

부마찰력 (負摩擦力, negative skin friction)
 
지지층에 근입된 말뚝의 주위지반이 침하하는 경우 말뚝주면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부마찰력의 고려범위는 말뚝-지반의 상대침하가 균형을 이루는 깊이(중립점)까지로 하며, 설계법은 지반지지력에서 부마찰력을 저감하거나 부마찰력을 외력으로 고려하는 방법이 있음.

부모멘트 ( - , negative bending moment)
 
들보의 아래 부분에서 압축응력을 발생시키는 모멘트.

부배합 (富配合, rich mix)
 
단위시멘트량이 비교적 많은 배합.

부배합콘크리트 (富配合 - , rich concrete)
 
부배합으로 타설된 콘크리트.

부벽 (扶壁, buttress)
 
벽 또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벽면으로부터 돌출시킨 구조부재.

부벽식댐 (扶壁式 - , buttress dam)
 
댐상류부분은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하고 댐하류부에는 부벽(버팀대)을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만든댐.


그림

 

부벽식옹벽 (扶壁式擁壁, counterfort retaining wall)
 
T-형이나 L-형 옹벽의 배면 또는 전면에 옹벽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인장이나 압축을 받을 수 있는 벽체를 갖는 옹벽임. 전자를 뒷부벽식옹벽(counterfort retaining wall)이라 하고 후자를 앞부벽식옹벽(buttress retaining wall)이라 함. 높이가 높은 옹벽에 적용.

부본선 (副本線, auxiliary / subsidiary main track)
 
본선중 주본선 이외의 선로를 말함.

부분강성절 (部分剛性節, partially rigid joint)
 
절점의 접합상태가 강성절과, 교절의 중간에 상당하는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한 절점.

부분경량콘크리트 (部分輕量 - , sanded lightweight concrete)
  →
모래경량콘크리트.

부분기간계열 (部分期間系列, partial duration series)
 
극치계열과 함께 빈도분석 대상자료의 선정방법중의 한가지로서 전시계열(complete duration series)에서 일정한 기준치보다 크거나(홍수자료) 작은자료(갈수자료)만을 취하여 구성한 것으로 선택된 자료의 수와 기간의 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부분용입 (部分鎔入, partial penetration)
 
용접이음의 용입깊이가 접합 전두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

부분처리 (部分處理, split treatment)
  →
분할처리.

부분프리스트레싱 (部分 - , partial prestressing)
 
사용하중 하에서 부재에 얼마간의 인장응력이 일어나도록 설계하는 프리스트레싱을 말함.

부상갑문 (浮上閘門, floating gate)
 
드라이독(dry dock)의 갑문으로서 가장 잘 쓰이는 폰툰(pontoon)의 일종. 입구의 갑문부에 설치하여 해수를 막으며, 대형에는 내부의 상하, 좌우에 수개의 수조로 구분되고 개폐할 때에 서서히 부상 또는 침하시킴.

부상도크 (浮上 - , floating dock)
 
부체구조의 도크로 선박건조나 수리시설에 해당됨.

부상분리법 (浮上分離法, floatation)
 
기름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을 물위에 띄움으로써 물과 분리시키는 유분분리법과 현탁입자가 모여서 생성되는 플록에 기포가 붙도록 함으로써 물과의 비중차를 크게 하여 물위로 뜨도록 함으로써 분리 제거하는 방법. 후자에는 부유선광법과 가압부상법이 있음.

부상식철도 (浮上式鐵道, levitation-type train)
 
레일
차륜간의 점착력에 의해 추진하는 통상의 철도와  달리 차체를 궤도위에 띄워서 추진하는 철도부상방식으로는 초전도상전도코일의 자력에 의한 경우와 공기분사에 의한 경우가 있음.

부상증발접시 (浮上蒸發 - , floating pan)
 
증발되는 수량을 측정할 목적으로 원형의 접시에 물을 채우고 호수나 저수지의 수면에 띄워 증발하는 양을 관측함으로서 증발량을 알 수 있게 고안된 장치.

부석 (浮石, pumice)
 
화산 분출물중에서 다공질의 지름 4 mm 이상의 암괴속 돌로, 경석이라고 함. 비중이 0.70.8로 작아 물에 뜸. 마그마가 대기 중으로 방출할 때 압력의 급격한 감소로 마그마 중의 휘발성 성분이 빠져나가 수많은 기공이 생긴 것으로 산성마그마로부터 생성됨.

부석 포장 (敷石 - , stone pavement)
 
자연석을 블럭모양으로 나누어 한줄로 늘어놓은 포장, 블럭의 크기에 따라 소격석포장, 판석 포장 등으로 부름.

부선식 가설 (浮船式 架設, floating / pontoon erection)
 
육지에서 조립된 교량 등의 상부구조를 바지선 위에 올려놓고 소정의 위치에 운반하여 간만의 차 등을 이용하여 가설하거나, 혹은 한쪽 끝을 바지선 등으로 받치면서 돌출시켜 가설하는 등 부선을 이용한 가설의 총칭.

부선 크레인 (浮船 - , floating crane)
 
항만공사에서 부함(浮函), 케이슨의 건설이나 제거 작업에서 침몰된 선박의 인양작업 등에 사용하는 기중기를 적재한 비항선.

부설두께 (敷設 - , lift thickness, loose depth)
 
포장재료를 적정한 다짐도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1회 부설하여 다지는 두께.

부수차 (附隨車, trailer)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동기가 장착되지 않은 차로서, 다른 원동기장착차에 의하여 견인되는 객화차(객차와 화차).

부순 돌 (“碎石”, crushed rock)
 
암석 또는 호박돌을 인공적으로 부수어서 만든 것으로 대체로 전면이 파쇄면으로 이루어진 것.

부순모래 (“碎砂”, crushed sand)
 
암석 등을 파쇄한 것 중에서 No.8체를 통과하고 No.200체에 남는 부분의 것.

부쉬 ( - , bush)
 
보통은 축받침 등의 끼워 넣는 바퀴를 말하나 금형에서는 본체와 별도로 제작한 후 그 금형에  끼워 넣는 얇은 판의 금속제 원통체의 부품을 말함. 가이드핀부쉬 스풀부쉬 등이 있음.

부시해머마무리 ( - , bush hammer finish)
 
해머의 양단에 삼각형모양의 돌기가 붙어 있는 부시해머에 의한 마무리 작업으로, 콘크리트면마감, 석재표면마무리 등에 사용됨.

부식 (腐蝕, corrosion)
 
각종 재료가 생화화적 작용에 의하여 썩고, 녹슬어 원래의 형태를 잃는 것으로, 수중콘크리트 및 상수도주철관 등의 파손원인이 됨.

부식토 (腐植土, humus)
 
동식물의 부분적인 분해과정에서 생긴 부식질과 토양입자가 혼합된 흙으로 흙속의 유기질 부분이 되며, 토목구조물의 기초용 지반재로서는 부적절한 흙임.

부식피로 (腐蝕被勞, corrosion fatigue)
 
부식물질속에 있는 재료에 반복응력이 작용하여 재료의 강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재료의 형질변화 및 파괴원인이 됨.

부심 (浮心, center of buoyancy)
 
부력의 중심.

부압 (負壓, negative pressure)
 
대기압 보다 작은 계기압력을 말함.

부양식 독 (浮揚式 - , floating dock)
 
강제의 요()형 또는 L형의 부상함(浮上函)으로서 부상함 속에 주수(注水)하여 반을 바다속에 침하시키고 선박을 올려놓은 후 배수(排水)하여 선체를 해면 위에 노출시킴.

부영양호 (富營養湖, eutrophic lake)
 
부영양화가 발생된 호수로 용존산소는 표면층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심수층에서는 적으며, 수질은 상수원으로서는 부적당함.

부영양화 (富營養化, eutrophication)
 
, 바다, 호소 등과 같은 수역에 질소나 인등의 영양염류가 증가되는 현상으로, 이것을 영양소로 하여 생물생산이 활성화되며 자연의 생태계가 변화됨. 해역에서는 적조 발생의 한 원인이 되며, 호소에서는 조류(藻類) 등이 이상증식함.

부유물접촉지 (浮游物接觸池, suspended-solids contact unit)
 
혼화, 응집, 침전이 하나의 반응조내에서 이루어지며, 수질이 크게 변하지 않는 원수의 처리에 효과적임.

부유물질 (浮游物質, suspended solids)
 
물속에 있는 입자지름이 약 1㎛이상인 고형물질의 총칭으로서 현탁물질이라고도 하며, 물을 흐리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용해성물질과 구별됨.

부유방재 (浮游防材, floating boom)
 
해면기름 제거에 사용되는 부체를 말하며, 석면판이나 합판을 부체에 의해 띄워서 둑을 막는 방법으로 대체로 판의 2/3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계함

부유분진 (浮游粉塵, airborne / suspending dust)
 
입자지름이 10㎛이하로 가벼워서 침강되기 어려운 분진.

부유사 (浮遊砂, suspended load)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이나 파랑에 의하여 저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이동되는 가는 입경을 갖는 토사로서, 바닥에 연하여 구르거나 미끌어지며 이동하는 비교적 굵은 토사를 일컫는 소류사(bed load)와 구별하나 엄격한 구분기준은 없음.

부유식구조물 (浮遊式構造物, floating type structure)
 
수면에 떠있는 형식의 해양구조물으로서 정착식 계류식 자항식 예항식 등의 종류가 있음.

부유식 방파제 (浮遊式 防波堤, floating breakwater)
 
해면에 부체를 계류하여 진행해 오는 파의 에너지를 소멸시키며 또한 반사시키는 방파제. 부체의 구조에는 각종 형태의 것이 고안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장이 긴 파에는 유효하지 못한 경우가 있지만 주기가 작은 풍파에는 대체로 유효함.

부유토사 (浮遊土砂, suspended sediment)
  →
부유사.

부인장재 (副引張材, sub tie)
 
분할격간 트러스의 부부재로서의 인장재와 같은 부재를 말함.

부잔교 (浮棧橋, floating pier)
 
수륙연결시설의 일종이며, 육안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를 폰툰(pontoon)이라는 함선을 띄워서 이것과 육안과를 도교로 연락하여 폰툰에 선박을 계선시키는 시설.

부재 (部材, member)
 
구조물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형상의 고체 재료.

부재 강성도 행렬 (部材 剛性度 行列, member stiffness matrix)
 
한개의 부재 재단력을 재단 변위에 대하여 표시하는 행렬
.
 
부재력 (部材力
, member force)
 
구조물에 재하된 하중에 의하여 각 부재에 발생하는 힘.

부재 좌표계 (部材 座標系, member coordinate system)
  →
국부 좌표계.

부재 치환법 (部材 置換法, method of member substitution)
 
복잡 트러스의 부재내력을 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Henneberg의 방법이라고도 함.

부재 회전각 (部材 回轉角, angle of member rotation )
 
부재의 양단에서 상대 처짐이 발생하였을 때 상대 처짐을 부재의 길이 나눈 값.

부정기열차 (不定期列車, irregular train)
 
정기열차가 아니며 여객 또는 화물 수송수요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부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임시열차.

부정등류 (不定等流, unsteady uniform flow)
  →
비정상등류.

부정류 (不定流, unsteady flow)
 
시간에 따라 유량,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에 관계되는 제 물리량들이 변하는 흐름.

부정부등류 (不定不等流, unsteady non-uniform flow)
  →
비정상부등류.

부정정 (不靜定, statically indeterminacy)
 
힘의 평형조건만으로 구조물의 부재력을 구할 수 없는 구조물의 상태.

부정정 구조물 (不靜定 構造物,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
 
힘의 평형조건만으로는 부재력을 결정할 수 없는 구조물.

부정정력 (不靜定力, redundant force)
 
부정정 구조물의 부정정 요인을 유발시킨 지점이나 부재에 작용하는 힘.

부정정 차수 (不靜定 次數, degree of redundancy)
 
부정정 구조물에서 미지량(부재력, 반력등)의 갯수와 힘의 평형 방정식 개수와의 차이

부정합 (不整合, unconformity)
 
지각변동이나 침식작용에 의하여 상. 하 지층의 퇴적이나 생성시기가 시간적 차이가 있는 상하면을 부정합이라 함.

부족비용 (不足費用, shortage cost)
 
물건의 재고가 없어서 판매를 못할 경우에 발생되는 비용을 총체적으로 칭함.

부족캔트 (不足高度, insufficient cant / superlavation)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외측레일을 높게하여 원심력과 중력과의 합력선이 궤간의 중앙부에 작용하도록 하여야 하나 열차속도에 비하여 캔트가 부족한 것을 말함.

부착강도 (付着强度, bond strength)
 
콘크리트가 철근 등의 강재로부터의 이탈에 대한 저항력, 점착력, 마찰력 등의 모든 힘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

부착된 텐던 (付着 - , bonded tendon)
 
그라우트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콘크리트에 부착시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긴장재.

부착력 (付着力, adhesion)
 
서로다른 고체간에 작용하는 점착력.

부착면적 (付着面積, bond area)
 
콘크리트와 철근 등의 강제 사이에서 부착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할지 모르는 두 요소간의 접착 면적.

부착방지 (付着防止, bond prevention)
 
콘크리트 구체내에서 PC강선 등의 긴장재와 콘크리트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로서 모르터가 타설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기도 함.

부착방지제 (付着防止劑, bond breaker)
 
부착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로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가 아래층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료.

부착 시험 (付着 試驗, coating test)
 
골재에 부착된 아스팔트 유제피막의 부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시험. 양이온 유제에만 적용됨.

부착식 철도 (付着式 鐵道, adhension type railway)
 
차륜과 레일간의 마찰 즉 점착력에 의하여 차륜이 주행하도록 부설한 철도.

부착안된 텐던 (付着 - , unbonded tendon)
 
콘크리트와 긴장재 사이를 그라우트 등의 수단으로 부착시키지 않는 긴장재.

부착응력 (付着應力, bond stress)
 
콘크리트와 강재 또는 기초암반, 기타 재료와 같이 2개의 부착면 사이의 접착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접착력. 철근과 그둘레의 콘크리트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표시하는 철근표면의 전단응력.

부착제 (付着劑, bonding agent)
 
본바닥과 테라조, 플라스틱 등의 마무리층과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본바닥에 바르는 약제.

부착파괴 (付着破壞, bond failure)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 부착응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발생되는 파괴.

부채형차고 (扇形車庫, annular shed)
 
기관차의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한 차고로서 부채 모양을 한 것을 말하며, 다수의 기관차 수용에 편리하나 전차대의 고장시 다수의 기관차가 출입이 안되는 결점이 있음.

부철근 (負鐵筋, negative reinforcement)
 
철근콘크리트의 슬래브 또는 보에서 부(-)의 휨모멘트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부체 (浮體, floating body)
 
유체에 떠있는 물체의 총칭.

부체공법 (浮體工法, floating body construction)
 
해상
하상 등에 비행장이나 공업플렌트 등을 구축할 때에 매립 등을 하지 않고 구조물을 수상에 띄워 계류 또는 정착하는 구축법.

부패조 (腐敗槽, septic tank)
 
구조는 통상의 침전조와 같으나, 오수로부터 부유물질을 침전시킬 뿐만 아니라 침전된 오니를 혐기적으로 소화 분해시키기 위한 반응조.

부표 (浮標, buoy, floating mark)
 
선박을 수면에 안전하게 계류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띄우개. 강제의 부체에 쇠사슬을 달아 해저에 침수시키며, 갈고리를 달아 이동을 방지함.
 
사진을 입체시하여 사진상에서 대상물의 위치를 관측하거나 도면화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점. 측표(測標)라고도 함.

부표식 계기 (浮漂式 計器, float-type meter)
 
물에 띄운 상태로 측정하는 기기.

부풀음 ( - , heaving)
  →
팽상.

부품도 (部品圖, parts drawing)
 
기계나 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부품의 상세를 보이는 그림.

부품번호 (部品番號, parts number)
 
수많은 부품으로 된 기계나 장치의 각 부품에 붙여진 번호.

부품표 (部品表, parts list)
 
부품의 명세를 표시한 표로서 설계도에 부기하는 것이 많음. 표준부품은 정해진 표시법으로 표시되어 그림은 생략할 수 있음.

부하율 (負荷率, load factor)
 
일정기간의 평균부하와 최대부하의 비를 백분율로 표현한 값.

부하중 (副 荷重, secondary load)
 
구조물에 작용하는 주하중을 제외한 풍하중, 제동하중 등과 같은 하중.

부함선거 (浮函船渠, floating dock)
 
부함(浮函, pontoon)을 물에 띄워 부두로 사용하는 것으로 부잔교(浮棧橋)라고도 함.
 
부함 구조체로 수조를 조절하여 뜨고 가라앉게 만들어진 것으로 선박의 수리 등에 사용함.

분격 트러스 (分格 - , subdivided panel truss)
 
트러스의 지간이 크면 격간장이 커지게 되므로 여기에 보조 부재를 적당히 설치하여 격간을 다시 나눈 형식의 트러스.

분급기 (分級機, classifier)
 
수류중에서 골재의 크기나 비중에 따라 낙하속도가 다른점을 이용하여 모래를 세조로 분류하는 기계로서, 기계적 분급기와 수력분급기가 있음.

분기가드레일 (分岐護輪軌條, crossing guard rail)
 
차량이 대향 분기를 통과할 때 크로싱의 결선부에서 차륜의 플랜지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노즈의 단부를 손상(損傷)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차륜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반대측 주레일에 부설하는 레일.

분기군 (分岐群, group of point)
 
분기기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는 무리().

분기기 (分岐器, turnout)
 
한개의 선로를 두개 이상의 선로로 분기하는 궤도구조. 전철부 리드부 철쇄부로 되어 있음.

분기기갱환 (分岐器更換, turnout renewal / replacement)
 
분기기 재료의 마모 및 열차운전에 위험한 정도로 손상되었거나 변형되었을 때 이를 갱환하는것.

분기기도중전환 (分岐器途中轉換, throwing over the switch under the train)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하는 도중에 분기기의 포인트를 전환하는 것으로 열차의 탈선 사고 등이 발생함.

분기기동정 (分岐器動程, throw of a point rail)
 
분기기의 포인트 부에서 분기기의 열차 통과 방향을 전환할 때 첨단레일이 이동하는 거리.

분기기 번호 (分岐器 番號, turnout number)
 
크로싱에서 분기기의 완급의 정도를 나타내는 번호
.
 
크로싱 번호 = = 1/2 cosθ, θ = 크로싱각

분기기 시단 (分岐器 始端, point of switch)
 
분기기의 시점을 나타내며 통상 텅레일 첨단부 앞의 이음매 부를 말함.

분기기작업 (分岐器作業, maintenance of turnout)
 
분기기는 선로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구조상으로 복잡하고 많은 재료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가 진동이 심하여 열차속도 및 안전상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분기기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보수 정비하는 작업을 말함.

분기기 저항 (分岐器 抵抗, point resistance)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받는 저항.

분기기 전환장치 (分岐器 轉換裝置, switch throwing of turnout level box)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 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장치로서 분기기의 첨단레일 등을 전환시킴.

분기기 종단 (分岐器 終端, end of turnout, heel of frog)
 
분기기의 끝부분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크로싱의 후단부를 말함.

분기부대곡선 (分岐附帶曲線, second curve of turnout, turnout curve behind crossing)
 
분기기 내 곡선 및 분기기 후방에 생기는 곡선.

분기선 (分岐線, track on turnout side, turnout track)
 
궤도의 분기 개소에 있어서 본선 측의 기준선에 대하여 분기되는 쪽의 선로.

분기점 염소주입 (分岐點鹽素注入, break point chlorination)
 
염소소독과정에서 수중에 존재하는 환원성 물질에 의한 주입염소의 소모, 암모니아성 질소와의 반응에 의한 크로라민의 형성과 산화과정을 거쳐 결합잔류염소가 최소화되고, 염소주입량에 비례하여 유리잔류염소량이 증가되기 시작하는 점까지 염소를 주입하는 방식.

분기정거장 (分岐停車場, branch of / juction station)
 
본선에서 타 방향 지선으로 갈라지는 지선에 위치한 역.

분기침목 (分岐沈木, switch sleeper / tie)
 
분기기에 사용하는 특수한 침목으로 보통 침목보다 형상이나 치수가 큼.

분뇨 (糞尿, human excrement, night soil)
 
대변과 소변을 말함.

분뇨종말처리장 (糞尿終末處理場, excrement treatment plant)
 
분뇨를 최종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하여 공공수역에 방류하는 시설.

분니 (噴泥, mud pumping)
 
철도, 도로 등에 있어 반복하중의 영향과 우수의 침입에 의하여 이토화되어 노반의 흙이 상부 도상 또는 노면 위로 솟구치는 현상.

분도원 (分度圓, graduated circle)
 
측량기계의 수평축 또는 연직축에 장치된 각도의 눈금반.

분력 (分力, component of force)
 
하나의 힘을 2개 이상의 방향의 힘으로 분해하여 얻는 각 방향의 힘의 성분.

분류 구간 (分流 區間, diverging section)
 
교통류에 있어서 분류할 필요가 있는 교통이 있을 경우에 분류를 원활하고 더욱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간. 유출램프의 경우 감속차선을 포함함.

분류단 노즈 (分流端 - , nose of diverging end)
 
분류섬의 분류하는 쪽의 노즈. 노즈의 최소반경은 원칙으로는 0.5 m로 하며 노우즈 옵셋트 및 세트백을 취함.

분류섬 (分流 - , diverging island)
 
도류섬의 일종. 분류할 필요가 있는 교통류에 있어서 분류를 원활하고 더욱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교통의 흐름을 분리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

분류식 하수관 (分流式 下水管, separate sewer)
 
우수와 하수는 지하에 매설된 관거로 수집되어 처분장소나 처리장까지 수송되는데, 빗물인 우수와 가정에서 나오는 생활오수를 별도의 관거를 설치하여 수집하는 방식으로, 합류식관거와 상대되는 개념.

분류특성 (分類特性, index property)
 
흙의 판별이나 분류에 사용할 목적으로 행하는 간단한 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흙의 특성임분류에 이용되는 물성치는 입도분류, 아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 함수비, 밀도, 비중, 예민비 등이 있음.

분리대 (分離帶, separator)
 
같은 방향 또는 대향방향의 교통류를 2개의 차도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 상하차선의 중심부에 설치한 시설.

분리도로 (分離道路, divided highway)
 
중앙분리대 등에 의해 교통류가 양뱡향으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차선이 설치된 도로.

분말도 (粉末度, fineness)
 
미립자. 즉 미분말의 크기를 표시하는 단위.

분말 절단 (粉末切斷, powder cutting)
 
철분말 또는 철분말과 프럭스를 연속적으로 절단부에 공급하여 그 산화열 및 프럭스작용을 이용하는 가스절단 방법.

분말활성탄 (粉末活性炭, powdered activated carbon)
 
수처리에 사용되는 분말형태의 활성탄을 말하며,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GAC))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나 분리회수에 어려움이 있음.

분무내화피복 (噴霧耐火被覆, pneumatic applied fire-resistance covering)
 
철골부재의 표면에 스프레이기를 사용하여 록웰
시멘트 등을 뿜칠한 내화피복.

분무양생 (噴霧養生, fog curing)
 
깨끗한 물을 분무하여 필요한 습도를 유지시켜 실내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것.

분배 모멘트 (分配 - , distributed moment)
 
강절에 작용한 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하여 그 절점에 모인 각각의 부재단에서 발생하는 모멘트, 즉 작용한 모멘트에 분배율을 곱하여 얻어지는 모멘트.

분배율 (分配率, distribution factor)
 
한 강절에 모멘트를 가했을때 그 절점에 모이는 각 부재단에서 발생하는 재단모멘트의 주어진 모멘트에 대한 비.

분사 (噴砂, boiling of sand)
 
침투시 상향침투력이 모래의 유효단위중량보다 크면 모래의 전단강도가 소멸되어 지반이 액상화되거나 모래입자가 부유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것이 진행되면 파이핑(piping)현상으로 연결됨.

분산 (分散, dispersion)
 
물리적, 화학적으로 결합된 토립자의 구조체가, 분산제와 물입자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동형치환의 고리가 끊어져 입자로 분리되는 현상.

분산수 (分散數, dispersion number)
 
반응조내 유체 혼합의 정도를 수치로 표시하는 방법중 하나로, 분산수가 무한대가 되면 이상적인 완전혼합상태를, 분산수가 0이되면 이상적인 plug flow 상태를 의미함.

분산제 (分散劑, dispersing agent)
 
시멘트입자와 물입자 사이의 인력을 감소시켜 페이스트, 모르터 혹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게 하는 첨가제 혹은 혼화제.

분쇄기 (粉碎機, comminutor)
 
큰 부유물질을 잘게 부스러뜨리는 기계를 말하며, 잘게 부수어진 부유물질은 후속 처리과정에서 제거됨.

분점대조 (分點大潮, equinoctial spring tide)
 
춘분, 추분 전후에 일어나는 대조 때의 조석을 말하며, 이 때의 조수의 간만차는 년중 가장 큰 것이 보통이고 1 2회의 간만의 조위는 거의 비슷함.

분점조 (分點潮, equinoctial tide)
 
태양이 춘분점, 혹은 추분점 근처에 있을 때의 조석.

분조 (分潮, tidal component, comstituent)
 
조화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조석의 성분파를 말하며, 분조의 수는 약 60개 정도가 있음.

분조류 (分潮流, component current)
 
조류의 조화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조류의 성분파.

분진 (粉塵, dust)
 
기체중에 부유하고 있는 0.002㎛에서 500㎛까지 크기의 미세한 고체 또는 액체상태의 입자상 물질. 무거워서 침강되기 쉬운 강하분진(10㎛이상)과 가벼워서 침강되기 어려운 부유분진(10㎛이하)으로 대별됨.

분포 모형 (分布 模型, distribution model)
 
분포교통량 (OD 교통량)의 장래 추계를 실시하기 위한 모형.

분포 하중 (分布 荷重,  distributed load)
 
어느 넓이에 퍼져서 작용하는 하중.

분할도급 (分割都給, partial contract)
 
한건의 공사를 공구별 또는 공종별로 구분하여 각각 도급시키는 방식.

분할법 (分割法, slice method)
 
여러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사면의 안정해석에 가장 넓게 이용되는 방법으로, 활동면내의 토괴를 여러개의 절편으로 나눠 각 절편의 활동력과 전단저항을 합하여 전체토괴의 안정을 계산하는 방법.

분할처리 (分割處理, split treatment)
 
물의 연수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물의 일부는 석회 소다회법으로 처리하여 경도를 낮추고, 일부는 처리하지 않은 채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요구되는 경도의 물을 얻는 것.

분해 (分解, decomposition)
 
어떤 물질이 보다 간단한 물질로 변화되는 현상.

불경식 믹서 (不傾式 - , non-tilting mixer)
 
중력식의 회전드럼형 믹서의 일종으로 동체를 기울이지 않고 단지 배출 슈우트를 사용하여 비벼진 콘크리트를 배출하는 믹서로서 드럼믹서라고도 함.

불교란시료 (不攪亂試料, undisturbed sample)
 
자연 상태와 근접한 상태로 채취된 시료. 이론상 자연상태와 완전하게 같은 상태의 시료채취는 불가능하나, 통상 자연 상태의 흙의 역학적 성질을 얻기 위하여 채취함.

불규칙삼각망 (不規則三角網, triangular irregular network)
 
수치지형모형에서 삼각형 격자점으로 구성하는 불규칙적 삼각망이며, 약어 : TIN.

불규칙토층 (不規則土層, erratic subsoil)
 
불규칙하게 퇴적된 토층으로, 토립자의 입도, 배열 등이 수평, 수직 방향으로 현저하게 변화된 상태의 토층이며, 주로 빙하나 사태 등에 의하여 생성됨.

불규칙파 (不規則波, irregular / random wave)
 
파고, 주기, 파향, 위상 등이 각각 다른 여러개의 성분파가 합성된 파로서 파형이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냄.

불균등 비틂 (不均等 - , non-uniform torsion)
 
구조물의 부재에 작용하는 비틂 모멘트가 재축을 따라 변하는 비틂.

불균등 휨 (不均等 - , nonuniform bending)
 
구조물의 부재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재축을 따라 변하는 휨.

불균형 교통류 (不均衡 交通流, unbalanced flow)
 
방향별로, 시간에 따라 심한 교통량의 변화를 보이는 교통류. 예를 들어, 오전 첨두시 도심방향으로 교통량이 집중되어 도로상에서 불균형을 이루는 교통류.

불균형 통행도로 (不均衡通行道路, unbalanced flow street)
 
방향별로, 교통량이 시간에 따라 심한 변화를 보이는 도로로서 가변차선 등이 시설되어 있는 통행도로.

불량입도 (不良粒度, poor grading)
 
입경가적곡선이 급한 경사를 이루어 어떤 입경의 것이 특히 다량이거나 또는 소량인 불규칙한 입도분포를 의미.

불소주입 (弗素注入, fluoridation)
 
충치예방을 위하여 음료수에 불소를 적량 주입하는 것을 말함.

불안정 구조물 (不安定 構造物, unstable structure)
 
내적 혹은 외적으로 안정하지 않은 구조물.

불안정 평형 (不安定 平衡, unstable equilibrium)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조물에 미소한 하중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현재까지의 평형상태와는 전혀 다른 평형상태로 바뀌는 평형상태. 좌굴하중을 받고 있는 기둥의 평형 상태가 이에 해당함.

불연성(구조)공사 (不燃性(構造)工事, non combustible construction)
 
재료자체가 연소하지 않고 방화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기와, 유리 등의 불연성의 재료로 구조체를 공사하는 것.

불연속면 (不連續面, discontinuity)
 
암반에 발달되어 있는 여러가지 형태나 크기의 약면, 절리, 층리, 편리, 균열, 단층 등의 총칭.

불연속입도 (不連續粒度, gap grading)
 
조립도부터 세립도까지 연속된 입도분포에서 일부 입도부분이 제외되어 있든가, 또는 일부입도 부분의 입자가 적게 함유되어 있는 골재의 입도.

불완전 입체교차 (不完全 立體交叉, partial grade separation)
 
평면으로 교차하는 교통류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체교차를 말하는데, 다이아몬드형, 불완전클로버형, 사지교차시의 트럼펫형 등이 이에 상당함.

불완전 클로버형 입체교차 ( - , partial cloverleaf interchange)
  4
지교차에서 가끔 사용되는 형식이며 다이아몬드형보다 건설비는 많이 들지만 그 특징을 살리면 교통용량은 더 좋아짐. 불완전 클로우버형은 연결로의 배치방식에서 볼 때 기본적으로 세가지 형식이 있음.

불완전 트러스 (不完全 - , incomplete truss)
 
트러스에서 (2*절점수 - 3) 보다 부재수가 적은 트러스. 내적으로 불안정함.

불용레일 (不用軌條, scrap rail)
 
레일은 외력의 반복작용과 레일내부의 결함 등으로 인하여 사용불능 상태로 되는데 이 사용불능 상태의 레일을 말함. 사용불능 상태는 훼손, 마모, 부식의 3요인에 의하여 결정하게 됨.

불투과책 (不透過柵, wind baffle)
 
바람맞이쪽 지표의 하부에 빈틈이 별로 없는 울타리를 설치하고 눈보라를 감속시켜서 울타리의 전후에 눈을 퇴적시켜 도로에 적설을 방지하는 것임. 도로와 울타리와의 사이에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경우에 쓰이고 풍향이 일정방향으로 5m/sec 이상의 풍속이 있는 지역에서 유효함.

불투수성블랭킷 (不透水性 - , impervious blanket)
 
댐 본체 등에 침투되는 침투수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침투수로의 길이를 길게하기 위하여 댐상류측의 하상에 평면적으로 설치하는 불투수층.

불투수층 (不透水層, impervious layer)
 
지하수가 침투하기 어려운 지층으로 점토층이 대표적이며, 흙댐(earth dam)이나 사력댐(rock fill dam)의 중앙부 또는 상류측에 저류된 물이 침투, 유실되지 않도록 설치한 투수계수가 작은 점토층을 의미하기도 함.

불평형 모멘트 (不平衡 - , unbalanced moment)
 
모멘트 분배법에서 강절점을 인위적으로 구속하였을때 모멘트의 평형을 만족하지 않고 남는 모멘트.

불포화 (不飽和, unsaturation)
 
포화가 되지 않은 상태.

불화수소 (弗化水素, hydrogen fluoride)
 
자극적인 냄새가 있는 맹독성 기체로, 고농도일 경우 피부로 침투하여 심한 통증을 주게 되고 희박한 경우에도 위장 등을 해침.

불활성가스아크용접 (不活性 - 鎔接, inert gas arc welding)
 
알콜이나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로 아크를 둘러싸면서 용접을 하는 것으로 텅스텐 전극을 사용하는 TIG 아크용접과 금속선재를 전극으로 하는 MIG 아크용접이 있음.

( - , boom)
 
크레인등에서 선단에 중량물을 매달기 위한 지지봉이며, 굴착기등에서 선단부에 버켓(bucket) 이나 브레이커(breaker) 등을 장착하기 위하여 주물프레임(frame)에 핀으로 연결한 지주.

붕괴성 흙 (崩壞性 - , collapsing soils)
 
건조시는 강하나, 외부 응력의 증가 없이도 내부의 함수비 증가나 흡수에 의하여 연화되어 붕괴하는 흙임. 이런 거동을 보이는 흙으로는 뢰스(loess), 석고(gypsum)질 모래 또는 실트 등이 있음.

붕괴파 (崩壞波, spilling breaker)
 
파향경사가 비교적 큰 파랑이 완만한 경사의 해안에서 쇄파하는 형태로서 파봉에 거품이 일기 시작하여 이것이 점차로 전면에 퍼지는 형태를 가짐.

붕소콘크리트 (硼素 - , boron loaded concrete)
 
붕소를 혼합재료로 함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붕적토 (崩積土, colluvial deposit)
 
운반퇴적토의 일종으로서 사면의 암반이나 풍화물이 붕괴되어 중력작용으로 사면아래에 퇴적되어 형성된 토층.

브라운아웃 (- , brown out)
 
밑바르기 플라스틱을 완성하는것.

브라운코트 ( - , brown coat)
 
플라스터로 3층 마무리할 때의 제2.

브라인 ( - , brine)
 
다량의 소금을 녹인 물.
 
냉동시에 증발기와 피냉각체의 매체로서 열을 흡수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염화칼슘. 염화나트륨의 수용액에 사용됨.

브라질식인장시험 ( - 式 引張試驗, Brazilian test)
 
원주형의 암석 공시체에 직경방향으로 원주의 측면에 선하중을 가하여 압열(壓裂)시킴으로서 간접적으로 암석의 인장강도를 구하는 시험법. 암석 인장시험이라고도함.

브래킷 ( - , bracket)
 
, 기둥 등으로부터 돌출되어 보 등의 다른 구조물을 받치는 구조물.

브러시컷터 ( - , brush cutter)
 
초목등의 벌채에 사용되는 V형 토공판을 부착한 트랙터.

브레이스드 아치 ( - , braced / framed arch)
 
아치리브를 뼈대구조로 한 브레이스드아치와 스팬드렐을 뼈대구조로 한 스팬드렐브레이스드 아치가 있지만 보통은 전자를 말함.

브레이싱 ( - , brace, bracing)
 
사각의 구면에 대각선으로 넣은 사재. 구면이 나란히꼴로 변형하는 것을 막고, 지진력 풍압력  등에 저항함.  → 가새.

브레이커 ( - , braker)
 
압축공기로 구동하는 착암기의 일종이며 일반적으로 압축공기 또는 엔진을 구동하여 유압장치로 피스톤을 왕복시켜 끝에 부착된 정에 타격력을 가하여 콘크리트 등을 부숨. 무게는 2040 kg 정도이고 7.5 kg 안팎의 소형을 콜픽이라고 부름.

브레이크 트러스 ( - , brake truss)
 
차량의 제동하중
시동하중롱레일종하중, 교축방향의 지진력 등에 의한 종하중을 주항 또는 주구에 전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트러스. 제동구라고도 함.

브로큰 백 커브 ( - , broken back curve)
 
브로큰 백 현상을 일으키는 도로. 브로큰 백 현상이란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이 끼어있는 것으로 평면선형의 경우는 직선부가 양단의 곡선과 반대방향으로 굴곡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또 종단선형의 경우에는 직선부가 떠오르듯이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주어 운전실수를 유발시킬 수 있어 주의하지 않으면 안됨.

브롬 (臭素, bromine)
 
할로겐 원소의 일종으로 원자번호 35, 원자량 79.9인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비금속 원소.

브룸 ( - , broom)
 
포장표면의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피견인식의 도구.

브룸마무리 ( - , broom finish)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표면을 싸리비로 쓸어서 마무리하는 표면마무리의 방법.

브리넬경도 ( - 硬度, Brunell hardness)
 
경도를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 강구압자를 사용하여 시험면에 공모양의 흠집을 만들었을 때의 하중 P(kg)를 흠집의 표면적 (mm2)으로 나눈 값.

브리지리머 ( - , bridge reamer)
 
리벳구멍을 깎아서 넓힐때 전기드릴 또는 공기드릴의 끝에 부착하는 날이되는 공구이며, 브리지리머를 사용하여 확공하면 최소의 절삭량으로 리벳구멍을 넓힐 수 있음.

브리키트 ( - , briquet)
 
양단부는 넓고 중앙부는 좁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형상의 모르터공시체로서 모르터의 인장강도시험에 사용됨.

브릭인매스틱방수공 ( - 防水工, brick in mastic water proofing)
 
비교적 큰 수압을 받는 콘크리트면에 시공하는 방수공으로 건조된 콘크리트 표면에 매스틱(아스팔트 또는 코올타르피치와 모래, 시멘트 등을 혼합한 것)을 부어 줄눈이 매스틱으로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벽돌을 놓고, 벽돌표면을 충분히 매스틱으로 덮은 후 그위에 다시 보호공을 함.

브이 엠 에이 ( - , VMA)
  voids in the mineral aggregate
의 약어로 혼합물에서 골재를 제한 부분의 체적, 즉 공극과 아스팔트로 채워져 있는 체적을 전체적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간극량 VMA라 함.

브이 노치 ( - , V notch)
 
재료의 노치 인성의 측정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노치의 형상. Charpy 충격시험편 등에 쓰임

브이비(VB)시험 ( - 試驗, VB test)
 
끝잘린 원추형 콘에 콘크리트를 다져서 상하로 진동을 가해 그 위의 투명한 뚜껑판에 시멘트 풀이 전면에 밀착하는 시간()으로 된반죽의 포장용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알아내는 시험.

브이비(VB)시험장치 ( - 試驗裝置, VB apparatus)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장치. 반죽질기의 측정치는 진동시간()으로 나타냄.

브이엘비아이 ( - , VLBI)
  →
초장기선간섭계.

브이(V)형맞기용접 ( - - 鎔接, vee butt welding)
  V
형 맞대기 용접. 홈의 형상이 V형으로 된 것으로 한쪽에서만 용입을 하는 경우에 적합함.

브이(V)형옆도랑 ( - 型測溝, V-shaped street drain)
 
단면형상이 V자형을 하고 있는 옆도랑.

브이형 활주로 ( - 型 滑走路, open-V runway)
 
두개 이상의 활주로가 교차하지 않으면서 서로 방향이 약간 다른 모양을 가지는 활주로 배치 형태의 일종. 최대 용량은 V형 활주로의 벌어진 방향으로 운항할 때 얻어짐.

블라스트공법 ( - 工法, blast method)
 
강재의 녹을 제거하기 위해 강한 모래 또는 소강구를 강력하게 뿜어서 까만녹이나 빨간녹(산화막)을 제거하는 공법.

블라스트홀드릴 ( - , blast hole drill)
 
직경이 큰 폭파용 천공구멍을 빠른 속도로 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천공기계.

블라인딩 ( - , blinding)
 
표면의 공극을 메우거나, 건조하고 평활한 작업바탕을 만들기 위해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등의 적당한 재료를 바르는 것으로, 그물이나 체눈에 분리된 재료가 막히는 것을 가르키기도 함.

블랙베이스 ( - , black base)
 
아스팔트 포장에서 역청혼합물을 사용한 검정색의 기층을 의미함.

블랭킷 ( - , blanket)
 
투수성 지반에서 물의 침투를 막기 위해 수저면을 덮어 설치한 불투수층.

블랭킷 테스트 ( - , blanket test)
 
어떤 시험조건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시험하는 실험조작. 공시험, 대조시험 등으로 불림.

블레이드 ( - , blade)
 
불도저, 스크레이퍼, 그레이더 등의 장비가 흙을 굴삭하는 선단부분의 날부분으로, 마찰력에 강한 강재로 만들고 교환이 가능하며, 지반상태에 따라 블레이드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
 
담요모양으로 성형한 다공질의 재료로 단열 및 흡음성능이 큼.

블레이드 형 스프레더 ( - , spreader of reciprocationary blade)
 
블레이드형 스프레더 본체가 거푸집 레일 위를 자유로이 전후진하며 스프레더 전면의 가이드 파이프에 철판제의 블레이드가 장치되어 있어 이 파이프에 연하여 좌우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음 더욱이 블레이드 자체도 회전하며 이 회전조작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좌우의 이동조작을 구사함으로써 덤핑된 콘크리트 더미를 어느 방향으로도 부설할 수 있음.

블레인(공기투과)시험 ( - (空氣透過)試驗, blain test)
 
시멘트의 물리실험방법으로 지정된 액상의 재료를 공기투과성에 의하여 시멘트, 기타 미세한 물체의 분말도를 측정하는 실험.

블레인분말도 ( - 紛末度, blain fineness)
 
시멘트나 포조란 등의 분말재료의 분말도로, 블레인장치로 측정하며 단위무게(1g)에 대한 표면적(cm2/g)으로 표기됨.

블레인장치 ( - 裝置, blain apparatus)
 
일정한 공극률로 채워 넣은 분채시료층을 일정한 압력으로 일정한 양의 공기를 투과시켜 그에소요되는 시간에서 분채의 비표면적을 산출하여 분말도를 구하는 장치.

블로우 업 ( - , blow up)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이 온도팽창에 따른 압축력에 의하여 좌굴을 일으켜 줄눈부분 또는 균열 부분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솟아오르는 현상. 포장두께가 얇고, 줄눈보존이 불량한 콘크리트 포장에서 자주 발생함.

블로우폼 ( - , blow form)
 
터널의 복공에 사용되는 강제의 일체형 거푸집틀로 콘크리트 펌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이동성이 좋음.

블로우홀 ( - , blow hole, gas pocket)
  →
기공.

블로워 (送風機, blower)
  →
송풍기.

블로잉 ( - , blowing)
 
블론 아스팔트 등의 제조과정에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가열하고 공기를 불어 넣는 것. 원료를 약 200230
의 가열로를 통해서 장치로 보내고 휘저어 섞으면서 하부의 공기출입구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불어 넣어 230280 의 온도에서 반응을 일으키게 함.

블록 ( - , block)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성 재료의 덩어리를 말하며 콘크리트블록의 약칭이기도 함.
 
어느 영역의 일정한 단위.
 
사진이나 입체모형(stereo-model)을 종횡 방향으로 접합된 모형.

블록공사 ( - , block work)
 
조적공사의 일종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해 담이나 벽을 쌓는 작업.

블록시료 ( - , block sample)
 
지표, 시험굴(test pit) 측구 등을 인력으로 굴착하여 상자모양의 시료를 교란이 최소화되도록 정성스럽게 채취한 시료.

블록아웃 ( - , block out)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하며 코어(core)라고도 함.

블록야드 ( - , block yard)
 
콘크리트블록을 제작, 생산하는 야외의 제작장으로 생산 플랜트와 블럭 적재장과 블록운반용 기중기 등을 갖추고 있음.

블록 용접법 ( - 鎔接法, block sequence)
 
다층용접을 하는 이음에서 작은 부분을 몇 층씩 각각 용접하여 순차적으로 다른 부분에 이르게 하는 적층방법.

블록조정 ( - 調整, block adjustment)
 
블록으로 구성된 좌표계를 절대좌표계로 환산하는 조정방법.

블록중간 ( - 中間, midblock)
 
시가지 도로구간에서 교차로사이의 중간부분.

블록침목 (短枕木, block tie)
 
좌우레일에 별도로 부설하는 블럭형상의 침목으로 레일을 지지하는 것을 말함. 일반 철도에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이것을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직결 궤도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도상 궤도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블록포장 ( - 鋪裝, block pavement)
 
콘크리트의 기초면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 1 69 cm정도의 입방체모양의 석괴나 콘크리트블록, 아스팔트블록 등을 깔고 다시 모르터나 모래, 역청재 등으로 채움한 포장으로 광장포장, 보도포장 및 간이포장에 사용됨.

블론아스팔트 ( - , blown asphalt)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공기처리를 하여 탄력성을 크게 한 아스팔트로 용융점이 높고 내구성, 내충격성이 좋으나, 신장성, 점착성, 방수성, 침입도 등은 낮음. 상온에서는 고체이며, 방수재, 전기절연재 등에 사용됨.

블룸 ( - , bloom)
 
단면이 거의 정방형 또는 장변이 단변의 약 2배 이하의 장방형으로 통상 1변의 길이가 130 mm를 넘는 강편. 이것보다 작은 것을 빌렛(billet), 평평한 것을 슬래브(slab)라 함.

블루잉 ( - , blueing)
 
고강도 강연 제조공정에서 최초공정으로 실시되는 저온열처리. 이 처리에 의하여 강연의 낙상강도가 높아짐.

블리딩 ( - , bleeding)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서 재료가 분리되어 수분이 윗면으로 상승되어 올라오는 현상으로 이때 발생되는 부상수로 인하여 시멘트와 그밖의 미립자가 표면에 노출되어 레이턴스를 형성하게 됨.

블리딩량 ( - , bleeding capacity)
 
블리딩에 의하여 발생된 부상수의 체적과 시멘트풀 또는 모르터의 용적과의 비.

블리딩률 ( - , bleeding ratio)
 
시멘트풀 또는 모르터에서 블리딩에 의해 물이 분리되는 비율.

블리스터 ( - , blister)
 
금속 또는 피막 밑에 가스, 액체 또는 부식생성물이 축적하여 국부적으로 부풀어 있는 상태.

블리스터링 ( - , blistering)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작업중 또는 직후에 엷은 층의 이상한 기포가 생기는것으로 파이프의 회전, 담굼질후에 발생하기도 함.
 
플라스터(plaster)칠의 마무리층이 본바닥으로부터 벗겨지는 현상을 의미함.

비감쇠 진동 (非減衰 振動, undamped vibration)
 
시간에 따라 진폭이 감소하지 않는 진동. 진동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없음

비강도 (比强度, strength to weight ratio, specific strength)
 
재료의 강도와 비중과의 비.

비계 (飛階, scaffold)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에 발판, 재료운반 또는 위험물 낙하방지 등을 위해서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지지대.

비계공 (飛階工, scaffolder)
 
일반으로 높은 장소의 비계에서 각종 작업에 종사하는 자. 토목건축공사에서 비계의 구축, 교량의 가설 등의 작업에 종사하는 자.

비계기 활주로 (非計器 滑走路, non-instrument runway)
 
시계(視界)비행규칙 (VFR)을 이용하는 항공기의 운항을 목적으로 하는 활주로. 계기 활주로의 상대되는 말.

비계목 (飛階木, scaffold log)
 
비계 용의 통나무. 인장, 압축, 휨 등 어느 힘의 작용에 대해서도 저항할 수 있어야 함.

비계식거더가설법 (飛階式 - 架設法, girder staging erection)
 
교량의 경간사이에 비계를 조립하고 레일거더를 가설한 후 여기에 교량거더를 올려 놓고 거더를 가설하는 방법으로 교량상판의 높이가 높지 않고 수심이 얕을 때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가설할 수 있는 방법임.

비계판 (飛階板, scaffold board)
 
비계 가설시에 사용되는 목재 또는 철재판으로 재료운반 등에 사용됨.

비균일 단면 부재 (非均一 斷面 - , nonprismatic member)
 
단면적 혹은 단면 2차 모멘트와 같은 단면의 역학적 성질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부재.

비뉴우톤유체 ( - 流體, non-Newtonian fluid)
 
전단응력과 변형률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갖는 유체로서 혈액, 등사잉크 등이 이에 속함.

 

그림

 

비닐계수지 ( - 界樹脂, vinyl resin)
 
넓은 의미로는 비닐기(CH2 = CH
R)를 기준단위로 하는 중합합성수지체를 총칭하는 말로 통상 염화비닐수지, 초산비닐수지 등으로 통용됨. 열가소성을 갖고있으며 플라스틱등의 성형물, 도료, 접착제, 섬유 등에 이용됨.

비대칭 하중 (非對稱 荷重, unsymmetric load)
 
구조물에 비대칭으로 재하되는 하중.

비대칭형 클로소이드 (非 對稱形 - , unsymmetric clothoid)
 
기본형 및 요철형 클로소이드로서 좌우의 클로소이드 파라메타 (parameter)가 틀리는 것을 말함.

비대칭 휨 (非對稱 - , unsymmetrical bending)
 
휨의 방향이 단면의 주축과 일치하지 않을 때 일어나는 휨으로 주로 비대칭 단면에서 발생함.

비동기 제어기 (非同期制御機, nonsynchronous controller)
 
고정시간신호제어기의 한 형태로서 신호시간이 전압과 온도에 따라 변하기 쉬우므로 중요하지 않은 독립교차로에서 다른 인접교차로와의 연동이 거의 필요 없을 경우에 사용함.

비드 ( - , bead)
  1
회의 패스에 의해 만들어진 용접금속.

비드균열 ( - 龜裂, bead crack)
 
비드에 발생하는 균열. 크레이터(crater)를 제외한 부분에 생긴 것. 용접결함의 일종.

비드밑 균열 ( - 龜裂, under bead crack)
 
비드의 근방에 발생한 균열. 용접결함의 일종.

비등방성 재료 (非等方性 材料, anisotropic material)
 
방향에 따라 재료의 물성치가 다른 재료.

비력 (比力, specific force)
 
수로바닥을 기준으로 흐름단면에 작용하는 단위무게당의 전정수압력과 운동량의 합.

비례 한도 (比例 限度, proportional limit)
 
응력-변형도 관계가 선형성을 유지하는 한계.

비배수전단강도 (非排水剪斷强度, undrained shear strength)
 
비배수비압밀전단시험(UU-test)이나 압밀비배수전단시험(CU-test)에서 얻어지는 전단강도임. 통상, 전자는 점토의 현재의 상태(함수비 동일조건)에서의 점착력(Su)을 가리키며 후자는 임의의 압밀하중에 대한 점착력(Su)을 나타내므로 압밀에 의한 강도증가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비배수전단시험 (非排水剪斷試驗, undrained shear test)
 
전단할 때 공시체의 공극수의 출입이 되지않는 조건하에서 행한 시험으로서 비압밀비배수전단시험(UU-test) 및 압밀비배수전단시험(CU-test)이 있음.

비보존력계 (非保存力界, non-conservative system)
 
포텐셜 에너지가 하중의 작용경로에 따라 변하는 역계.

비보호회전 (非保護回轉, permitted turns)
 
신호교차로에서 별도의 전용신호가 없이 직진신호에 좌회전이 허용되는 비보호좌회전과 어느 신호에서나 우회전이 가능한 비보호우회전을 의미.

비비기 ( - , mixing)
 
모르터나 콘크리트용 각 재료를 혼합하는 것.

비비는 시간 ( - 時間, mixing time)
 
콘크리트용 재료를 믹서에 혼합한 후, 믹서를 회전시켜서 비비는 시간.

비빔대 ( - , mixing platform)
 
삽비비기로 콘크리트를 비빌때 쓰는 철판.

비사 (飛砂, blown sand)
 
해안에서 바람에 날려 이동하는 모래.

비산출량 (比産出量, specific yield)
 
단위수두의 지하수위의 강하가 일어날 때 포화상태인 단위체적의 토양이나 암석으로부터 중력의 힘으로 배수되는 물의 양.

비상여수로 (非常餘水路, emergency spillway)
 
본 여수로의 고장, 이상홍수시등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본 여수로와는 별도로 혹은 동시에 작동시켜 댐의 월류를 방지함으로서 댐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고저 설치하는 여수로.

비상용기갑 (非常用氣甲, emergency lock)
 
압축공기내에서의 작업중에 압축공기의 급강하 등의 비상시에 내부작업실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통로로서, 공기케이슨 시공시 작업실 등에 갖추어져야 함.

비상전화 (非常電話, emergency telephone)
 
터널내 또는 출입제한을 하고 있는 도로 등에서 사고, 고장 등의 통보나 원조를 구할 목적으로 노측이나 써비스시설 내에 설치하는 전용전화. 전화의 통화방법이나 기종은 도로의 종별, 관리체제 등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정함.

비상주차대 (非常駐車帶, emergency parking bay)
 
우측 길어깨가 좁아 고장차가 본선 차도에서 대피할 수 없는 도로에 있어서 사고와 교통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우측 길어깨에 접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로의 일부.

비색분석 (比色分析, colorimetric analysis)
 
용액의 색조 또는 그 빛깔의 농도를 표준액의 그것과 비교하여 물질을 정량하는 분석법. 흡광광도법이 일반적인데, 광전분광광도계로 표준액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리 검량선을 그려두고 시료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검량선으로 미지의 용액농도를 알아내는 방법.

비석 (沸石, zeolite)
 
주로 알루미늄, 나트륨,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장석류와 비슷한 수분함유 규산염. 가열에 의해서 쉽사리 수분을 방출하며, 양이온교환성 및 가스체의 선택흡착성도 있음.

비선형 거동 (非線形 擧動,  nonlinear behavior)
 
중첩의 원리가 성립되지 않는 거동.

비선형 비틂 (非線形 - , nonlinear torsion)
 
재료의 비선형성 혹은 기하학적 비선형성 때문에 비틂각이 비틂 모멘트에 비례하지 않는 비틂 현상.

비소 (砒素, arsenic)
 
원자번호 33, 원자량 74.9인 제5족원소로 천연으로 유리하여 존재하는 수도 있지만, 대개는 황화물로서 산출됨. 대량으로 섭취하면 구역질이나 설사, 탈수증상, 혈압강하를 일으키고, 중증일 때는 혼수 사망에 이름.

비속도 (比速度, specific speed)
  →
특유속도.

비수위 (比水位, specific guage)
 
기준하천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이 일정할때의 수위로서 하상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로 사용됨. 침식 등으로하상이 저하될 경우에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퇴적에 의하여 하상의 상승이 일어나면 큰 값을 가짐.

비스 ( - , machine screw, vis)
 
비교적 축경이 작은 머리 붙은 나사로서, 머리의 종류에는 많은 종류가 있음.

비습도 (比濕度, specific humidity)
 
습윤공기 단위질량당의 수증기의 질량을 말함.

비신호 교차로 (非信號 交叉路, un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가 없이 운영되는 교차로로 교통량이 매우 작고 차량의 상충 요인이 희박하여 신호에 의한 통행 우선 순위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지방부의 소규모 교차로나 주택가 교차로에서 사용.

비씨 ( - , BC)
 
곡선시점 또는 시곡점. 직선으로부터 곡선으로 바꿔지는 점에서 측점번호가 작은 쪽을 말함.  d원어 : beginning of curve.

비안정 대기상태 (非安定 待機狀態, non-steady-state queueing)
 
대기길이가 감소하지 않고 계속 늘어나는 상태.

비압밀비배수전단시험 (非壓密非排水剪斷試驗, unconsolidated undrained shear test)
 
시료의 압밀이나 전단시 간극수의 출입이 일체 허용되지 않는 조건하에서 행한 전단시험임.

비압축성 (非壓縮性, incompressibility)
 
외부하중에 의하여 재료에 변형이 발생하였을때, 변형에 의한 부피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재료의 성질. 포아손 비가 0.5 인 재료에서 발생함.
 
외부압력의 변동에 관계없이 유체의 체적변화가 없는 유체의 성질.

비압축성유체 (非壓縮性流體, incompressible fluid)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축이 전혀 되지 않는 이상적 유체를 말하나 엄밀한 의미에서 이러한 유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

비양수량 (比揚水量, specific capacity)
 
지하수를 펌프로 양수할때 단위수위강하량당의 양수량을 말하는 것.

비에너지 ( - , specific energy)
 
수로바닥을 기준으로 단위무게당 물이 가진 에너지를 나타내며 1911년 개수로 흐름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Bakhmeteff에 의하여 제안됨.

비엠 ( - , BM)
  → 
수준점, 고저기준점.

비열 (比熱, specific heat)
 
단위질량의 물체의 온도를 단위온도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임.

비용극 (非鎔極, non-consumable electrode)
 
융점이 높고 아크열로도 소모하기 힘든 전극. 텅스텐전극이 그 대표적인 예로서 비소모전극이라고도 함.

비유량 (比流量, specific discharge)
 
단위유역면적당의 유출량으로서 어느 지점에서의 유출량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것.

비유사량 (比流砂量, specific sediment load)
 
하천을 통하여 흘러나가는 유사량을 단위시간당(대개 연단위) 단위유역면적당 발생하는 유사량으로 나타낸 것.

비응집성 유사 (非凝集性 流砂, noncohesive sediment)
 
점토, 실트와 같이 점토성 물질은 이온화 작용에 의하여 전극성을 띠게되며 이로 인해 응집이 쉽게 일어나는 반면 입자가 큰 모래등은 상대적으로 응집되기 힘듬. 이렇게 응집이 어려운 물질을 비응집성 유사라고 함.

비자성강 (非磁性鋼, non magnetic steel)
 
일반적으로 자석에 붙지 않는, 투자율로 1.5이하의 강을 말함.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텐레스강(  18 % Cr, 8 % Ni) 및 오스테나이트계의 고망간강(14 %, 18 %, 25 % Mn)계가 대표적임.

비저류율 (比貯留率, specific storage)
 
단위 수두변화에 대하여 단위체적의 토괴중 저류수량의 변화량임. 피압대수층의 압축률과 동의어임. 비저류율은 침투류해석에 있어 대수층의 탄성적 저류변화를 나타내는 양.

비저항법 (比抵抗法, resistivity method)
 
지반의 전기저항(비저항)을 측정하여 지반구성조건을 조사하는 방법임. 주로 지반의 종류, 대수층의 판정, 지층의 두께, 공동의 조사 등에 이용됨.

비점성 유체 (非粘性 流體, nonviscous / inviscid fluid)
 
이론상 점성이 전혀 없는 유체를 말하나 엄밀한 의미에서 이러한 유체는 존재하지 않음. 유체의 운동을 해석할 때 유체의 점성이 없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있음.

비점성토 (非粘性土, cohesionless soil)
 
외부공기가 건조할 때, 흙이 가져야 할 강도가 전혀 없고, 물에 접촉했을 때도 점착력을 갖지 않는 흙.

비점오염원 (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
 
농약이나 제초제등과 같이 불특정 지점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

비정상등류 (非定常等流, unsteady uniform flow)
 
유량, 유속, 수심, 압력등 흐름에 관계되는 제 물리량들이 시간에 대하여는 변화하나 거리에 대하여는 변하지 않는 흐름.

비정상변화류 (非定常變化流, unsteady varied flow)
  →
비정상부등류.

비정상부등류 (非定常不等流, unsteady non-uniform flow)
 
시간과 거리에 대하여 흐름에 관계되는 제 물리량이 모두 변화하는 흐름으로서 자연상태의 흐름은 대부분 이에 속함.

비조립형골재 (非組立形骨材, coated type aggregate)
 
팽창혈암등의 원석을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고 체선별 및 소성하여 만드는 경량골재로 하천의 모래, 하천자갈과 같이 둥근모양을 하고 있는 골재임.

비중 (比重, specific gravity)
 
, 암석 또는 어떤 물질의 무게와 지정된 온도에서 동일한 부피를 가진 물의 무게와의 비.

비중계 (比重計, hydrometer)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비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비중계를 유체에 담그고 올라오는 높이를 읽어 비중을 알 수 있도록 하였음.

비중계시험 (比重計試驗, hydrometer test)
 
입경 75 μm 미만의 세립토의 입도분포를 구하기 위한 침강분석 방법. 흙시료를 물에 분산시킨 현탁액 중에 비중계를 띄워, 침강개시후 경과시간에 따른 현탁액의 비중을 구하여, 스토크의 법칙을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구함.

비체적 (比體積, specific volume)
 
단위질량이 차지하는 체적으로서 밀도의 역수.

비초과확률 (非超過確率, non-exceedance probability)
 
특정값(x)보다 같거나 이보다 작은 사상(X)이 발생할 확률로서 로 표시함.

비침식성 수로 (非浸蝕性 水路, nonerodible channel)
 
침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콘크리트나, 쇄석 또는 잡석으로 단면을 보호한 수로.

비침식 유속 (非浸蝕 流速, nonerodible velocity)
 
침식이 일어날 수 있는 수로에서 침식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유속을 말하며 침식허용유속(permissible velocity)이라고도 함.

비커스경도 ( - 硬度, Vickers hardness)
 
대면각 136도의 다이아몬드제 사각추압입자를 이용하여 시험면에 피라미드상의 압입자국을 만들어 그 대각선의 길이를 측정하여 환산하여 구한 경도.

비탄성 거동 (非彈性 擧動, inelastic behavior)
 
외부하중을 제거하여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지 않는 재로의 거동.

비탄성 변형 에너지 (非彈性 變形 - , inelastic strain energy)
 
비탄성 변형에 의하여 열 등으로 소실된 에너지.

비탄성 영역 (非彈性 領域, inelastic region)
 
응력-변형도관계가 비탄성 관계가되는 응력-변형도 곡선의 영역.

비탄성 좌굴 (非彈性 挫屈, inelastic buckling)
 
응력-변형도 관계가 비탄성 영역에서 발생하는 좌굴.

비탄성 휨 (非彈性 - , inelastic bending)
 
휨 모멘트가 증가하여 단면의 일부에서 응력이 항복점을 넘은 상태에서의 휨.

비탈기슭 ( - , toe of slope)
 
비탈진 경사제방의 최하단부의 비탈면.

비탈막기공 ( - , toe stopper)
 
비탈면을 자연스럽게 끝까지 두지 못할 경우 인위적으로 비탈끝막이를 위하여 비탈면 끝에 시공하는 것으로 비탈의 기초공 역할을 하며 사석공, 돌망태공, 돌쌓기공 등을 함.

비탈머리 ( - , top of slope)
 
비탈진 경사제방의 최상단부를 의미하며 비탈어깨라고도 함.

비탈면 배수 ( - 排水, slope drainage)
 
절토, 성토로 이루어진 사면 또는 자연사면이 지표를 통하여 유하하는 물이나 비탈면에서 용출한 지하수에 의하여 비탈면의 침식이나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를 말함.

비탈면보호 (斜面保護, slope protection)
 
지질이 불량한 지대에 건설된 비탈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함.

비탈면보호식재 ( - 面保護植裁, erosion control planting on slope)
 
토공에서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으로 사전에 풀씨 등을 뿌려 조기 녹화가 되도록 하며, 여기에 나무씨앗 등을 섞기도 함.

비탈바닥파괴 ( - 破壞, base failure)
 
비탈면의 파괴시에 파괴 활동원이 비탈면보다 아래쪽을 통과할 때 그 활동면을 따라 비탈바닥부분이 파괴되는 현상.  → 저부파괴.

비통제 교차로 (非統制 交叉路, uncontrolled intersection)
 
교통신호기나 정지표지, 양보표지 등에 의한 통제가 없는 교통량이 거의 없는 교차로.

비투멘 ( - , bitumen)
  →
역청.

비트 ( - , bit)
 
착암기의 로드 끝부분에 붙이는 절삭공구로 암석에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임. 과거에는 탄소강을 열처리해서 사용했으며, 현재는 초경합금의 팁을 박아 넣거나 경질 합금을 표면에 용착해서 날끝이 무디어지는 것을 방지함. 착암기의 종류나 암질과 암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의 비트가 사용됨. 쐐기형, +자형 등이 있고, 회전 보링용으로는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연질합금에 박아 넣은 것, 기어형 롤러를 3개 짜맞춘 것, 원주 위에 초경합금을 박아 넣고 원통모양의 홈을 절삭하는것 등이 있음.

비트게이지 ( - , bit gauge)
 
굴착기 및 천공기에 쓰이는 비트의 날길이 또는 지름을 의미하며, 지질이나 폭약의 과소, 천공길이에 따라 사용 비트의 종류와 순서를 고려하고, 천공에 따른 마모정도 등에 유의함.

비틀림 구속응력 ( - 拘束應力, warping stress)
 
콘크리트 슬래브에 생기는 온도응력의 하나임. 기온 등의 일변화에 수반하여 콘크리트슬래브 내부의 온도분포가 변화하고 두께 방향으로 온도구배가 생긴 경우에는 슬래브의 표면과 저면의 신축성이 서로 다르므로 슬래브는 상하 어느 한쪽으로 비틀리게 함. 이 비틀림이 슬래브의 자중이나 단부의 슬립바, 타이바에 의해서 구속되기 때문에 응력이 생김.

비틀림전단시험 ( - 剪斷試驗, torsional shear test)
  →
링전단시험.

비틀림 줄눈 ( - , warping joint)
 
콘크리트 슬래브의 줄눈의 일종임. 타이바를 사용한 맞댐줄눈 또는 철망을 통한 맹줄눈의 형식의 것. 슬래브의 신축은 허용하지 않으나 힌지모양으로 인접한 슬래브 간의 각도변화는 허용하므로 슬래브의 비틀림 구속응력을 경감시키는 작동을 함. 시공줄눈이나 세로줄눈에 채용되는 줄눈구조가 여기에 해당함. 가로줄눈의 일부에 비틀림 줄눈을 사용하면 장기간 신축이 반복되는 동안에 차츰 신축줄눈이 열려 팽창줄눈폭이 줄어든다고 해도 피해가 없게 됨.

비틀림철근 ( - 鐵筋, tortional reinforcement)
 
비틂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철근을 말하며, 폐합스트럽과 종방향철근으로 되어 있음.

비틂 ( - , torsion)
 
부재를 재축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

비틂각 ( - , twisting angle)
 
부재에 비틂 모멘트가 각용하였을 때 부재의 단면이 재축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비틂 강도 ( - 强度, torsional strength)
 
부재나 구조물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 비틂 모멘트.

비틂 강성 ( - 剛性, torsional rigidity)
 
균일 단면의 부재에 비틂 모멘트가 작용할 때 비틂 모멘트를 단위 길이당 비틂각으로 나누어 구한 상수.

비틂 상수 ( - 常數 , torsion constant)
 
비틂 강성을 전단 탄성계수로 나눈 것을 비틂상수라 함. 원형단면에서는 비틂상수가 단면의 극2차 모멘트와 같음.

비틂 유연도 ( - 柔軟度, torsion flexibility)
 
부재의 길이를 비틂강성으로 나눈 값.

비틂 응력 ( - 應力, torsional stress)
 
비틂 모멘트에 의하여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

비틂 좌굴 ( - 挫屈, torsional buckling)
 
부재가 압축력에 의하여 재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비틂-횡 좌굴 ( - 橫 挫屈, torsional lateral buckling)
 
비틂 좌굴과 횡좌굴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좌굴 현상.

비틂-휨 좌굴 ( - , torsional flexural buckling)
 
비틂 좌굴과 휨좌굴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좌굴 현상.

비티씨 ( - , BTC)
 
완화곡선 시점원어 : begining of transition curve.

비파괴 시험 (非破壞 試驗, nondestructive inspection)
 
공업제품의 내부의 공동이나 균열 등의 결함이나, 용접부의 내부 결함 등을 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외부에서 검사하는 방법으로 NDT 또는 NDI로 약칭함. 이에 속하는 방법으로는

 
용접부나 수문 등의 공동 조사시에는 방사선에 의한 투과(X , Υ , β)
 
철판 단조품(鍛造品), 管材 등의 상처나 내부 손상 조사에는 초음파나 맴돌이 전류
 
물품 표면의 작은 상처 발견에는 침투 또는 자분탐사(磁粉探査) 등이 있음.
 
콘크리트 공시체 또는 구조물에 아무 해도 입히지 않고 콘크리트의 품질을 시험하는 방법. 음향학적 진동법, 자기법, 반발경도법 등이 있음.

비표면적 (比表面積, specific surface area)
 
단위 질량당 토립자의 표면적의 합으로 통상으로 표시함. 비표면적이 큰 토질은 흡수성이나 콜로이드 성질이 현저하고 활성이 증대.

비피압 대수층 (非被壓 帶水層, unconfined acquifer)
 
자유대수층이라고도 하며 압력을 받지않는 대수층을 말하고 지하수면은 포화수대의 맨 윗면을 형성하고 자유수면으로 취급.

비피압지하수 (非被壓地下水, unconfined groundwater)
 
대수층 중 지하수면이 있는 지하수를 말함.

비피엔 ( - , BPN)
 
영국에서 개발된 포터블
스키드레지스탄스테스터에 의하여 측정된 노면의 미끄럼 저항치로서 British Portable (Tester) Number의 약어고속도로에는 BPN60을 포장신설시의 목표치로 하고 있음.

비항식펌프준설선 (非航式 - 浚渫船, non propeller suction dredger)
 
추진기를 설치하지 않은 준설선으로 원심펌프로 수저의 토사를 흡입배출하며, 별도 인양선에 의해서 항해가 가능함.

비행 금지구역 (飛行 禁止區域, prohibited area)
 
육지 또는 영해의 상공에 있어 일정한 조건 하에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하는 구역.

비행장 (飛行場, airfield)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 및 이동을 위하여 제공되는 육지 또는 수면의 일정 구역으로 헬기장도 포함됨.

비행장 등대 (飛行場 燈臺, aerodrome beacon)
 
항해 중인 항공기에게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하여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 설치하는 비행장 등화의 일종으로서 보조 비행장 등대 외의 등화.

비행장 등화 (飛行場 燈火, aerodrome light)
 
야간이나 계기 비행기상 상태에서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을 돕기 위해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 설치하는 항공 등화의 일종.

비행장 시설 (飛行場 施設, airfield facilities)
 
항공기의 이착륙에 직접 필요한 시설로서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급유시설 및 격납고를 포함함.

비행장 식별 표지 (飛行場 識別 標識, aerodrome identification sign)
 
공중으로부터 비행장을 식별할 목적으로 비행장내, 또는 그 인접지에 설치된 표지.

비행장측량 (飛行場測量, airport surveying)
 
비행장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측량으로 비행장조사측량, 입지선정측량, 활주로측량, 조명과 표지측량 및 배수계획측량 등이있음.

비행장 포장 상태 지수 (飛行場 鋪裝 狀態 指數, airfield pavement condition index)
 
비행장 포장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낸 것. 포장의 균열 및 파손등 손상 정도를 규정된 방법으로 관찰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산출함약어 : PCI.

비행장 표고 (飛行場 標高, aerodrome elevation)
 
비행장의 착륙 지역중에서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

비행장 표점 (飛行場 標点, aerodrome reference point)
 
비행장의 기하학적 중심지역에 설치한 표점으로 지정된 비행장의 지리상의 위치를 초 단위의 경도와 위도로 표시하는 점.

비행장 표준온도 (飛行場 標準溫度, aerodrome standard temperature)
 
비행장의 월평균 기온이 연중 최고로 더운 달의 일 최고 기온의 월평균 온도.

비행정보구역 (飛行情報區域, flight information region)
 
국제 민간 항공기구 (ICAO)에 의해 각 가맹국가 별로 할당된 하늘의 구역으로서 비행 정보 업무 및 경보 업무를 제공하는 일정한 범위의 공역임. 우리나라의 관할구역은 대구 비행정보 구역 (TAEGU FIR).

비행 제한구역 (飛行 制限區域, restricted area)
 
육지 또는 영해의 상공에 있어 일정한 조건 하에 항공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구역.

비회전류 (非回轉流, irrotational flow)
 
유체입자가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는 흐름이며 지하수, 파동해석에 흔히 사용됨. 수학적으로 속도벡터를 라 할때 × 로 표시되고 이 경우 속도포텐셜이 존재하므로 유체운동해석을 간단히 할수 있음.

빅트릭이음 ( - , victoric joint)
 
강관이나 주철관 이음의 일종으로 U자형 고무관과 하우징으로 이음부를 싸고 그위에 금속제의 링으로 조인 것임. 관내부의 수압이 링을 내부에서 눌러주므로 누수가 생기지 않으며, 배관작업시 분리나 증설이 예상되는 부분에 사용함.

( - , bin)
 
골재와 같은 고체형 재료를 저장하도록 목재, 강재, 콘크리트 등으로만든 뚜껑이 있는 저장장치로 사이로(silo)에 사용됨.

빈배합 (貧配合, lean / poor mix)
 
콘크리트의 골재량에 비하여 단위시멘트량이 비교적 적은 배합.

빈배합콘크리트 (貧配合 - , poor mix concrete)
 
콘크리트의 배합시 골재양에 비하여 시멘트량이 비교적 적게 배합된 콘크리트로 통상 시멘트량이 1 m3 350 kg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반대로 그 이상인 경우를 부배합 콘크리트라 함.

빈부수성 생물 (貧腐水性 生物, living organisms of oligosaprobien)
 
빈부수성 수역, 즉 청정한 수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유기체.

빈부수성 수역 (貧腐水性 水域, oligosaprobien)
  Kolkwitz & Marson
의 분류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 계급의 하나로, 가장 청정한 수역. 물이 맑고 산소가 풍부한 수역.

빈영양호 (貧營養湖, oligotrophic lake)
 
빈영양호소라고도 하며, 영양염류의 농도가 낮아 생물생산력이 낮은 호소. 표수층에 비해 심수층의 용적이 크고 투명도는 5 m이상이나 되며, 용존산소량은 포화에 가까움.

빈영양화 (貧營養化, oligotrophy)
 
질소, 인등 조류및 미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이 차단되어 수질의 악화를 초래하는 조류등의 성장을 막아 물이 깨끗해지는 현상.

빈점토 (貧粘土, lean clay)
 
실트분이나 모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소성이 적은 점토.

빈지 ( - , stop log)
 
각낙(角落)또는 물빈지라고도 하며 교각이나 측벽에 홈을 파고 여기에 각재를 끼워 수위를 조절할수 있도록 한 간단한 형태의 수문.

 

그림

 

빌렛 ( - , billet)
 
소각강편이라고도 함강괴 또는 강편(bloom)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반제품을 말함단면이 장  방형의 편평빌렛과 정방형의 각빌렛이 있으며, 단면적은 200cm2 이하 임.

빌렛강 ( - , billet steel)
 
잉곳(ingot, 금속의 주괴)으로 부터 직접 생산하거나 또는 연소주조에 의해 생산되는 강으로 염기성산소강 또는 전기로강과 같이 가열해서 얻어짐.

빔 코히죠메타 ( - , beam cohesiometer)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착성을 측정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에 이용하기 위한 장치.

빗자루마무리 ( - , broom finish, brooming)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단방향에 빗자루나 브러쉬 등으로 균일하게 작업하여 표면을 거친면으로 마무리하는 것.

빗형 홈 (齒形 -  , toothed platform)
 
화물의 적재장소와 하화장소와의 연결이 편리하도록 빗살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승강장을 말함. 소급 화물의 중계홈으로 주로 이용됨.

빙압 (氷壓, ice pressure)
 
물의 결빙 및 얼음의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으로 생기는 압력.

빙적토 (氷積土, glacial deposit)
 
빙하에 의하여 운반퇴적된 운적토(運積土). 빙하에 의하여 모암이 깎여 모가 난 조립질의 암편들이 빙하의 끝에 퇴적된 빙력토(氷礫土, glacial till), 균열점토(fissured clay), 북구의 예민점토(銳敏粘土, quick clay) 등은 대표적인 빙적토임.

빙하기 (氷河期, glacial epoch / age)
 
빙하가 발달하여 육지를 넓게 덮고 있던 한냉기후의 기간. 빙하기의 사이에 빙하가 후퇴하는 온난기후의 시대를 간빙기라 하며,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던 시대를 빙하시대라 함. 제사기(第四紀)에 있어서의 빙하기는 수십만년전에 시작되어 전육지의 1/3이 빙하로 덮여 있었음. 빙하기는 이제까지 크게 나누어 4번 있었음.

빙하류 (氷河流, glacier flow)
 
높은 산이나 고위도 지방의 만년설이 그 무게의 압력으로 얼음덩이가 되어 천천히 비탈면을 흘러내리는 흐름.

빙하중 ( - , ice load)
 
눈 또는 비가 결빙되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뼈대 구조물 (“架構式 構造”, framed structure)
 
일차원 부재를 연결하여 만든 구조물. 대표적인 구조 형식으로는 들보, 트러스, 라멘등이 있음.

뼈대 길이 ( - , skeleton length)
 
트러스 등에서 절점 사이의 각 부재의 길이.

뼈대 좌표계 ( - 座標系, frame coordinate system)
  →
전체 좌표계.

뽑힘시험 ( - 試驗, pull-out test)
  →
인발시험.

 

반응형

'토목자료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외철근(加外鐵筋, additional bar)  (0) 2009.12.30
토목 사전 (ㅅ)  (2) 2009.12.28
토목사전 (ㄹ~ㅁ)  (0) 2009.12.27
토목사전 (ㄴ~ㄷ)  (0) 2009.12.27
토목사전 (교~끝)  (0) 2009.12.27